에이비슨 선교사 후손들이 한국 대사관저를 초청 방문, 신 대사와 기념사진을 찍었다.

오타와 한국대사관도 나서…
올 가을 특별전시회·후손 강연 등

주 캐나다 한국대사관(대사 신맹호)이 캐나다 선교사들이 조선 땅에 첫 발을 디딘지 130주년이 되는 올해 ‘내한 캐나다 선교사 130주년 기념 특별 전시회 및 후손 강연’을 오타와와 노바스코샤 주에서 오타와 한국문화원과 토론토 캐나다선교사 전시관과 공동으로 올 가을 개최하기로 하고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이와 관련해 신맹호 대사는 최근 선교사 후손들을 초청해 간담을 나누고 특별 전시회와 강연에 대해 협의했다고 대사관이 전했다.
신 대사가 지난 6월1일과 7일 각각 만난 선교사 후손가족은 에이비슨 선교사와 맥레이 선교사 후손들로, 선교사 내한 130주년 기념행사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고 오타와 문화원 전시장과 다목적 홀을 직접 둘러보며 구체적인 준비사항도 협의했다.


캐나다 동부 주는 세브란스 병원을 설립한 에이비슨 선교사 등 한국 의료 근대화에 앞장선 캐나다 의료 선교사의 1/3 이상을 배출한 곳으로 유명하다.
올리버 에이비슨(Oliver Avison, 한국명 어비신) 선교사는 1892년 한국에 도착해 44년간 체류하며 고종의 주치의를 지냈고, 최초의 서양식 근대병원인 제중원 원장에 이어 세브란스 병원을 설립하고 세브란스 의대도 출범시켰다. 또 3.1운동을 지원한 공로로 한국정부에서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아버지에 이어 부산에서 낳은 아들 더글라스 에이비슨 등 3자녀가 한국에서 선교 사역 계속해 온 것으로도 유명하다. 세브란스 병원 원장을 역임한 더글라스 에이비슨 부부는 한국 땅에 묻히기를 소원해 양화진 묘역에 나란히 안장돼 있다.
신맹호 대사는 노바스코샤에 사는 에이비슨 박사의 친손녀이자 더글라스 에이비슨 선교사의 딸인 Kathleen Anne Black 여사 일행을 지난 1일 관저로 초청, 오찬 간담을 갖고, 한국 의료시스템 근대화의 토대를 마련한 에이비슨 박사의 기여에 깊은 감사를 전했다. 이에 에이비슨 박사의 후손들은 조상의 업적이 양국의 후대에 걸쳐 길이 기억되고 전해질 수 있기를 바란다며, 대사관을 통해 한국정부 초청 방한은 물론, ‘130주년 기념행사’에 참여하여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는 뜻을 밝혔다.


에이비슨 선교사의 후손들은 외증손녀로 4대 째인 Nancy Black씨가 현재 몽튼대 공대 교수로 재직하며 캐나다 인체공학자협회 회장을 맡고있고, 외증손자로 Douglas Avison Black과 Peter Lee Black 형제가 있으며, 외고손주로 5대 째인 Everett Avison Patterson 군은 현재 대학생이다.
또한 Kathleen Anne Black 여사 역시 시아버지인 Donald Macintosh Black 씨가 용정 제창병원 원장을 지낸 의료선교사로, 할아버지,아버지,삼촌,시아버지 등 양가 모두 대대에 걸쳐 한국에서 선교사로 헌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족 중 5대 외고손주 Everett Avison Patterson 군은 2017년 8월 어머니 Nancy Black, 아버지, 동생들과 함께 국가보훈처 방한 사업에 초청받아 한국 양화진 묘역에 묻혀 있는 증조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처음으로 찾아뵙고 고조 할아버지가 세운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을 둘러보는 등 뜻깊은 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 감사했다고 회고했다.
신 대사가 7일 후손들을 만난 던칸 맥레이(Duncan MacRae, 한국명 마구례) 선교사는 노바스코샤 주 Cape Breton 출신으로 달하우지 대학을 졸업하고 한국으로 달려가 40년간 함흥에서 ‘마 목사’로 알려지며 선교활동을 했고, 함흥 영생중학교와 영생 YMCA를 창립했다. 3.1운동 때는 스코필드 박사와 함께 지원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Grierson, Foote 선교사와 함께 캐나다 동부 출신 선교사 ‘트리오’중 1명으로, 같은 고향출신의 선배 윌리엄 맥켄지(한국명 매견시) 선교사가 방한 2년 만에 황해도 소래에서 병사하자, 캐나다 장로교가 트리오 3명을 즉각 추가로 파송한 것으로 알려진다.
맥레이 선교사의 딸 Helen(한국명 마혜란) 여사는 1910년 한국에서 출생했다가 노바스코샤로 귀국 후 교사생활 하고, 은퇴 후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 아버지 맥레이 선교사의 삶을 ‘팔룡산 호랑이 마목사’(1993)라는 전기로 발간했다. 앞서 1987년에는 대한민국 명예훈장을 받았다. 그녀는 평생 수집한 동부 출신 선교사 관련 자료를 노바스코샤 주 기록보존소에 기증하기도 했다.
신맹호 대사는 7일 맥레이 선교사의 조카손자인 Derek MacLeod 씨와 만나 캐나다 선교사 내한 130주년 기념행사에 대해 설명하고 후손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이에 MacLeod 씨는 한국 정부와 캐나다 대사관이 선교사들의 업적을 기리고 후손에게까지 전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에 감사를 표하면서, 현재 맥레이 선교사의 손녀와 고손들이 노바스코샤 외에 캘거리, 피터보로 등에 살고 있다고 전했다.
MacLeod씨는 어머니 Pamela MacLeod가 한국전 당시 간호사로 참전한 사실을 소개하면서, 1993년에 한국정부 초청으로 어머니를 모시고 방한했었다고 밝히고 130년 전 캐나다 선교사로부터 시작된 뿌리깊은 한-캐 우정의 역사가 한국전 참전용사에 이어, 후손에 까지 길이 이어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는 소망을 전했다.


캐나다 선교사는 한국과 캐나다를 역사적으로 이어주는 중요한 연결고리로, 1888년부터 1941년까지 약 200여명이 파송됐다.
당시 캐나다 선교사들은 주로 함경도, 강원도, 그리고 간도 지역에 선교사로 파송되어 학교, 병원을 세우고 교육과 사회봉사 활동을 전개했으며, 3.1 운동 때는 미국 선교사들이 일본과의 정치적 이해관계로 소극적이었던 것과 달리 치외법권 지역인 교회건물에 3.1운동가들의 모임장소를 제공하고 평화적인 만세시위를 사진으로, 문서로 전 세계에 알리는 등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지원한 것으로 전해진다.
주 캐나다 대사관은 앞으로도 캐나다 선교사들의 발자취와 공헌을 재조명하고 기념사업 및 후손 발굴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각 지역 한인교계 면담, 파송을 담당했던 캐나다 연합교회(United Church of Canada)의 기록 보존실 접촉과 캐나다 문화유산부 등 캐나다 정부와도 연계하여 내한 캐나다 선교사 및 후손들이 양국 관계에 있어 중요한 유산으로 길이 기억되고 보존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아울러 밝혔다.


< 문의: 613-244-5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