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분내 확진자 동선추적..외신 50곳이 궁금해한 한국의 역학조사
국토부·질본, 외신 대상 온라인 브리핑 "개인정보 오용 막기 위해 익명 보장"
미국·스페인·덴마크·방글라데시 등지 기자들 질문 쏟아내
한국정부가 스마트시티 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에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외신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브리핑에 50여개 해외 언론사 기자들이 모여들어 시스템 작동 방식 등에 대한 질문을 쏟아내며 큰 관심을 보였다.
국토부는 이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국가에는 적극적으로 컨설팅해 주고 기술 수출도 추진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10일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유튜브를 통해 50여개 해외 언론사 기자들을 상대로 온라인 브리핑을 열어 이 시스템의 작동 방식 등을 설명했다.
이 시스템은 휴대전화 위치 정보와 신용카드 사용내역 등 빅데이터를 취합해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을 10분 이내에 도출해 낸다.
국토부가 코로나19가 확산하자 2월 말 개발에 착수해 한달 만에 시스템을 만들어 지난달 26일 질병관리본부로 이관했다.
국토부 직원들이 코로나19 퇴치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이 있는지 논의하는 '브레인스토밍'에서 이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아이디어가 나왔고 사흘 만에 시제품(프로토타입)이 나왔다고 한다.
시스템 개발이 속도를 낼 수 있었던 것은 국토부가 2018년부터 추진한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한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플랫폼'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 시스템은 대규모 도시데이터 분석 도구로, 교통·에너지·환경·안전 등 도시 내 각 분야의 다양한 빅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할 수 있다.
국토부와 질본은 그동안 역학조사관이 관계 기관에 일일이 전화를 걸어 원하는 정보를 얻어 취합하면서 확진자 동선을 분석해야 했으나, 이 시스템을 통해 28개 관련 기관과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10분 이내에 확진자의 동선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됐다고 소개했다.
질의응답 시간에는 미국을 비롯해 스페인, 덴마크, 방글라데시 등 세계 각지의 기자들이 질문을 쏟아냈다.
스페인 에페(EFE) 통신사 기자는 이 시스템이 코로나19 확진자 전원에 적용되는지, 개인정보 사용 시 당사자에게 통보되는지, 확진자 외에 자가격리자 등의 동선 추적에도 이용되는지 질의했다.
이에 박영준 중앙방재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확진자 전원에 대한 정보를 다루는 것은 아니고 역학조사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확진자 면담 시 개인정보를 사용한 사실을 통보하고 있다"고 답했다.
박 팀장은 "확진자가 어디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됐는지 추적하는 데에도 이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덴마크 일간지 윌란스-포스텐(Jyllands-Posten) 소속 기자는 이 시스템을 코로나19가 종식된 이후 어떻게 쓸 것인지 물었고, 박영준 팀장은 "시스템을 보완·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 보고 다른 감염병 퇴치에도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외신들은 우리나라가 이 시스템을 다른 국가와 함께 활용할 수 있는지도 궁금해했다.
방글라데시 신문 프로톰 알로(Prothom Alo) 기자는 이 시스템을 다른 국가와 공유할 수 있는지 문의했고, 이익진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아프리카 속담에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말이 있다"고 언급한 뒤 "여러 국가가 필요하다면 우리 기술을 세계와 나누고 싶다"고 말했다.
외신 기자들은 개인정보 추적에 따른 사생활 침해 가능성 문제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보였다.
미국 NBC 방송 기자는 사생활 및 개인 정보 침해를 막기 위해 어떤 시스템적인 조치를 하고 있는지 물었다.
이에 국토부는 감염병 위기상황에 정확한 역학조사를 위해 공공이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감염병예방법'을 활용하고 있고, 정보 오용을 막기 위해 익명성 보장 등 철저한 보안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이후 마련된 이 제도는 이번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예방을 위한 예외적인 경우에 한해 관계기관의 협조와 승인 절차를 거쳐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과장은 "외부 해킹을 막기 위해 사설 전용망인 VPN을 활용하고 있고, 권한을 부여받은 담당자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안전 조치를 통해 정보 오남용을 막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팀장은 이어 "(감염병예방법이라는) 법적근거를 바탕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활용하고 있으며, 법적근거가 없는 정보는 수집하지 않는다"며 "정보 수집과 폐기 절차도 법에 따라 이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외신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와 국제기구에서도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에 대해 문의를 해 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양한 나라들이 월드뱅크, 아시아개발은행(ADB), 미주개발은행(IADB) 등 국제기구를 통해 시스템 활용 방안 등을 문의하고 있으며, 국토부는 조만간 이들 기구와 컨퍼런스콜 등을 열어 시스템을 설명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정식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 컨설팅을 제공하거나 기술을 수출하는 방안 등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한번에 최대 10명·20분 진단키트…진화하는 코로나 검사법
요양원 등 위험군 취합검사법 시행, 시간·비용 줄이고 정확도는 유지
특정 집단에서 코로나19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최대 10명의 검체를 한꺼번에 검사하는 ‘취합검사법’(Pooling)이 시행될 전망이다. 방역당국은 요양병원, 요양원 등 집단감염 위험이 높은 시설에서 이 검사법을 활용하도록 해 환자를 더 빨리 발견하고 추가 전파를 막는다는 계획이다.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9일 “650차례 평가 시험을 거쳐 한국 실험 상황에 맞게 취합검사법 프로토콜을 제작 완료했다”고 밝혔다. 취합검사법은 여러 명의 검체를 섞어 1개 검체로 만들어 검사하고, 양성이 나타나면 남은 검체로 개별 재검사를 하는 방식이다. 이는 증상이 없지만 감염 예방을 위해 주기적 검사가 필요한 요양시설 입원자 등 감염위험군에서 감염 여부를 선별해내는 데 유용하다. 방역당국은 “취합검사법은 코로나19 확인 검사로는 쓰지 않는다. 증상이 없는 감염 위험군의 질병 감시 목적으로만 쓴다”고 밝혔다.
그간 의료계에선 요양병원, 요양원, 정신병원 등 감염 위험이 높은 취약시설을 중심으로 전수조사를 효율적으로 하려면 취합검사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해왔다. 권계철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이사장은 “검사에 걸리는 비용과 시간은 대폭 감소시키면서도 검사의 정확도는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핵심단백질자원센터는 이날 “코로나19 검진을 20분대로 단축할 수 있는 진단시약을 개발해 진단키트 생산기업인 엠모니터에 제공하고 생산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기존 진단키트는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4~6시간이 걸리는데 이를 대폭 단축했다는 것이다.
한편, 정부는 다음달 초 원숭이 등 영장류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치료제 1건, 백신 2건의 효능 검증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박다해 구본권 기자 >
'● C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월호 6주기 침몰 해역서 눈물의 추모식 (0) | 2020.04.13 |
---|---|
한국 코로나19 완치율 70% 넘어 (0) | 2020.04.13 |
임정 101주년 기념식- 문 대통령 새로운 백년 강조 (0) | 2020.04.12 |
문대통령, 빌 게이츠와 백신개발 협력키로 (0) | 2020.04.11 |
채널A 협박죄 피소...검-언유착 의혹과 취재윤리 (0) | 2020.04.08 |
40주년 5·18 민주화운동 주요 행사 취소 (0) | 2020.04.08 |
"가족비리 의혹" 윤석렬 퇴진요구-검찰수사관 (0) | 202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