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거세지자 100년된 아이스크림도 “퇴출” 결정
인종차별적 로고·제품명 사용 글로벌 식품업계 서둘러 교체
‘하얀 피부=아름다운 것’ 강조해온 화장품 업계도 해명 나서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BLM·Black Lives Matter) 운동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그 불똥이 글로벌 식품 및 생활용품 업계로도 튀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인종차별성 제품명과 로고를 바꾸고, 유색인종의 정체성을 지우는듯한 제품을 단종시키고 있다. 그간 인종차별 지적 속에서도 해당 제품명이나 로고를 고집해온 기업들이 백인 경찰의 과잉진압에 희생된 조지 플로이드(46) 사건에서 촉발된 인종차별 철폐 움직임이 심상치 않자 서둘러 태도를 바꾸고 있는 모양새이다.
‘인종차별’ 비판 수십 년 만에 로고 바꾼 ‘앤트 제미마’
베이킹 재료 브랜드 ‘앤트 제미마’의 제품.
오랜시간 유색인종이나 특정 민족의 얼굴을 로고로 써온 기업들은 최근 로고 변경 의사를 잇달아 밝히고 있다. 미국 식품 대기업 펩시코의 자회사 퀘이커오츠는 지난 17일(현지시각) 130년 된 베이킹 재료 브랜드 ‘앤트 제미마’(Aunt Jemima)를 퇴출한다고 발표했다. 퀘이커오츠는 이날 성명에서 “(해당 브랜드는) 인종에 대한 고정관념에 근거한 것”이라며 연말까지 포장 등을 변경하겠다고 확인했다.
초창기 앤트 제미마 제품. 머리 두건, 웃는 표정 등이 ‘흑인 유모’의 고정관념인 탓에 인종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회사의 이 같은 조처는 최근 앤트 제미마가 인종차별적이라는 내용이 에스엔에스(SNS)를 통해 재점화되면서 나왔다. 1889년 후반 첫선을 보인 앤트 제미마는 ‘웃고 있는 흑인 여성’을 로고로 써왔다. 이 캐릭터가 백인 가정의 흑인 유모(매미·mammy)에서 따온 터라, 해당 로고가 인종차별에 해당한다는 논란은 수십 년 전부터 있어왔다. 논란을 의식한 퀘이커는 1968년 캐릭터가 쓰고 있던 두건을 없애고 1989년엔 진주 귀걸이를 추가하는 등 ‘유모 이미지’를 덜려고 했지만, 비판 여론이 이어지자 결국 퇴출을 결정한 것이다.
'엉클 벤스’ 제품. 엉클 벤스
흑인 남성을 모델로 한 가공 쌀 브랜드 ‘엉클 벤스’(Uncle Ben’s)의 모회사 마스도 최근 브랜드 변경 검토에 나섰다. 흑인 남성에게 ‘미스터’라는 존칭을 쓰지 않고 ‘엉클’(삼촌)로 칭하는 것은 오래된 인종차별적 관행이라는 지적을 받아들인 것이다. 지난 2월에는 버터, 치즈 등 유제품을 생산하는 업체 랜드오레이크도 회사 설립 100주년을 앞두고 포장지에 그려져 있던 원주민 여성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100년 된 아이스크림도 “연말까지 이름 바꿀 것”
네슬레의 캐러멜 ‘레드 스킨스’.
인종차별적 제품 이름도 속속 바뀔 조짐이다. 스위스 식품기업 네슬레는 지난 23일(현지시각)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판매 중인 캐러멜 ‘레드 스킨스’(Red Skins)와 젤리 ‘치코스’(Chicos)의 이름을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레드 스킨스는 인디언 원주민을 비하하는 표현이고, 치코스 또한 라틴 아메리카 출신 사람들을 낮춰 부르는 말이기 때문이다. 2018년 미국프로야구(MLB) 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 붉은 얼굴의 인디언 추장을 나타낸 ‘와후 추장’ 로고를 없애기로 한 것도 인디언에 대한 차별적인 묘사라는 비판을 수용한 것이었다. 네슬레는 성명에서 “해당 제품명은 우리의 가치관과 맞지 않는다. 새 명칭이 확정되진 않았지만 빨리 바꾸겠다”고 밝혔다. 네슬레는 또다른 차별적 표현은 없는지 자사가 보유한 2천여개 브랜드를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이스크림 업체 드레이어스 아이스크림도 1922년 선보인 ‘에스키모 파이’의 제품명과 로고를 함께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에스키모는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 등에 사는 이누이트를 비하하는 표현이다. 에스키모가 ‘날고기를 먹는 사람’이라는 어원을 갖고 있다고 전해지면서 이누이트는 에스키모라는 명칭을 쓰지 말아 달라고 해왔다. 드라이어스는 20일(현지시각) “용어가 부적절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며 “연말까지 이름을 바꿀 것”이라고 했다.
“흰 피부가 더 낫다는 것 아냐” 미백 로션 생산 않기로
유니레버 미백 화장품 ‘페어 앤드 러블리’.
화장품업계를 중심으로 미백 제품을 없애야 한다는 운동도 일고 있다. 존슨앤드존슨은 현재 국내에서도 판매되고 있는 미백 로션 ‘훼어니스’(Fairness) 제품 라인을 더는 생산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 회사가 지난 19일(현지시각)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해당 제품은 아시아와 중동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데, ‘개개인의 고유한 피부색보다 하얀 피부가 더 낫다’는 인식을 줬다는 점을 인정한다고 했다. 존슨앤드존슨은 “(흰 피부가 낫다는 인식은) 우리의 의도가 아니었다. 가장 아름다운 피부는 건강한 피부”라고 덧붙였다.
지난 25일에는 유니레버가 인도 등지에서 판매되는 미백 화장품 ‘페어 앤 러블리’(Fair & Lovely) 제품에서 흰 피부를 뜻하는 ‘페어’라는 단어를 없애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니레버는 “‘흰 피부’, ‘밝은’ 같은 표현이 하나의 미적 기준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는 옳지 않다“고 했다. 온라인에서는 아예 이 제품을 퇴출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고 있다. 지난 23일 미국 경제 매체 <월스트리트저널> 보도를 보면, 해당 제품을 퇴출하자는 온라인 서명운동에 1만2500명이 동참했다. < 신민정 기자 >
‘인종차별’ 우드로 윌슨 대통령 · 배우 존 웨인도 퇴출
프린스턴대, 윌슨 이름 지우기로, 존 웨인 공항·동상도 도마
미국의 가치를 고양했다는 평가를 받던 위인들이 인종차별 전력으로 잇따라 퇴출되고 있다.
미 프린스턴대학교 이사회는 27일 국제관계대학원과 기숙형대학 명칭에 있는 우드로 윌슨 전 대통령의 이름을 학교 명칭에서 삭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국제관계 분야 명문 대학원인 ‘우드로 윌슨 공공국제문제 스쿨’은 ‘프린스턴 공공국제문제 스쿨’로, 기숙형 대학인 ‘윌슨 칼리지’는 ‘퍼스트 칼리지’로 바뀌게 된다.
윌슨 전 대통령은 1913~1921년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1차대전을 연합국의 승리로 이끌고 국제연맹을 창설하는 등 미국의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약소민족의 민족자결주의를 세계에 전파한 인물로 평가된다. 프린스턴대는 1902~1910년 이 대학 총장을 지낸 그의 공적을 기려 학교 명칭 등에 그의 이름을 붙여왔다. 하지만 총장 재직 시절 흑인 학생들의 입학을 금지하는 한편 백인우월주의 단체 ‘큐클럭스클랜’(KKK)에 찬성하는 발언을 하고, 대통령 재임 때도 흑백 분리 방침을 지지한 사실이 부각되면서 학교 쪽이 그의 이름을 지우기로 한 것이다.
같은 날,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에선 민주당 당원들이 미국 서부영화의 대부 격인 배우 존 웨인의 이름을 딴 ‘존 웨인 공항’의 이름을 ‘오렌지카운티 공항’으로 변경하라는 내용이 담긴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들은 존 웨인이 생전에 “흑인이 노예였다는 것에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등 인종차별적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는 것을 문제 삼아, 시 당국에 공항 명칭 변경과 함께 공항에 세워진 그의 동상 철거를 요구했다.
지난달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이후 전국적인 인종차별 반대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위인으로 추앙받았던 인물들이 청산 대상에 오르고 있는 것이다. 앞서 시카고에선 미국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의 동상이 ‘노예 소유주’란 낙서로 훼손되는 일이 벌어졌고, 수도 워싱턴에선 ‘20달러 지폐의 주인공’ 앤드루 잭슨 전 대통령의 철거 시도가 벌어지기도 했다.
인종차별 반대 시위대의 동상 훼손 행위가 이어지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법이 허용하는 최대치로” 처벌받게 하겠다며, 공공 기물인 동상에 피해를 입히는 시위대를 체포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 정의길 기자 >
'●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 검찰 "트럼프 체포영장…인터폴 수배 요청" (0) | 2020.06.30 |
---|---|
90살 부친 찾아…하늘길 막혀 대서양 보트항해 (0) | 2020.06.30 |
트럼프 재선가도 '빨간불' …코로나19 재확산에 곤경 (0) | 2020.06.29 |
인도경찰 구금자 하루 5명꼴 사망…만연한 폭력에 분노 (0) | 2020.06.29 |
‘G7 확대’ 일본, "예상대로" 한국 참여 어깃장 (0) | 2020.06.29 |
일본, 백신 사재기는 잽싸게…임상시험 미완 불구 확보경쟁 (0) | 2020.06.28 |
저커버그, ‘트럼프 글 유지’ 여파, 하루만에 8조원 날려 (0) | 2020.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