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도착 생중계까지, 대대적 환영 …대미외교 승리로 평가
정부가 마련한 전세기 타고 귀국 후 공항서 외국 정상급 의전
중국 정부 · 매체, 맞교환 구도로 석방된 캐나다인 2명 관련해선 '침묵'
25일 중국 선전의 바오안공항에서 멍완저우를 환영하는 중국 시민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검찰에 기소돼 캐나다에서 가택연금 상태로 있다가 24일 풀려난 멍완저우(孟晩舟) 화웨이 부회장이 중국 정부가 마련한 에어차이나 전세기 편으로 귀국하는 등 중국 안에서 '영웅 대접'을 받고 있다.
중국 중앙TV(CCTV)를 비롯한 중국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멍 부회장은 중국 정부 전세기편으로 캐나다를 출발해 25일(중국 현지시간) 밤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의 바오안(寶安)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선전은 화웨이 본사가 있는 곳이다.
CCTV 화면에 따르면 공항 활주로에는 수십 명의 시민들이 환영 메시지가 적힌 현수막을 펼치고 중국 국기를 흔들며 멍 부회장을 맞이했다. 멍 부회장은 마치 중국을 찾은 외국 국빈처럼 트랩을 타고 전세기에서 내려와 시민들과 취재진 앞에서 성명을 낭독했다.
그에게 꽃다발을 전달한 사람들은 전신 방호복 차림이었지만 멍 부회장은 마스크도 착용하지 않은 채 모습을 드러냈다.
귀국해 트랩에서 내려오는 멍완저우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중앙TV 화면에 따르면 붉은색 원피스 차림의 멍 부회장은 마치 국빈 방문한 외국 정상처럼 공항 활주로에서 트랩(이동식 계단)을 타고 전세기에서 내려와 중국 국기를 흔들며 기다리고 있던 시민들과 취재진 앞에서 성명을 낭독했다.
멍 부회장은 "조국이여, 내가 돌아왔다"며 운을 뗀 뒤 "위대한 조국과 인민, 당과 정부의 관심에 감사한다"며 "보통의 중국인으로서 조국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관심을 가져준 것에 깊이 감동을 받았다고 밝힌 뒤 "지난 3년을 돌아보며 나는 각 개인과 기업, 국가의 운명이 실제로 연결돼 있음을, 조국이 발전하고 창성해야 기업도 안정적으로 발전하고 국민도 행복하고 안전할 수 있음을 더 분명히 알게 됐다"고 밝혔다.
중국 주요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百度)는 바오안 국제공항의 상황을 멍 부회장의 입국 5∼6시간 전부터 생중계했다. '집으로 돌아온 것을 환영합니다'라는 글귀가 적힌 현수막 등을 들고 환영 나온 시민들과 취재진이 운집한 채 멍 부회장이 나타나길 기다리는 등 공항 현장의 고조된 분위기가 온라인 중계를 통해 전해졌다.
바이두와 소셜 미디어의 주요 검색어 목록에는 이날 하루 종일 멍완저우와 관련된 내용이 올라와 있었다.
멍완저우 태운 중국 정부 전세기 (신화=연합뉴스)
멍 부회장이 이 같은 환대를 받는 것은 그의 기소 및 체포, 가택연금 등을 미국의 대 중국 압박 정책의 일환으로 보고, 그를 무고한 희생자로 간주하는 시각이 중국 내에서 만연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멍완저우 사건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일관되고 명확하다"며 "한 중국 국민에 대한 정치 박해 사건이고, 목적은 중국의 하이테크 기업을 탄압하는 것이라는 사실이 이미 충분히 증명됐다"고 주장했다.
또 많은 중국 매체들은 관련 보도에서 멍완저우를 '여사'로 칭하는 한편, 멍 부회장이 풀려난 데는 "중국 정부의 부단한 노력"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시나닷컴이 "중국 외교가 미국을 상대로 거둔 하나의 승리"라고 쓰는 등 다수 매체가 '중국의 승리'를 거론했다.
반면 중국 정부 당국과 매체들은 중국에서 간첩 혐의로 수감됐던 캐나다 국적 대북 사업가 마이클 스페이버와 전직 외교관 마이클 코브릭이 이날 석방돼 귀국한 사실은 언급하지 않았다.
중국과 캐나다 간에 '맞교환' 구도로 멍완저우와 캐나다인 2명의 석방이 각각 이뤄졌지만 외신을 접한 사람을 제외한 다수의 중국인은 멍완저우가 풀려난 사실만 알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멍완저우 석방용 교섭 카드' 캐나다인 2명, 캘거리 귀환
트뤼도 총리 공항에서 두 명 영접하며 포옹
중국에서 간첩혐의를 받았던 캐나다인 마이클 스페이버(좌측)와 마이클 코브릭(우측)
중국이 통신장비업체 화웨이(華爲)의 멍완저우(孟晩舟) 부회장 석방 교섭을 위해 억류한 것으로 알려진 캐나다인 2명이 고국으로 귀환했다.
AFP통신 등 외신은 25일 캐나다 시민 마이클 스페이버와 마이클 코브릭이 이날 오전 캐나다 캘거리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이들을 포옹하고 환영했다.
대북 사업가 스페이버와 전직 캐나다 외교관 출신인 코브릭은 2018년 12월 멍 부회장이 미국에서 체포된 지 9일 뒤 중국 당국에 체포됐다.
중국에서 석방된 캐나다인 2명을 태운 캐나다군 항공기가 캘거리국제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북한 관광 사업을 벌였던 스페이버는 지난달 '외국을 위해 정탐하고 국가기밀을 불법 제공한 혐의'로 징역 11년을 선고받았다.
스페이버는 미국 농구 선수 출신 데니스 로드먼의 방북을 주선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대면한 적도 있는 인물이다.
중국 법원이 캐나다인 사업가에게 중형을 선고한 데 대해 '캐나다가 미국의 요청으로 이란 제재 위반 혐의를 받는 멍 부회장을 체포한 데 따른 보복'이란 해석이 적지 않았다.
앞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성명에서 "중국 당국이 2년 반 이상 독단적으로 억류됐던 캐나다 시민 마이클 스페이버와 마이클 코브릭을 석방한 것에 대해 미국 정부는 국제사회와 함께 환영을 표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 "멍완저우 석방에도 미중 긴장 여전…근본 해결 아냐"
SCMP "가까운 시일 내 미중관계 바뀔 가능성 작아"
NYT "이란·북한과의 거래 허용한다는 잘못된 메시지 줄 것“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의 멍완저우(孟晩舟) 부회장이 캐나다 가택연금에서 24일 풀려났지만 가까운 시일 내에 미중관계가 바뀔 가능성은 작다는 관측이 나왔다.
멍 부회장은 미국의 대이란 제재 위반 혐의로 2018년 캐나다에서 체포돼 그동안 가택연금 상태에 있다가 미국 법무부와 기소 연기에 합의하면서 2년 9개월 만에 중국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미 우드로윌슨센터 산하 키신저미중연구소의 로버트 댈리 소장은 미중 간 불신이 심각해 이번 석방 자체가 미중 관계의 긴장을 누그러뜨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보도했다.
그는 오히려 중국이 미국의 무리한 기소에 대한 '승리'를 주장하면 관계를 악화시킬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봤다.
미국 싱크탱크 퀸시 연구소의 이선 폴 연구원은 이번 석방 조치는 지난 7월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과 셰펑(謝鋒) 중국 외교부 부부장의 톈진(天津) 회담 때 중국이 요구한 사항 중 미국이 처음으로 이행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캐나다에서 재판을 받은 멍완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