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후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서 광주 지역 학부모들이 ‘함께 분노하겠습니다’ 등이 적힌 손팻말을 든 채 바다를 바라보고 있다. 이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뜻을 모아 이곳에 왔다.
“해경-해군 합동훈련 1박2일짜리 연 2회뿐”
결국 우려가 현실로
해경이 세월호 사고 이전부터 “심해 침몰사고 대응 경험이 부족하다”는 자체 진단에 따라 해군과 합동훈련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골든타임’을 놓치는 구조 난맥상과 해군 등 유관 기관과의 엇박자가 ‘예고’돼 있었던 셈이다.
<한겨레>가 2일 해경에 정보공개청구를 해 받은 ‘해양경찰청-해군본부 간 협력 안건’ 보고서를 보면, 남해지방해양경찰청(남해청)은 해양 재난사고와 관련한 문제점으로 ‘심해잠수 기법을 이용한 심해 침몰사고 대응 경험 부족’을 꼽았다. 그러면서 “2회에 불과한 해경-해군 합동 항공구조 훈련으로는 다수의 해상 조난자 구조를 위한 신속성과 합동성을 발휘하기 어렵다”고 적시했다.
남해청 관할인 부산·울산·여수·통영·창원 등 5개 해역에서 해난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지방해양경찰청 가운데 유일하게 남해청에만 특수구조단이 있다. 해경은 지난해 3월과 5월 두 차례 해군과 항공구조 합동훈련을 했다. 당시 남해청 특수구조단은 해군 해난구조대(SSU)와 함께 체력 훈련, 구조 장비를 이용한 육상 구조 훈련, 해경 항공기를 이용한 해상 인명 구조 훈련을 실시했다. 훈련 기간은 1박2일씩이 전부였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지난달 30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해군과 해경이 합동훈련을 해왔다”고 했지만, ‘모였다가 흩어지는’ 1박2일짜리 훈련이라는 사실은 밝히지 않았다.
남해청은 보고서에서 ‘해양사고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해군과의 합동훈련 및 상호교육, 훈련시설 이용 등 전문 교육과정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세월호 사고 직전인 4월 초에 작성됐다. 해경의 ‘우려’는 세월호 사고에서 곧바로 현실이 됐다. 심해잠수를 전문으로 하는 특수구조단은 세월호 침몰 때 뒤늦게 사고 해역에 도착했다. 남해청 관계자는 “인명 구조를 위해 헬기를 다 보내고 나니 특수구조단이 이동할 헬기가 없었다. 해군이나 유관 기관의 항공기 사용을 고려했지만 김해공항과 목포공항을 거쳐 현장으로 가는 데 시간이 걸렸다”고 했다. 해군은 또 사고 당일인 16일 오후 6시께 세월호 선체까지 이어지는 유도선(가이드라인)을 가장 먼저 설치했지만 해경의 ‘현장 지휘’를 따르느라 해난구조대와 특수전전단(UDT) 잠수요원을 투입하지 못했다.
해경이 수중 구조를 ‘언딘’ 등 민간 구난업체 쪽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도 확인됐다. 해경은 현재 심해잠수 교육을 해군에 위탁해 받고 있다. 남해청은 보고서에서 “잠수·감압병 등 잠수 질환 응급처치 역량 확보가 필요하다. 감압실 등 전문 잠수병 치료장비 운용 요원도 2명밖에 없어 추가 양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해경은 “이 보고서는 남해청의 의견으로 4월 초부터 협력 과제를 자체 발굴해 보고한 사항이다. 이는 해경의 공식 입장이 아니며, 현재 본청 차원에서 내부 검토 중인 사안”이라고 밝혔다.
<서영지 기자>
'● Hot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주 3당대표 격론 (0) | 2014.06.08 |
---|---|
길환영 KBS 사장, 기자회견 돌연 취소 (0) | 2014.05.19 |
논란 부른 청와대 “순수 유가족” 표현 (0) | 2014.05.10 |
왜 UDT 아닌 민간? ‘언딘’을 둘러싼 6가지 의문 (0) | 2014.04.25 |
2분 만에 떠날 거면 기자 30명은 왜 불렀나 (0) | 2014.04.15 |
‘동북아 역사전쟁’ 한·중 대 일본 대치 장기화 우려 (0) | 2014.04.06 |
G8 러시아 “추방” ‥ 핵안보 정상회의는 “핵무기 추방” (0) | 201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