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와 가족, 한국인들 모두… 치유를 위한 전문가들의 조언
혼자라고 느낄 때 더 큰 고통‥ 세심한 보호·치유필요
잘잘못 문책하되, 강하고 더 나은 사회 향한 희망 줘야
세월호 참사는 부실한 재난 대응 시스템의 총체적 난국을 보여주었다. 다시는 재발이 없도록 잘못된 제도와 체계, 인식 등의 개선과 동시에 이미 발생한 피해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 핵심은 재난 피해자에 대한 사후 관리와 지원이다. 이들이 겪는 심리적 어려움이 무엇이고, 치유하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할까. 정신과 전문의와 심리상담 전문가들에게 들었다.
서천석 서울신경정신과 원장은 “대형 재난을 겪은 모든 이들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입는 것은 아니다”라고 전제, 4가지 요소에 따라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정도가 다르다고 설명했다. 네 가지는 기존의 심리취약성, 사건의 강도, 대응능력, 지지체계 등이다. 서 원장은 “생존자들의 유형이 다양하다. 충격을 적게 받은 사람도 있고, 크게 받은 경우도 있다. 또한 기존에 불안하거나 우울했던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곁에 믿고 의지할 사람이 있는지 여부도 다양하다”고 말했다. 이런 다양한 상황으로 인해 트라우마에 대해 다루고 언급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 서 원장의 의견이다. 그는 “불과 몇년 전만 해도 트라우마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사용되는 용어였는데, 어느덧 전국민이 아는 단어가 됐다. 지금 언론은 대형 재난이 발생하면 피해자 모두에게 트라우마가 있다는 식으로 다룬다. 그렇게 할 경우 두 가지 문제가 있다. 하나는 자연스럽게 극복한 사람이 오히려 ‘내가 이상한 건가’라고 생각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회복력을 믿으며 트라우마를 극복하지 못하고 계속 그 상태에 머문다는 것이다. 그는 또 “피해자를 상처의 잣대로만 보는 것이 문제다. 사람들은 흔히 피해자들이 늘 슬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사람이 굉장히 복잡다단한 존재이기 때문에 때때로 웃거나 즐거울 수 있다. 그럴 때 오해해서 ‘이런 상황에 웃음이 나오냐’고 한다면 심각한 2차 가해를 하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 대부분 사회적 관심서 멀어져
피해자들이 자연스럽게 애도를 하고, 각성 상태가 가라앉을 때까지 믿을 수 있는 사람이 곁에 있어 주는 것도 중요하다. 서 원장은 “꼭 치유로 접근하지 않아도 곁에서 안정적으로 마음을 지지해줄 사람이 있으면 자연치유력이 작동한다.”고 설명했다. 문요한 더나은삶정신과의원 원장은 “고통 그 자체도 힘들지만, 고통 속에서 혼자 남겨질 경우 치유력이 작동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피해자들에게 ‘마음을 강하게 먹어라’ ‘왜 그리 약하냐’ 등의 말은 오히려 감정을 억압해 증상을 악화시킨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재경험, 회피, 과각성 등 크게 세 가지 증상을 보인다. 반복적으로 자신에게 충격을 준 사건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거나 악몽을 꾸는 것이 ‘재경험’이고, 사고와 관련된 것을 피하거나 외부와의 관계를 단절하는 것이 ‘회피’, 신경이 예민해져 작은 자극에도 과도하게 반응하는 것을 ‘과각성’이라고 한다. 이런 세 가지 증상은 슬픔, 분노, 죄책감, 두려움, 우울 등의 감정과 결합된다. 정운선 교육부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장(경북대 소아정신과 교수)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결국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어려움”이라고 표현했다.
♣ ‘내가 이상한건가’ 생각 불필요
서 원장은 “학생들의 회복을 위해선 교사들이 먼저 안정을 찾고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건 직후부터 단원고에 머물며 지원활동을 해온 서 원장은 “사건 직후 교사들이 자신감을 잃어 어느 것 하나도 결정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죄책감을 크게 느끼는 교사들도 상당수고, 비난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도 있을 것이다. 교사라는 지위로 인해 위로나 지지를 받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 18일 “혼자 살기에 힘이 벅차다”는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단원고 강아무개(52) 교감에 대해 서 원장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라기보단, 급성 스트레스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분은 보호조치하고 현장과 격리해야 한다. 재난 대응 매뉴얼이 부재해 소중한 생명을 잃은 것이 아닌가 싶다. 생존자 중에서도 죄책감을 강하게 느끼는 사람들을 특별히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정 연구원은 “학생이나 친구들을 구한 사람들을 언론이 집중 조명하는데, 자칫 잘못하면 이들에 의해 구조받은 사람들이 크게 죄책감을 느낄 수 있다.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다’가 아니라 ‘소중한 생명을 구했다’는 식으로 세심한 보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언론 부주의, 트라우마 악화
전문가들은 언론이 생존자와 실종자 가족, 유가족의 상처가 덧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조 직후 경황없는 상태에서 응한 인터뷰가 반복적으로 보도된다. 실종자 가족들에게 불시에 카메라를 들이댄다. 언론의 부주의한 취재와 보도가 피해자들의 트라우마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 ‘보스턴 스트롱’을 기억하세요
대형 재난으로 인한 우울감과 불안이 지역사회로 퍼지고, 전사회적으로 확대되기도 한다. 전홍진 성균관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보스턴 스트롱’(Boston Strong)의 예를 들어 사회적 처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보스턴 스트롱은 지난해 4월15일 보스턴 마라톤 대회에서 3명이 사망하고 183명이 부상당한 폭탄테러가 발생한 뒤 보스턴시가 내세운 구호다. 전 교수는 “지난 1년간 보스턴에선 어딜 가도 보스턴 스트롱이란 구호가 넘쳐났다. 이들은 테러라는 재난을 겪고 나서 위기대응 체계를 강화했고, 상처 입은 사람들의 치유에 힘썼다. 보스턴은 상처를 치유하고 일어설 만큼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사람들이 한마음으로 뭉쳤다. 이 과정에서 피의자가 소속된 체첸계 소수민족에 대한 공격이나 적개심도 나타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결국 1년 뒤인 올해 4월21일 제118회 보스턴 마라톤은 지난해보다 더 큰 규모로 치러졌다. 출전 선수는 3만5755명으로 1만명이 더 늘었고, 관람객도 100만여명으로 예년의 두배 규모였다. 전 교수는 “이번 재난에서 잘잘못과 책임도 분명히 따져야 하지만, 우리 사회가 상처를 견디고 일어설 만큼 강하고, 더 나은 사회로 나갈 수 있단 희망을 줘야 한다. 그게 결국 상처 입은 사람들의 치유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 뉴욕엔 아직도 ‘9.11 치유 광고’
상처 입은 사람들에 대한 치유와 관심이 일회성에 그쳐선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정 연구원은 “미국 뉴욕의 지하철에는 아직도 ‘9.11 테러로 심리적인(psychological)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도움을 얻는 방법’을 알리는 광고가 곳곳에 있다. 이번 세월호 사고에서 지금도 혼자 고통을 감당하는 사람들이 꽤 있을 것이다. 이들을 위해 정부는 일회성 관심과 치료가 아닌 장기적인 지원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트라우마는 재난과 재해뿐 아니라 전쟁과 학살, 범죄피해 등에 의해서도 만들어진다. 한국 사회는 이미 트라우마를 양산한 환경인 셈이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사람들은 감정조절에 문제가 생기고,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다. 그리고 이들은 다시 모든 문제의 원인을 스스로에게 전가해 극심한 죄책감을 느끼거나, 외부로 표출해 분노를 발산한다. 이들이 겪는 트라우마의 근원이 사회에서 비롯됐음을 알려주고, 회복과 치유에 힘쓰는 일을 더 늦기 전에 시작해야 하는 이유다.
< 윤형중 기자 >
'● 건강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맥’ 즐기는 중년남성 ‘요주의’ (0) | 2014.07.14 |
---|---|
‘돌연사 1순위’ 심근경색 (0) | 2014.06.17 |
‘세월호’같은 가정은 아닌가 행복에 충실한지, 따져보자 (0) | 2014.06.09 |
충격적 경험 후유증 방치 금물 (0) | 2014.04.27 |
봄이다, 기지개켜고‥ 걸어보자 (0) | 2014.04.21 |
성장위해 고른 섭취를 (0) | 2014.04.06 |
‘침묵의 장기’ 콩팥 … 기능저하 최대한 늦춰야 (0) | 201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