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 성경 요나서에는 박넝쿨의 이야기가 있다. 요나 선지자는 하나님께서 니느웨 성에 가서 복음을 전하라고 하였으나 그는 민족 선지자로 차마 갈 수가 없었다. 그는 적진 나라가 잘되는 것이 자신의 나라에 불리하다는 편협한 생각에 다시스로 도망을 간다. 가는 도중 풍랑을 만나게 되며 제비를 뽑아 결국 바다에 던짐을 받았으나 하나님은 큰 고기를 준비하여 그로 하여금 회개하고 다시금 니느웨에 가서 복음을 전하게 하셨다. 복음을 들은 왕은 온 백성과 짐승으로 하여금 베웃을 입고 회개하므로 요나는 기뻐하기 보다는 자신의 나라의 불이익을 생각하며 나라가 망하기를 박넝쿨 아래에서 기다린다. 그러나 햇빛으로 인하여 박넝쿨이 시들게 되므로 뜨거운 태양 아래서 불평을 할 때에 하나님은 네가 심지않은 박넝쿨도 사랑하는데 하물며 온 백성을 아끼는 것이 합당치 않느냐고 반문하신다.


나는 지난해 뒷마당에 호박 씨앗을 심고 물을 주어 잘 자란 아름다운 토종 호박 몇 덩어리를 추수 감사절에 하나님의 전에 감사 예물로 드렸다. 열매가 얼마나 큰지 모두가 호박 농사를 잘 지었다고 칭찬을 들었다, 참으로 신기한 일은 호박 넝쿨이 담을 타고 열매가 열렸을 때에 잘 크도록 받침대를 놓아두었더니 얼마나 더 크게 잘 자라는지…. 올해는 그냥 담 주변에 줄을 쳐 주었는데 호박 넝쿨은 신기하게도 줄을 따라 나날이 뻗어가며 주렁주렁 열렸다. 그런데 호박이 작년만큼 크지는 않는 것이었다. 가만히 생각해보니 더 클 수 있는 받침대가 없었던 것이다. 미물인 채소도 자신의 넝쿨에 비례해 어느 정도 계산을 해서 열매인 호박을 키운다는 사실이다, 호박이 넝쿨에 비해 너무 크면 모든 줄기가 다 끊어지지 않겠는가. 하찮은 호박도 열매를 계산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는 것 같아 신비로움을 새삼 느꼈다. 그렇다고 거름을 하지 않은 것도 아니다. 오히려 더 많이 했다고 생각하면서 어떤 결과가 나오는가 보았다. 하지만 올해는 호박 크기가 작았다. 이유가 무엇일까 곰곰이 생각해 보니…, 엣 선조들이 지붕에 올라간 호박이나 박에 받침대를 해준 이유를 그제야 알아채고 놀란다. 더 크게 결실하도록 손을 쓴, 식물인 호박의 습성을 잘 아는 참 지혜였음을 깨닫게 해준다. 농부가 식물을 어떻게 대하는지에 따라 소출이 좌우되므로 생각과 태도가 정말 중요하다는 말이 아니겠는가? 이런 말이 생각난다. ‘밭에 있는 곡식은 농부의 발자국을 들으면서 자란다’ 는.


요사이 목축을 하는 분들은 소나 젖소의 우사에 음악을 들려주면 더 잘 자라고 젖도 더 많이 생산된다고 한다. 말 못하는 식물도 동물도 주인이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서 현저히 달라짐을 새삼 느끼게 된다.
식물의 세계를 바라보면서도 하나님의 무한한 지혜와 능력을 깨닫게 되고 또 나 자신에게 주는 말없는 언어를 읽게 된다. 그렇다. 무어라는 신학자는 “자연은 하나님의 상형문자”라고 했다. 사물을 바라보면서 주는 의미를 깨닫는 것이다. 마치 솔로몬 왕이 하나님이 숨겨준 보물을 인간이 찾아내는 보물찾기와 같다고 한 것처럼 말이다. 초등학교 시절 봄과 가을 소풍에 빠지지 않는 놀이가 있다면 보물찾기다. 찾는 자의 기쁨은 말 할 수 없이 즐겁고 기쁜 일이 아닌가?


호박아, 너도 주인에게 사랑받는 더 큰 호박으로 거듭나고 싶다고, 볼 때마다 느끼게 하는구나, 자신을 땅에 심어준 농부의 마음을 헤아려 주렁주렁 열린 큰 열매로, 심어준 자에게 기쁨을 주고 싶다는 너의 간절한 소원을 읽게 하는구나. 오늘도 호박을 바라보면서 그래, 내년엔 꼭 더 클 수 있도록 거름도 많이 주고 꼭 받침대를 해주겠다고, 네가 주는 아름다운 모습과 지혜에 새삼 약속을 다져본다.

< 안상호 목사 - 동산장로교회 담임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