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달 순위는 경제력과 비례

● 스포츠 연예 2016. 8. 23. 19:43 Posted by SisaHan

올림픽 최다 메달 보유자인 미국 마이클 펠프스.

경제규모, 인구 기본변수로 한 금융기업·컨설팅사 예상 적중
2016년 GDP 순위와도 비슷해


냉전시대 올림픽은 체제 경쟁의 장이었다. 한때 남한과 북한 역시 체제 우위를 과시하기 위해 운동선수를 집중적으로 양성했고, 미국과 소련, 동독과 서독도 치열하게 메달 경쟁을 벌였다. 1980 모스크바올림픽과 1984 로스앤젤레스올림픽은 각각 자유진영과 공산진영이 집단적으로 불참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체제 경쟁이 사라진 자리에는 자본의 논리만이 남았다. 올림픽은 상업주의와 스포츠 마케팅, 각국의 경제력을 과시하는 장으로 변모했다. 이제 올림픽을 앞두고 각국의 메달 전망을 경제학자들이 하는 시대가 왔다. 그리고 놀랍게도 경제학자들의 메달 예측은 꽤 들어맞는다.

영국 <가디언>은 2016 리우올림픽 개막 직전인 지난 6일 글로벌 금융기업 골드만삭스와 세계 최대 컨설팅 업체 피더블유시(PwC)의 경제학자들이 예측한 메달 전망을 보도했다. 이들의 예측에서 구체적인 메달 수와 순위는 다소 틀렸지만, 큰 틀에서는 벗어나지 않았다. 특히 메달 집계 10위권 국가들이 어디인지는 정확히 예측했다. 이번 대회에서 영국이 2위를 차지한 것이 다소 이변으로 받아들여졌지만, 골드만삭스는 영국이 중국에 이어 3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크게 틀리지 않은 셈이다. 특히 골드만삭스는 러시아, 독일, 일본, 프랑스 차례로 4~7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정확히 예측했고 8~10위도 순서가 다소 틀렸을 뿐 한국과 이탈리아, 오스트레일리아(호주)가 포함될 것이란 점은 정확히 맞혔다.

경제학자들은 어떻게 메달을 정확히 예측했을까. 피더블유시의 수석경제학자 존 혹스워스는 “메달은 경제력의 거울이나 다름없다”고 <가디언>을 통해 말했다. 이들 경제학자는 경제 규모와 인구를 기본 변수로 두고, 개최국 효과나 각국의 특성 등도 두루 반영해 예측했다. 예를 들어 이슬람교도가 많은 국가에는 여성 운동선수가 거의 없는 점을 고려하는 식이다.

꼭 경제학자가 아니더라도, 각국의 경제력으로 메달 전망을 하기가 어렵지 않다. 일례로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산한 2016년 국가총생산(GDP) 순위와 올림픽 메달 순위도 상당 부분 겹친다. 특히 국가총생산 15위 이내의 국가 중에서 메달 15위 이내에 들어가지 못한 국가는 인도와 캐나다, 멕시코뿐이다. 인도와 멕시코는 경제력에 비해 인구가 많고, 캐나다는 경제력에 비해 인구가 적다.

올림픽 메달이 경제력의 영향을 크게 받다 보니, 경제력에 비해 선전한 국가들이 조명을 받기도 한다. 영국 <텔레그래프>는 21일 대만, 그레나다, 자메이카 등을 대표적인 저비용 고효율 국가로 꼽았다. 리우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한 대만은 국가총생산 1000억파운드(약 150조원)당 메달을 272.9개 얻은 셈이다. 인구가 적은 섬나라 그레나다와 자메이카도 각각 1000억파운드당 메달을 102.2개, 78.5개 딴 셈이다.

개최국 효과도 여전히 강력하다. 영국은 2012 런던올림픽을 위해 선수 육성에 힘쓴 결과가 2016 리우올림픽에서도 효과를 발휘했다. 2020 도쿄올림픽을 앞둔 일본 역시 마찬가지다. 특히 일본은 단거리 육상인 400m 남자 계주에서 자메이카에 이어 은메달을 목에 걸며 세계를 놀라게 했다.
<윤형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