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을 취득한 해외 입양인들이 모국 법무부 청사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국적 찾은 입양인들 “우리도 한국인‥가슴 벅차”
“정체성 고민 많이 하며 이유없이 허전했던 마음, 한국오면 채워져 뿌듯”

김한원(30·미국 이름 킴벌리 존슨)씨는 2년 전 한국행 비행기를 타고 공항에 내리던 순간을 또렷이 기억한다. “오 마이 갓, 모두가 나처럼 생겼어.” 한동안 움직이지 못했다. 세살 때 미국 세인트루이스로 입양된 김씨는 동양인이라곤 찾아보기 힘든 마을에서 늘 “어디 출신이냐”는 질문을 받으며 자랐다. 어린 시절 “나는 어디 출신일까”라는 질문은 풀기 힘든 숙제였다.
스무살이 되던 해 자신을 국외입양 시켰던 홀트아동복지회를 통해 친아버지의 편지를 받았다. 아버지는 “네 어머니와 이혼한 뒤 너를 입양 시키고 매일 그리워했다”고 말했다. 2006년 미국에서 올린 결혼식에 친아버지를 초대했다. 아버지는 오래 울었다. 아버지의 눈물을 보며 김씨는 한국행을 결심했다. 2년 전 은행원인 미국인 남편과 함께 안정된 직장을 버리고 무작정 한국에 왔다. 현재는 어학원에서 영어강사로 일하며 한국어 공부를 하고 있다.

19일 김씨를 포함해 14명의 국외입양인이 한국 국적을 얻었다. 이날 오전 11시 법무부는 국외입양인들에게 국적증서를 수여하는 행사를 열었다. 올해부터 우수 인재, 국외입양인 등 일정한 요건을 갖춘 외국인에게 이중국적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 개정 국적법이 시행됐다. 법 시행 뒤 국외입양인들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입양인들은 수여식이 끝난 뒤에도 둘러앉아 이야기를 나눴다. 그동안 친부모를 찾기 위해 7차례나 방송 등에 출연했다는 신태호(33)씨는 미국에 살면서도 국적 회복과 관련된 일이라면 매번 한국으로 달려왔다. 그는 “지난해 국적 회복 관련 회의에도 참석했고 지난 1월에는 국적 회복 신청이 시작되자마자 한국에 왔다”며 “아직 가족을 찾진 못했지만 앞으로 한국인 아내와 함께 한국에서 살고 싶다”고 말했다.
태어나자마자 캐나다로 입양됐던 김금여(24)씨는 “한국의 가족을 찾지는 못했지만 한국에 오면 이유 없이 허전했던 마음이 채워진다”며 “지난해 8월부터 한국에서 살며 휴대폰 개통부터 은행 이용, 의료보험, 비자 등 모든 면에서 힘들었는데 이제 한국 국적을 갖고 당당하게 살고 싶다”고 말했다.

둘 다 네덜란드 입양인인 신승엽(40)씨 부부는 모두 한국 국적을 취득하게 됐다. 이날 부부는 자녀 셋과 함께 국적 수여식에 참석했다. 신씨는 “아이들에게 우리의 뿌리가 한국이라는 자긍심을 심어주기 위해 국적 회복을 신청했다”고 말했다.
외국 국적을 포기하지 않고 한국 국적을 취득하려면 국내에서 외국 국적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하고 심사를 받으면 된다. 한국 국적을 얻고자 하는 국외입양인이나 이중국적 취득을 원하는 외국인은 법무부 국적·난민과(전화 02-500-9224)를 통해 절차를 안내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