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재단 6월 미 경매서 매입해 국내 환수

18일부터 국립 고궁박물관에서 일반 공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지난 6월 미국 경매에서 매입한 해시계 앙부일구’. 조선 4대 임금 세종 치세기의 발명품이지만, 환수된 앙부일구는 18~19세기 제품이다.

       

500여 년 전인 143410, 서울 거리에 사상 최초로 공중용 해시계가 등장했다. 종묘 앞과 종로 1가 중학천에 걸친 다리인 혜정교 앞에 각각 설치된 해시계의 이름은 앙부일구’(仰釜日晷). 당시 재위 16년째를 맞은 조선 4대 임금 세종(1397~1450)이 과학자 장영실과 이천, 김조 등에 명령해 처음 만든 이 해시계는 솥뚜껑을 뒤집어 놓은 모양의 오목한 금속제 구형 그릇 안 쪽에 뾰족한 시침 막대를 놓고, 여기에 비치는 햇살의 방향에 따라 그림자가 지게 해 시간의 흐름을 알려주는 발명품이었다.

영침 둘레에는 하루의 시각선이 표시됐다. 글을 모르는 백성들도 단번에 보고 알게끔 각 시각을 상징하는 쥐와 소, 호랑이, 토끼 등 십이지 동물상을 그려 넣었다고 전해진다. 실제로 <조선왕조실록> 세종 16102일조에는 혜정교와 종묘 앞에 설치한 앙부일구로 시간을 잰 뒤 보고한 내용이 전한다. “()의 몸을 그렸으니 어리석은 백성을 위한 것이요, ()과 분()이 빛나니 해에 비쳐 밝은 것이요, 길옆에 설치한 것은 보는 사람이 모이기 때문이다라고 기록해 백성을 위한 애민의 마음으로 십이지상이 그려진 해시계를 설치했음을 알 수 있다. 세종대의 발명품인 앙부일구는 그 뒤 조선 시대 말까지 공중용 시계는 물론 도자기나 목제 등의 휴대시계 등 여러 모양과 크기로 만들어져 퍼지게 된다.

1446년 창제한 한글과 더불어 세종대왕의 애민사상이 구현된 중요 발명품으로 꼽히는 앙부일구’(仰釜日晷) 완형품이 최근 미국에서 고국으로 되돌아왔다. 문화재청 산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최응천)은 지난 6월 미국 경매에서 매입한 18~19세기 제작품 앙부일구17일 오후 2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에 공개한다.

재단 쪽은 지난 1월 이 유물이 현지 경매에 출품된다는 정보를 입수한 뒤 유물에 대한 조사와 국내 소장 유물과의 비교분석 등을 진행했다. 경매는 원래 3월 치러질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확산사태로 수차례 취소되고 연기되는 곡절을 겪었다. 결국 6월 경매에서 낙찰받아 입수한 뒤, 지난 8월 국내로 들여왔다.

<국조역상고> 1에 기록된 앙부일구의 북극고도 관련 기록(붉은 선으로 친부분). ‘숙종 39년인 1713년 청 사신 하국주가 한양 종로에서 북극고도를 측정해 373915초의 값을 얻었다는 내용으로 이 측정값을 명문에 표기한 앙부일구 환수품의 제작 시기가 1713년 이후임을 입증하는 근거가 된다.

앙부일구는 직역하면 하늘을 우러러보는 가마솥 모양에 비치는 해 그림자란 뜻이다. 조선 시대 과학 기술 수준과 백성을 위한 정책을 보여주는 대표 유물이다. 환수된 앙부일구는 지름 24.1, 높이 11.7, 4.5의 동합금 유물이다. 몸체에 1713(숙종 39) 한양 위도 측정치인 북극고 373915(北極高三十七度三十九分一十五秒)’란 명문이 새겨져 1713~19세기 초 사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솥뚜껑을 엎은 전형적인 앙부일구 형태를 띠고 있지만, 숙련된 장인의 솜씨로 구형용기에 시각선과 계절선, 24절기의 명칭을 은입사 기법으로 새겨넣었고, 받침 다리엔 화려한 구름과 용 문양까지 장식해 조형성까지 지닌 최상급 앙부일구로 평가된다. 박물관 쪽은 환수된 앙부일구는 서울 위도에서 정확한 시간을 읽을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 특징이라며 고국의 하늘 아래로 돌아와 정확한 시간을 가리킬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환수의 의미가 더욱 깊다고 밝혔다.

환수된 앙부일구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 뾰족한 모양으로 해 그림자를 드리우며 시간을 알려주는 영침(影針)과 그 둘레에 시각을 가리키는 시각선이 그려져 있다.

현재 앙부일구는 세종 당시의 원본은 사라졌고, 조선 후기 제작품만 남아있다. 동합금 금속·대리석·도자기 등 재료별로 여러 크기의 유물이 있는데, 앙부일구를 대표하는 동합금 제품은 환수품 외에 모두 7점이 국내에 전한다. 보물 2점을 포함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3점을 비롯해 고려대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성신여대박물관이 각각 1점씩 소장 중이다. 국외에는 영국 옥스퍼드과학사박물관, 일본 세이코박물관 등에 3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궁궐 권역인 덕수궁 석조전과 창덕궁 대조전·주합루, 창경궁 풍기대·옛 장서각 터 앞에는 왕실에서 앙부일구를 설치했던 대도 남아있다.

돌아온 앙부일구는 앞으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관리하면서 자격루, 혼천의 등의 다른 과학 문화재와 함께 연구·전시 등에 활용된다. 문화재청은 18일부터 다음 달 20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과학문화실에서 환수한 앙부일구를 공개할 예정이다. 노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