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총리 취임 뒤에도 공저 안 들어가고 의원 숙소 거주
‘징크스 의식’ 논란 속  “긴급사태 즉각 대처 우려” 비판

 

일본 총리의 집무 공간인 관저 옆에 있는 총리의 거주 공간인 공저 모습. 총리 관저 누리집

 

지난 13일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7.3의 강진을 계기로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공저’에서 살지 않는 문제가 또 다시 국회에서 논란이 됐다. 일본에서는 정부가 마련해 주는 총리의 거주 공간을 ‘공저’, 집무 공간을 ‘관저’로 부른다.

<아사히신문>은 지난 15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스가 총리가 관저 바로 옆에 있는 공저에서 지내지 않아 긴급사태가 발생했을 때 제대로 대응할 수 있을지 우려가 된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16일 보도했다. 자택이 요코하마에 있는 스가 총리는 지난해 9월 취임 뒤에도 관저에서 500m가량 떨어진 아카사카 의원 숙소에서 살고 있다. 이 신문은 “1993년 호소카와 모리히로 총리 이후 공저가 아닌 곳에서 출퇴근 하는 총리는 아베 총리(2차 내각)와 스가 총리 단 2명 뿐”이라고 전했다.

노다 요시히코 입헌민주당 의원은 스가 총리가 공저에 들어가지 않은 것에 대해 “위기관리 의식이 결여돼 있다”며 “제 멋대로”라고 비판했다. 스가 총리는 지난 13일 밤 11시8분 지진이 발생하고, 20분 만인 11시28분께 관저에 도착했다. 노다 의원은 “수도권에 (땅이 꺼지는) 직하형 지진이 발생하면 도로가 끊겨 20분 안에 관저에 올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공저에서 살면 걸어서 0분이다. 유지관리비가 연간 1억6천만엔(약 17억원)이나 들어가는 공저에 들어가지 않는 이유가 설명이 안 된다”고 다그쳤다. 노다 의원은 민주당 소속으로 동일본대지진 후인 2011년 9월부터 1년 3개월여 동안 총리를 지낸 바 있다.

이에 대해 스가 총리는 “(의원 숙소에서) 관저까지 걸어가도 10분이다”, “국민의 생명을 지킬 수 있다”는 대답만 반복할 뿐, 공저에서 살지 않는 이유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았다고 <마이니치신문>이 전했다.

 

일본 총리의 집무 공간인 ’관저’ 옆에 있는 총리의 거주 공간인 ’공저’ 내부 모습. 총리 관저 누리집 갈무리

 

공저는 주거 공간 이외에 집무실이나 홀도 갖춰져 있어 각국 정상과의 전화회담이나 만찬 등에 활용된다. 스가 총리는 지난달 28일 0시45분부터 약 30분 동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전화회담을 했는데, 이때도 심야에 의원 숙소에서 총리 공저로 나와 회담에 응했다.

스가 총리의 공저 문제는 취임 초기부터 일본 정가의 관심사였다. 국회와 정당이 모여 있는 도쿄 나가타초(한국에선 서울 여의도)에선 “총리가 공저에 들어가면 단명 정권으로 끝난다”는 말이 꽤 진지하게 돌고 있다. 스가 총리가 공저에 들어가길 주저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얘기가 돈다.

<요미우리신문>은 “공저에 들어간 7명의 총리 가운데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를 제외한 6명이 1년 전후로 퇴진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아베 신조 전 총리는 1차 내각(2006년 9월~2007년 8월) 때 공저에 들어가 1년 만에 사퇴했지만, 공저에 입주하지 않은 2차 내각 때는 7년9개월 동안 집권해 역대 최장수 총리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스가 총리가 공저를 꺼리는 이유로 과거에 발생했던 불미스러운 사건 때문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총리 공저는 해군 장교 주축으로 일어났던 쿠데타인 1932년의 5·15 사건, 육군 청년 장교들이 일으킨 반란인 1936년의 2.26 사건의 무대가 됐다. 5·15 사건으로 당시 이누카이 쓰요시 총리가 암살되기도 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공저에서 귀신이 나온다는 소문도 끊이지 않고 있다. 실제 지난 2013년 야당 의원이 아베 전 총리가 공저에 들어가지 않자 “귀신 때문이냐”고 묻기도 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스가 총리 주변에선 “총리가 공저에 들어가면 개인생활로 전환이 어렵다”며 편하게 쉬고 싶어서 관저와 좀 떨어진 의원 숙소를 고집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김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