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버스공장 마지막 생산품…전세계 240대중 21대만 취항
2007년 10월 첫 상업비행 후 일류 항공사의 상징으로 우뚝
항공여행 트렌드변화 - 코로나 직격 “승객 채워야 만 경쟁력”

 

A380의 비즈니스석. 에어버스 제공

 

지난 17일(현지시각) 프랑스 남부 툴루즈 에어버스공장에서 A380기가 독일 북부 함부르크의 핑켄베르더로 날아갔다. 함부르크 공장에서 도색과 객실 디자인 등 최종 공정이 마무리되기 때문이다. 완성된 기체는 구매자인 에미레이트항공에 인도된다. 이날은 ‘하늘을 나는 호텔’이란 별칭을 가진 A380에겐 특별한 날이다. 이 항공기가 바로 마지막 생산품이서다.

에어버스는 2019년 2월 “2년 뒤 A380의 생산을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에어버스의 기욤 포리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오늘은 기념할 만한 날이다. 이 항공기가 고객을 오랫동안 만나고 우리도 오랫동안 (사후 관리 등) 지원할 수 있길 고대한다”고 말했다고 항공전문지 <플라이트글로벌>은 전했다. A380의 생산 중단은 세계 항공산업의 구조 변화와 코로나19 상황 속 여행트렌드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짧게 끝난 영광의 시간

 

대한항공이 운용중인 A380기. 대한항공은 2021년 3월 현재 보유한 A380 10대중 1대만을 광저우 노선과 무착륙 관광비행에 투입하고 있다. 대한항공 제공.

14년 전인 2007년 10월 첫 상업비행을 시작할 때만 해도, 이 항공기는 일류 항공사의 상징으로 통했다. 1970년 상업운항을 시작한 이후 40년 가까이 ‘하늘의 궁전’으로 불렸던 경쟁자 보잉747은 A380에 자연스레 밀려날 운명이었다.

당시 162대 구매계획을 발표한 에미레이트항공은 호텔 객실처럼 5분간 샤워할 수 있는 욕실시설과 침대를 갖추고 부호들을 위한 최고급석을 꾸몄다. 2개층 넓은 공간을 활용해 기내 라운지, 바, 면세점을 설치하고 비좁은 공간에 시달려온 승객들을 유혹한 항공사들도 적지 않았다. 보잉747을 전용기로 보유한 사우디아리비아의 최대 부호 알 알리드 왕자가 A380도 사들인 것 역시 화제였다. 꾸준히 늘어나는 항공 수요와 허브공항으로 간 뒤 최종 목적지로 환승하는 여행 패턴의 강화도 A380의 미래를 밝히는 청신호였다.

이런 호응과 전망에 힘입어 에어버스는 연간 40대 이상 판매와 최대 누적 1200대 보급이란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국내 항공사들도 A380 도입에 적극적이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각각 10대와 6대를 사들인 뒤 주력 장거리 노선인 파리, 로스앤젤레스, 뉴욕, 프랑크푸르트 등에 집중 투입했다.

 스파 시설을 갖춘 에미레이트항공의 A380 1등석. 에어버스 제공

 

낮은 연료 효율에 코로나에 직격탄

 

현실은 냉혹했다. 우선 시간이 갈수록 A380의 약점이 드러났다. 특히 보잉787 드림라이너처럼 탄소소재를 채택해 가볍고 연료효율이 높은 중형 여객기가 장거리 수요를 대체하고호응을 받으면서 초대형 여객기의 비효율이 집중 부각됐다. 국내 항공사 관계자는 “A380이 나중에 개발돼 보잉747보다 연료효율이 높지만, 이는 승객을 가득 태우고 운항했을 때의 상황”이라며 “승객을 다 채우지 못하고 운항하게 되면 경쟁력이 없다”고 말했다. 또한 덩치가 큰 터라, 이용할 수 있는 대형 터미널을 갖춘 공항도 많지 않았다.

결정적 한 방은 코로나19였다. 신종 바이러스는 A380를 좀 더 궁색한 처지로 내몰았다. A380은 장거리 인기 노선에 승객을 가득 실었을 때 효율성이 나타나는데, 코로나는 인기 여행지를 오가는 대형 항공수요를 없애버렸다. A320네오처럼 복도가 1개뿐인 좁은 동체의 중단거리 수요에 최적화한 항공기의 수요가 높은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해 싱가포르항공은 보유한 A380 중 4대를 오스트레일리아 한복판 사막지대(앨리스 스프링스)로 옮겨 장기보관에 들어갔다. 나머지는 분해해 고철로 팔아치웠다. 이달초엔 아랍에미리트의 2대 항공사인 에티하드항공이 A380을 퇴역시킨다고 발표했다. 루프트한자(독일), 싱가포르항공, 영국항공, 콴타스항공 등 세계 주요 항공사들도 A380 활용 축소를 잇달아 예고했다.

 A380의 비행모습. 에어버스 제공

국내 항공사 사정도 다르지 않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3월 중순 이후 A380을 정기 운항하지 않는다. 대한항공도 중국 광저우 노선에만 1대 투입하고 있다. 현재 국내 두 항공사는 A380을 무착륙 관광비행에 활용하고 있다. 두 항공사는 공식적으로는 A380 퇴출 계획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항공통계업체 시리움 자료를 보면, 16일 현재 전 세계 항공사에 판매된 240대의 A380 중 21대만이 취항 중이다. 구본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