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정당 참여…차기정부 총리 베네트·라피드가 2년씩 맡기로

좌우·아랍계 동거 연정 처음…이념 지향점 다양 정국혼란 우려도

 

반네타냐후 연정을 주도한 야이르 라피드 대표(오른쪽)와 야미나의 나프탈리 베네트 대표(왼쪽)[UPI=연합뉴스]

 

총 15년 2개월의 이스라엘 역대 최장수 총리인 베냐민 네타냐후(71)의 실권이 현실화했다.

2일(현지시간) 일간 하레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 퇴진을 기치로 내건 '반네타냐후 블록' 9개 정당이 연립정부 구성에 최종 합의했다.

 

이번 연정에는 지난 3월 총선에서 원내 제2당이 된 중도 성향의 예시 아티드(17석), 중도 성향의 청백당(8석), 중도 우파 성향의 '이스라엘 베이테이누'(7석), 좌파 성향의 노동당(7석)이 참여했다.

또 우파 성향의 '뉴 호프'(6석), 아랍계 정당 연합 '조인트 리스트'(6석), 사회민주주의 계열의 메레츠(6석), 극우 성향의 야미나(7석), 아랍계 정당 라암(4석)도 합류했다.

이들 9개 정당이 보유한 의석수는 모두 68석으로, 전체 크네세트(의회) 의석수 120석의 절반이 넘는다.

이들 정당은 제3지대에 있던 극우 성향 야미나가 지난달 31일 연정 참여를 선언한 이후 마라톤협상을 통해 마감 시한을 약 1시간 앞두고 극적인 합의를 끌어냈다.

막판엔 역시 제3지대에 머물던 아랍계 정당 라암까지 합류하면서 세가 더 커졌다.

중도를 중심으로 좌파와 우파, 아랍계가 동거하는 연정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정을 주도하는 원내 제2당 예시 아티드의 야이르 라피드 대표는 성명을 통해 레우벤 리블린 대통령에게 연정 타결 사실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축구 경기에 참석했던 리블린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정부 구성에 라피드 대표의 전화를 받고 축하 인사를 전했다고 설명했다.

 

TV 앵커 출신 라피드 대표는 트위터에 "차기 정부는 이스라엘 시민을 위해 일할 것이다. 우리에게 표를 줬는지 여부는 상관이 없다"며 "반대편에 선 사람들을 존중하는 한편 이스라엘 사회의 모든 부분을 통합하고 연결할 것"이라고 썼다.

1주일 이내에 실시되는 의회 신임 투표 절차만 거치면 이들 정당이 참여하는 '무지개' 연정이 공식화한다.

 

    나프탈리 베네트 야미나 대표 [연합뉴스]

 

사전 합의에 따라 차기 정부 임기 전반기 2년간 총리직은 야미나의 나프탈리 베네트(49)대표가, 외무장관직은 라피드 대표가 맡는다. 후반기 임기 2년은 두 사람이 역할을 바꾸기로 했다.

국방장관은 네타냐후 주도의 연정에서 그동안 국방부를 맡아온 청백당의 베니 간츠 대표가 계속 맡기로 합의했다.

 

반면, 원내 제1당 리쿠드당(30석)을 중심으로 우파 연정을 꾸리려다 실패한 네타냐후 총리는 2009년 3월 31일 재집권 이후 12년 2개월(과도정부 총리 재직기간 포함)간 유지해온 총리직을 내려놓고 야당 지도자의 길을 걷게 된다.

 

네타냐후는 이전 3년을 포함하면 총 15년2개월 간 총리직에 있게 된 셈이다.

더욱이 네타냐후는 수뢰, 배임, 사기 등 부패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어, 총리직에서 물러난 이후 보호막 없이 형사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그는 할리우드 영화제작자 등으로부터 몇 년간 고급 샴페인과 시가 등 수십만 달러 상당의 선물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벤야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UPI=연합뉴스]

 

이스라엘은 지난 2년간 무려 4차례나 총선을 치를 만큼 혼란한 정치 상황을 겪어왔다.

2019년 4월과 9월 총선 후에는 정당 간 이견으로 연립정부 구성이 무산됐다.

지난해 3월 총선 후에는 네타냐후의 리쿠드당과 간츠 국방부 장관이 주도하는 청백당이 코로나19 정국 타개를 명분으로 연정을 구성했다.

 

그러나 두 연정 파트너는 사사건건 갈등했고, 결국 예산안 처리를 둘러싼 갈등 속에 연정은 출범 7개월 만에 파국을 맞았다.

반네타냐후 블록의 '무지개 연정' 타결로 5번째 조기 총선은 피했지만, 정국 파행은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연정에 참여한 정당들의 이념적 지향점이 워낙 다양하다는 점도 정국 안정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이다.

특히 이스라엘에서 가장 민감한 이슈인 팔레스타인 문제를 두고 연정 내 극우 정당과 아랍계 정당이 갈등할 여지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