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가을비 내리던 날

● 칼럼 2012. 9. 24. 19:53 Posted by SisaHan
가을비가 내리더니 기온이 뚝 떨어졌다. 봄비에는 생장의 희망이 있어 온화하지만 가을비에는 소멸을 앞둔 종식의 아쉬움이 있어 냉랭할 수밖에 없나 보다. 따끈한 기억으로 달래보라는 듯 오래된 기억의 실타래가 어제의 일처럼 생생하게 풀어진다. 
남편이 아파트 건설 현장에 근무할 때였다. 밤이 늦어서야 귀가하던 남편이지만 비 오는 날에는 작업이 없어 일찍 퇴근할 수 있었다. 언제부터인가 아들에게 ‘비 오는 날’이란 일찍 퇴근하는 아빠와 ‘외식하는 날’과의 동의어가 되었고 내게는 저녁 준비에서 해방된다는 의미였다. 외식이래야 특별할 것도 없는 칼국수였지만 바지락칼국수, 사골칼국수, 버섯칼국수 등 여남은 종류 앞에서 한 가지만 택하는 일이 쉽지 않은지 어떤 국수집으로 갈까 하며 부자가 머리를 맞대고 쑥덕거리기 일쑤였다. 유난히 국수를 좋아하는 그들이 빚어낸 소박한 외식나들이는 그렇게 시작되곤 했다.
 
칼국수 집의 맛을 좌우하는 또 하나의 비결은 김치였다. 남편은 매콤한 겉절이를 좋아했다. 무엇이든 아빠를 따라 하고 싶어하던 아들은 매워서 헉헉거리면서도 물에 씻은 김치 조각을 늘 곁들여 먹었다. 나는 매운 것을 좋아하지 않아 김치의 빨간 색만 보아도 지레 겁이 나서 먹을 엄두를 못 내었는데, 눈치껏 물에 씻어 먹는 버릇이 그때부터 생겼다. 붉은 물이 대접에 남아있어도 어린 아들에게 미룰 수 있는 기회를 살짝 활용했다고나 할까. 
물에 씻은 김치는 비록 붉은색은 버렸지만 제 본래의 맛과 냄새는 고스란히 품고 있었다. 하얀 배추조각을 입에 넣고 조용조용 씹다 보면 매캐한 붉은 맛과 원재료의 고유한 맛들이 섬세하게 살아나며 혀가 아렸다. 각 양념이 지녔던 독특한 맛을 찾아내는 일은 마치 내 안에 숨은 또 다른 나를 발견할 때처럼 의외였다. 아린 혀는 뜨거운 국숫발을 번번이 밀쳐내어 거친 숨을 두어 번 들이쉰 후에야 몇 가닥씩 맛을 볼 수 있었고 그럴 때마다 백김치 생각이 간절했다. 
백김치는 색깔은 하얘도 들어갈 것은 다 들어간다. 고춧가루를 쓰지 않았다 뿐이지 색이 하얗다고 해서 아무 맛도 없는 건 아니다. 침묵할 줄 아는 사람의 웅숭깊은 속은 쉽게 드러나지 않듯이, 백김치 또한 찬찬히 음미할 때라야 단순한 흰색 너머에 감추어진 깊은 맛을 인지할 수 있다. 김치가 되기까지의 고단한 과정을 빠짐없이 기억하려는 듯 무와 마늘, 생강 맛은 물론 달착지근한 배와 대추와 밤 맛까지 고스란히 품어 안고 있다. 김치 양념 중에 제일 큰 몫을 차지하는 고추의 강한 영향을 받지 않아 오히려 소소한 맛들이 주눅들거나 개성을 잃지 않는다. 고추가 풍기는 매큼한 가을 햇볕 냄새는 없어도 백김치 역시 온 우주의 도움을 받았음을 담백한 고유의 맛으로 증명하는 셈이다.
 
오묘한 맛을 상상하며 큰 맘 먹고 백김치를 담근 적이 있다. 결과부터 말하자면 요란한 실패였다. 요리책을 펴놓고 수선을 떨며 머리로 담갔던 첫 백김치의 맛은 제 얼굴 색만큼이나 창백했다. 넣을 건 다 넣었는데도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그 많은 재료들의 맛은 온데간데 없고 배추와 소금 맛밖에 나지 않아 그 후로는 백김치를 담글 엄두가 나질 않았다. 그러나 짠 음식을 먹은 뒤에 찾아오는 갈증처럼, 한번 실패한 백김치로 인한 마음의 가뭄을 해갈시키지 못한 채 꿈으로 남았다. 
고국에서의 오래 묵은 기억들이 한바탕 휘젓고 가는 날은 비행기 몸체가 상공에서 기류변동을 만났을 때처럼 마구잡이로 흔들리다가도, 활주로에 안착할 때와 같은 안도감으로 마무리될 만큼 이국에서 살았다. 가을비로 연상된 칼국수, 그리고 혀를 따갑게 쏘던 김치에 대한 추억 덕분에 말린 나물처럼 바스락거리던 타국의 삶이 촉촉해진 느낌이다. 하얀 김치의 이미지에는, 그게 원래 백김치든 씻어서 하얗게 된 김치든 마모되지 않은 우리 식구의 빛나는 젊음과 사랑이 배어있다. 바람과 비가 한 차례씩 다녀가며, 잡다한 흔적과 지우지 못한 기억을 건드리는 가을이다.

< 김영수 - 수필가, 캐나다 한인문협 회원 / 한국 문인협회 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