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키가 작으면 부모의 걱정도 커진다. 아이들의 키는 성장기 건강관리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전문의들은 말한다. 자녀의 키는 유전, 즉 부모의 키가 가장 주요한 결정 요소이지만 영양을 비롯한 환경적인 요소도 일정 정도 영향을 미치므로 충분한 수면, 권장 영양분 섭취, 규칙적인 운동도 꼭 필요하다고 권고한다.

 
■ 숙면으로 성장 호르몬 분비 높여야 : 과거보다 외모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커지면서 자녀의 키가 컸으면 하는 부모의 열망도 매우 커졌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자녀의 키는 부모의 키가 상당 부분 유전된다. 부모의 키가 자녀의 키에 미치는 영향이 대략 70%라는 통계도 있다. 예외는 있지만 남자아이는 부모 키의 평균 값에 6.5㎝를 더한 키, 여자아이는 6.5㎝를 뺀 키 정도까지 자란다는 것이다. 
예외적인 상황이 만들어지는 것은 영양을 비롯한 생활습관 때문이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잠인데, 키를 크게 하는 성장 호르몬이 잠들고 1~2시간 뒤 숙면을 할 때 가장 왕성하게 분비되기 때문이다. 너무 늦게 자거나 잠자는 시간이 7시간 이내로 적으면 그만큼 성장 호르몬 분비가 줄어든다. 
성장 호르몬은 운동할 때에도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이 때문에 성장기까지는 야외에서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 이와 함께 단백질이나 무기질 등이 풍부한 음식으로 영양분을 잘 섭취하는 것 역시 키 성장에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 성장 호르몬, 오남용 피해 입을 수 있어 : 자녀들의 키를 키운다며 무조건 성장 호르몬을 투여해야 한다고 여기는 부모들이 있다. 하지만 성장 호르몬 보충 요법은 이 호르몬이 정상 범위보다 적게 분비되는 아이들에게 쓰는 약이다. 
성장 호르몬이 부족한 아이들의 경우 뼈 성장판이 닫히기 전인 만 9~10살 이전에 호르몬 보충 치료를 받는다면 키 성장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성장판이 이미 닫혀 있거나 뼈나이가 너무 진행돼 성장 가능성이 없다면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 성장 호르몬 분비가 충분한 아이들에게 이를 투여하면 오히려 갑상샘(갑상선) 기능 저하증, 근육통 및 관절통을 비롯해 드물게 엉덩이 관절 탈구, 두통, 복통, 구토 등이 생길 수 있고 혈당 조절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남자아이들의 경우 가슴이 커지는 여성형 유방과 같은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 저신장은 뼈나이가 중요한 기준 : 저신장의 기준은 또래 아이들 100명 가운데 가장 작은 아이부터 3번째까지이다. 또 또래 아이들의 평균 키보다 10㎝ 이상 작아도 저신장을 의심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저신장의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영향을 비롯해 성장 호르몬이나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할 때에도 나타나고, 터너증후군과 같은 염색체 이상 질환, 만성신부전이 있어도 나타날 수 있다. 비만한 경우 2차 성징이 빨리 나타나는 성조숙증이 생길 수 있는데 이때도 성장판이 일찍 닫혀 당장은 키가 커 보일 수 있지만 어른이 됐을 때의 키는 오히려 작을 수 있다. 
저신장을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바로 ‘뼈나이’인데, 이는 손 부위 방사선 촬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뼈나이와 실제 나이가 같은데도 저신장에 속하면 이는 유전적으로 키가 작을 가능성이 크다. 
또래보다 늦게 키가 크는 아이는 뼈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적은 경우로 이 경우에는 나중에 빠르게 성장할 수 있어 또래의 키를 따라잡거나 더 커질 수 있다. 이 분야 전문의들이 저신장이 의심되면 일단 성장판의 상태를 살펴보라고 권고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