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는 27일 3억원을 기부한 시점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그런 좋은 뜻을 좋게 받아들여 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말했다. 본인이야 ‘좋은 뜻’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판단은 국민 몫이다. 앞뒤 사정을 살펴보면 꼭 그렇게만 보이지 않는다는 게 문제다.
무엇보다 안 후보자가 기부금 4억7000만원 가운데 3억원을 총리 지명이 발표되기 직전에 냈다는 점에서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를 염두에 둔 ‘눈치 기부’ 아니냐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 3억원 기부 시점은 5월19일로, 청와대의 총리 후보자 발표 사흘 전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당일이다. 사전 검증에 필요한 절차 등을 고려하면 안 후보자는 이때 이미 자신이 총리로 내정됐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봐야 한다. 안 후보 쪽은 그 이전인 4월24일에 유니세프 쪽에 기부 관련 문의를 했다고 하지만 당시도 총리 교체가 기정사실로 굳어진 시점이다. 여러 정황으로 미뤄 기부금 3억원은 총리 지명에 대비한 ‘보험료’ 성격이 짙다.
 
안 후보자는 기부금의 진정성 문제가 불거지자 이번엔 변호사 활동으로 증식한 재산 11억원의 사회환원 카드를 내놨다. 물론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인사청문회를 거치기도 전에 낙마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나온 것임을 모를 사람은 없다. 곤란한 처지를 모면하려는 궁여지책의 재산 환원은 감동을 줄 수 없다. 오히려 총리라는 직책에 기필코 올라보겠다는 일념 아래, 자신의 오점마저 돈으로 사려 하는 발상 아니냐며 눈살을 찌푸리는 사람이 적지 않다.
안 후보자가 떳떳하지 않은 돈이라도 토해내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건 아닌지도 우려스럽다. 재산을 사회에 환원한다고 대법관 출신으로서 잘못된 전관예우 관행에 일조했다는 본질이 달라지는 건 아니다. 더구나 안 후보자 스스로 “내가 생각해도 수입이 많았다”며 재산 증식에 문제가 있음을 고백한 바 있다.
 
안 후보자가 이번 일을 ‘옥에 티’ 정도로 생각한다면 큰 착각이다. ‘하루 1000만원’은 역대 인사청문회 사상 최고 액수다. 오죽하면 ‘황제 전관예우’라는 말까지 나왔겠는가. 청와대는 임명동의 요청서에서 안 후보자가 ‘민관유착 적폐 척결’ 적임자임을 내세웠다. ‘전관예우의 최고봉’을 기록한 인물이 전관예우에서 비롯한 악습을 일소하는 데 앞장설 수 없음은 자명하다. 위에서 흙탕물을 흘려보내면서 아랫물이 맑아지기를 기대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