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한국화의 선각자

● 교회소식 2014. 7. 14. 17:04 Posted by SisaHan
한국 속속들이 알고, 보듬어 안고 산 ‘착한 목자’
게일 선교사 한국선교 125주년 기념 선교대회

온타리오 출신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 1863~1937; 한국명 기일: 奇一) 선교사의 한국선교 125주년을 기념하는 선교 대회가 지난 6월28일(토)부터 30일(월)까지 서부장로교회(담임 박헌승 목사)와 토론토 영락교회(담임 송민호 목사), 게일 선교사의 고향인 온주 앨마(Alma)에서 차례로 세미나와 출판감사예배, 생가탐방 등 프로그램으로 열렸다.
40년간을 한국에서 헌신하며 복음의 씨앗을 뿌림은 물론 성경과 고전번역 등 문화적 기여, 개화기 많은 인재를 길러내는 등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했던’게일 선교사의 사역과 삶, 그리고 그의 한국선교 공헌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 이번 선교대회는 서부장로교회와 영락교회가 마련하고 온주교회협의회가 주관해 석동기 회장(한인감리교회 담임목사) 사회로 진행됐다.
 
세미나는 28일 오전부터 서부장로교회에서 임희국 교수(장신대 교회사:Dr.Th)의 ‘한글 성경번역과 하나님 용어선택에 대한 게일의 공헌’,탁지일 교수(부산 장신대 교회사: Ph.D)의 ‘게일의 초기선교에 나타난 선교 패러다임-부산설교와 대중설교를 중심으로’, 송민호 목사(영락교회: Ph.D)가 ‘게일이 살았던 토론토’, 유영식 교수(전 토론토대: Ph.D)는 ‘게일의 체현화(體現化)와 조선 기독교화(基督敎化)에 대한 소고’를 주제로 강연하고 세미나에 이어 유 교수가 게일의 삶과 선교를 폭넓게 조명해 쓴 책 ‘착한 목자 게일’ 출판 감사예배를 드렸다. 예배는 책을 펴낸 도서출판 진흥의 박경진 장로가 기도하고 박헌승 목사가 “착한 목자 저술은 하나님의 사람 게일을 생각하며 우리에게 예수님처럼 착한 성도, 착한 남편과 아내,착한 자녀로 살도록 감동을 준다”는 말씀을 전하고 민경하 선생의 “선교사 지망생들의 필독서”라는 서평에 이어 유영식 교수가 인사와 함께 책을 박헌승·송민호 목사 등에게 증정하고 박태겸 목사(동신교회 담임)가 축도했다. 29일 저녁에는 영락교회에서 임희국 교수가 ‘19세기말 한국의 현대화 과정에서 선교사들이 발견한 한글의 가치와 한글연구’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30일 생가방문은 1백여명의 성도들이 참가해 앨마에 있는 게일의 생가와 그가 다니던 교회에서 그의 삶을 되새겼다.

 
임희국 교수는 세미나에서 성경번역과 하나님 이름에 대한 게일의 공헌에 대해 “1890년대 성경이 한글로 번역·개정되는 과정에서 하나님 이름 채택과 그 표기에 대해 교사들과 나중 국어학자들도 참여한 논쟁이 일어나, “중국의 상제(上帝), 한국의 하느님/하나님, 천주(天主), 여호와, 참신 등이 거론되는 가운데 게일은 한글학자 주시경의 도움으로 ‘하나님의 하나는 일(一)을 뜻하고, 님은 주인·임금을 뜻하는, 즉 한 분이시며 크고 영원하신 창조주 조화옹(造化翁)’이라고 풀이, 명칭논쟁이 마무리 되는데 크게 기여해 복음의 씨앗이 한국 토양에 싹을 틔워 한국적 기독교신앙고백이 창출되게 했다”고 전했다.
 
탁지일 교수는 게일의 선교 패러다임에 대해 “문학을 전공했고 언어적 달란트도 탁월했던 게일은 특히 ‘선교를 위해선 언어를 효과적으로 알아야 한다’면서 언어와 문화를 통해 사역에 접근했다”고 전했다. 탁 교수는 “게일은 그렇게 한국말과 한국문화를 깊이 접하고 이해하며 고린도전서 9장 22절 이후에 기록된 바울의 선교모토를 소신으로 삼아 한국적인 사역, 한국인 눈높이로 복음을 전하는데 힘써, 가령 대중선교에 나서며 ‘사랑방’선교를 했고, 서양에 흔했으나 한국실정에 맞지않은 노상설교와 서양식 장의자를 배제했다. 또 간략한 전도지를 뿌렸던 당시에 ‘난봉 자식이 아버지께로 돌아온 것’이라고 이해하기 쉽게 만든 전도지 한 장으로 인생을 바뀌게 만들 정도로 한국인을 최대한 배려한 선교방식 등 “게일은 복음을 전하는 게 그 어떤 것보다 한국을 잘되게 하는 것이라며 한국을 사랑한 신앙인이요, ‘근대를 산 탈근대적인 선교사’였으며 시대를 초월해 살았던 선각자였다”고 평가했다. 

송민호 목사는 게일의 시대 토론토를 소개했다. 게일이 1888년, 2년 뒤 로버트 하디,또 1892년에 올리버 에비슨 등 토론토대 출신으로 조선에 복음을 전한 3명의 위대한 선교사가 배출된 1800년대 토론토는 산업화 영향으로 전기와 기차등이 등장했다. 1851년 인구는 영국계가 97%인 3만명이었는데 73%가 개신교, 25%가 카톨릭이었다. 미국의 D.L.무디 부흥운동의 영향으로 학생 자원운동(Student Volunteer Movement)이 번졌고,영적 부흥이 일어났다. 토론토에서 4년을 공부한 게일에게 당시는 변화의 심장으로 작용했고, 다문화사회의 경험을 얻게 했으며 대형교회들이 신앙열정을 안겼다. 그때 Church Street에는 앵글리칸의 St.James 교회를 비롯해 뱁티스트였던 Metropolitan United Church, 가톨릭인 St.Michel 교회 등 대형교회의 첨탑들이 즐비했다. 건물도 컸지만 성도들이 수천명씩 예배를 드리는 영적 부흥기였다. 그런데 지금은그 교회들이 박물관화 하고 있다.특히 Metropolitan교회는 정부가 합법화 하기 이전부터 동성애를 지지했고, 지금도 담임목사가 동성애자다.

유영식 교수는 게일의 조선화와 조선기독교화를 소개한 강연에서 “게일은 숫가락과 젓가락, 베개 등을 늘 지니고 각지 선교를 다닐 정도로 한국적 삶을 파고들며 어떻게 스스로 한국화하고 한국적 기독교가 되게 할지를 고민했다”고 전했다. 성경과 고전 등 번역은 물론 찬송가를 우리 곡조에 맞춰 작사하기도 해 양산도 아리랑 곡의 ‘꽃과 새를 보라’를 짓기도 했던 게일은 예수님의 몸과 피를 먹는다는 성경말씀으로 인해 ‘인육을 먹는다’는 유언비어가 나돌자,‘인자(人子)’가 ‘Son of God’이 아닌‘Son of Man’의 오역이었음을 발견해 내는 등 한자에도 능통했다고 유 교수는 전했다.
한국사를 꿰뚫어 이율곡 선생과 충신 포은 정몸주를 잘 알고 존경하며 영정까지 모셨던 게일은 일제의 침략을 보며 “정몽주의 단심가만 기억하고 있으면 한국은 일본화, 또 좌경화도 안될 것이다”라고 예견했다고 소개했다. “고종과 순종이 서거했을 때 눈물을 흘리며 슬퍼했던 게일은 아무리 외국인이 한국을 안다 해도 그 처럼 속속들이 알고 마음에 보듬어 안고 산 사람은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한 유 교수는 “‘내 평생 조선과 같이 울고 웃었습니다’라고 회상한 그가 소천에 앞서 말했다는 ‘How Wonderful, How beautiful!’은 바로 우리에게 전해주는 게일의 말이며, 하나님이 그에게 보여준 천국일 것”이라고 마무리했다.
 
< 문의: 905-803-8800, 416-494-01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