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야스쿠니와 세월호 특별법

● 칼럼 2014. 8. 18. 16:21 Posted by SisaHan
8월9일 도쿄에서 야스쿠니 반대 동아시아 촛불행동이 열렸다. 2006년 8월15일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 이후 9년째 지속되고 있는 동아시아 시민연대이다. 일본의 패망을 앞당긴 소련 참전의 날(‘반소 데이’)과 겹쳐 전국의 우익들도 대거결집했고,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의 경찰차량이 이들을 저지하느라 동분서주했다. 일본의 우익은 왜 야스쿠니 문제만 나오면 반발하는 것일까? 야스쿠니의 어둠에 촛불을 들이대는 것이 그렇게 두려운 것일까? 하지만 진실을 감추고자 하는 것은 단지 일본만의 이야기가 아닐 것이다.
야스쿠니신사는 제2차 세계대전의 전범이 합사되어 있는 전쟁 미화 시설로 우리에게 알려져 있다. 틀린 설명은 아니지만 그것만이 야스쿠니 문제의 전부는 아니다. 한국의 국립현충원과 미국의 알링턴 국립묘지처럼 야스쿠니신사도 국가를 위해서 죽은 군인들을 추모하는 시설인데 무엇이 문제냐고 일본 학생이 따지기도 한다.
 
먼저, 야스쿠니는 특정 시기 일본 천황을 위해 만들어진 시설이다. 야스쿠니에는 1868년 일본 메이지유신 전후 천황제 탄생을 위해 죽은 군인부터 제2차 세계대전 종전까지 희생된 군인들 약 246만명이 합사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국가를 위해서가 아니라 일본 천황을 위해서 죽은 군인 및 군속을 위한 시설이다.
둘째, 야스쿠니는 추도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는다. 추도 시설이라면 유족의 생각이 중요하다. 종교적인 또는 평화적인 이유로 야스쿠니 합사 취소를 요구하는 유족들이 있다. 하지만 야스쿠니신사는 합사된 246만명은 하나의 신이며, 한번 신으로 등록된 사람은 그 누구도 취소할 수 없다고 한다. 웃지 못할 일은, 죽은 줄 알고 합사했는데 살아 돌아온 군인들이 있다. 물론 합사 취소는 안 된다. 한번 신은 영원한 신이다.
 
셋째, 야스쿠니신사의 식민지배는 영원하다. 야스쿠니신사에는 한국 및 대만 출신의 군인 및 군속 등 약 5만명이 일본 이름으로 합사돼 있다. 당시 조선인은 일본인으로 죽었기에 일본인 취급을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일본 군인 및 군속처럼 원호금 지급을 요구하면, 1952년 이후 조선인의 일본 국적은 취소됐기에 자격이 없다고 한다. 합사는 일본인, 보상은 조선인으로 취급한다. 식민지배는 끝났지만 죽은 영혼에 대한 식민지배는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야스쿠니 문제는 일본인들에게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패전한 국가의 병사들은 추모되어서는 안 되는 것일까? 일본의 평화운동은 오랫동안 이 문제를 기피하고 방치해왔다. 결국 전쟁에서 죽은 자의 위령 문제는 야스쿠니와 우익의 전유물이 됐다. 냉전 이후 확산된 일본인의 피해의식은 야스쿠니의 전쟁사관과 결합됨으로써 침략전쟁의 희생자들을 미화하고 영웅화하는 정치이데올로기로 재생되고 있다. 일본인들은 세계대전 당시 전투기 제로센을 소재로 한 영화를 보면서 젊은 군인들의 슬프고 비참한 죽음에 눈떴다. 야스쿠니에서 그들의 죽음이 위로받고 실제 영면하고 있다고 믿게 됐다. 하지만 그들이 왜 죽었고, 누가 죽였는가에 대해서 영화는 일체 말하지 않으며 보는 이들도 이에 눈뜨지 못한다.
 
야스쿠니신사는 가해자가 희생자를 영웅화함으로써 가해의 본질을 숨기는 시설이다. 사랑하는 가족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기쁨으로 인식하게 하고 가해자에게 오히려 고마움을 표시하게 하는 연금술 장치이다. 유골이 돌아오지 않아도 야스쿠니에 신이 돼 있어서 내 아들은 개죽음이 아니라고 스스로 위로하게 한다. 국가가 만든 모순 덩어리가 역으로 국가와 국민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세월호 사건 이후 특별법을 둘러싼 사회적 논쟁이 뜨겁다. 중요한 것은 죽은 자에 대한 우리들의 추모 방식이다. 하지만 올바른 추모를 위해서는 그들이 왜 죽었는가라는 진실을 밝히는 작업이 먼저 필요하다. 진상규명 없는 세월호특별법은, 전국에 산재해 있는 베트남전쟁 희생자 위령비처럼, 가해자의 진실이 없고 희생자만 미화되는, 우리 안에 또 하나의 야스쿠니 시설을 만드는 법이 될 것이다. 야스쿠니의 어둠에도 세월호 사건의 어둠에도 진실의 촛불이 밝혀지길 기대한다.

< 이영채 - 일본 케이센여학원대학국제사회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