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한인 정치인 ‘연목구어’

● 칼럼 2014. 8. 18. 16:25 Posted by SisaHan
캐나다는 한인 동포들에게 정치 불모지나 다름없다. 지방정부에 시의원과 주의원이 한둘 이름을 올렸을 뿐 중앙정계에는 총리 지명으로 상원의원이 된 연마 마틴(Yonah Martin: 김연아) 의원을 제외하면 선출직 정치인이 아무도 없다. 인구가 많은 중국계는 물론 인도계, 베트남계도 연방의회와 정부에 진출했는데, 20만명을 헤아리게 된 한국계는 전혀 제 몫을 찾아먹지도, 다하지도 못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돈다. 모국의 국력이나, 이민 50년의 역사를 보나, 만만찮은 한국인들의 저력에 비춰보아도 위상에 걸맞지 않다는 것이다.
왜 그런가. 여러 요인 가운데 가장 결정적인 것은 아무래도 정치에 무관심하고, 참여 자체를 멀리하는 데 있다는 지적이 정확할 것 같다. 모국의 정치 동향은 일개 국회의원의 움직임까지도 일거수 일투족을 국내 있는 것 못지않게 꿰고 있으면서, 정작 살고있고 시민권도 가진 캐나다 정치에는 문외한인데다 알려고 하지도 않는 현실 그대로다.
 
토론토 윌로데일에서 연방 하원의원 선거 자유당 후보경선에 나선 소니 조(Sonny Cho: 조성용) 씨는 요즘 경선투표에 참여할 한인 유권자 모집으로 날을 지샌다. 매일 모임이란 모임은 빠짐없이 쫓아가고, 단체 마다 찾아다니기에 발이 부르틀 지경이다. 기독교인이기도 한 그는 일요일에는 교회를 돌며 예배를 드리고 지역구내에 사는 성도들을 찾아내 입당원서를 내밀며 서명을 구걸하다시피 한다. 
9월말로 예상되는 경선을 앞두고 조 후보가 후보로 선출되기 위해서는 최소 2천명이 넘는 당원이 확보돼야 한다고 한다. 그가 지금까지 모은 입당원서는 1천5백여장이다. 토론토에서 한인이 가장 많이 사는 노스욕의 중심지에서 2천명의 도움을 받기도 벅찬 상황인 것이다. 그의 체험담으로는 10명 중 1~2명이 눈길을 줄 정도라고 했다. 입당원서를 받기 위해 대형 한인식품점 앞에서 캠페인을 벌였더니 슬슬 피하고 멀리 돌아서 다니더라는 얘기도 털어놓았다. 대부분 자신과는 관계없는 일이라는 태도라고 쓴 웃음을 짓는다.
 
많은 한인들이 “우리 정치인 한 사람 정도는 만들어야 해”라고 입을 모은다. 하지만 ‘우리 정치인을 만들기 위한’ 일에 자신이 직접 나서는 일은 꺼리고, 반면 정치인은 배출되기를 원하니, 결국은 내가 아닌 ‘남의 손으로’ 만들어지기만을 기대한다는 뜻이다. 그야말로 ‘손 안대고 코풀기“요, ‘연목구어’(緣木求魚: 나무에 올라가 고기를 구한다는 뜻)에 다름아닌 것이다. 따져보면 연아 마틴 의원이 그런 사례일 수 있겠으나, 과연 제2 제3의 연아 마틴이 언제 나올 수 있을까. 그런 기대조차 결국은 평소 정치·사회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요 선결과제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연아 마틴은 일찌감치 훈련된 시민활동가요 정치인이었음을 상기해야 한다. 
최근 한 동포 회계사는 충격적인 이야기를 털어놓았다. 정확한 통계는 아니고 공개적으로 떠들 일도 아니라는 전제하에, “심각한 불황에 처해있는 요즘 한인사회 상황은 1년에 1백개 정도의 자영업자가 문을 닫는 놀라운 쇠락지경”이라는 것이다. 부침이야 있을 수 있고 사업부진에 폐업소식도 듣긴 하지만, 1년에 1백개 안팎이라면 매월 10군데 가까이 문을 닫는다는 이야기다.
 
마땅한 사업대안도 찾지 못하는 어려움 속에 설상가상 한인 이민과 유학생이 급감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들을 한다. 한인 유입이 급격 줄어든 것은 바로 보수당 정부의 이민정책이 바뀐 때문이다. 연간 이민자 수는 큰 변동이 없는데 왜 한인 이민자에 대한 문턱은 높아졌을까. 자유당 연방의원에 도전하는 소니 조 후보는 “그래서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자유당의 이민정책을 선호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정치인들의 정책이 곧바로 우리 생활에 직결되는데, 그 정치와 정치인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적은 그간의 ‘업보’가 그대로 되돌아 오는 것을 깨달아 적극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물론 캐나다인 평균을 보아도 선거참여율이 그다지 높지않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전체를 논하기에 앞서 이민자들의 처지는 다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다수 캐나다인들이야 소소한 정책변화에 큰 신경을 쓰지 않아도 생활에 영향이나 불편 역시 소소할 수 있다. 그러나 삶의 기반이 취약한 마이너리티인 소수민족 이민 커뮤니티는 하찮은 정책변화에도 생계까지 위협받을 수 있음이 증명되는 것이다. 우리 입장을 잘 알고, 대변하고, 방호하고, 나아가 정책을 입안할 우리 정치인이 필요한 절실한 이유다. 우리가 사는 이 땅의 정치에 눈곱만큼 이라도 관심을 기울이고, 우리 정치인을 우리 손으로 만드는 일이 비록 서먹하고 귀찮아도 발을 벗고 나서야하는 것이다.
 
< 김종천 편집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