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스마트폰과 인간의 퇴화

● 칼럼 2015. 3. 7. 18:04 Posted by SisaHan

얼마 전에 시내에서 저녁을 사 먹을 일이 있었다. 작은 식당에 들어가 음식을 주문하고 기다리는데, 청소년 남매와 어머니로 보이는 일가족이 들어왔다.
그들은 음식을 주문하고 자리에 앉자마자 각자 스마트폰을 꺼내 식탁 위에 올려놓고 말없이 무언가에 열중했다. 음식이 나오고 그것을 다 먹을 때까지 30여분 동안 그 가족은 아무런 대화를 나누지 않았다. 조용히 음식값을 치르고 식당 문을 나설 때까지 그 가족에게서 들을 수 있었던 말은 음식을 주문하는 소리와 어머니가 작업 중에 외부의 누군가와 통화한 것뿐이었다.
그들은 ‘함께’ 저녁을 먹는 것이 아니라 같은 자리에 앉아 귀찮은 밥 문제를 각자 해결하고 있었던 셈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70%를 넘었다거나 이미 5천만대가 보급되어 있다고 하는 우리 현실에서 이런 풍경은 이제 더 이상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고 훨씬 충격적인 일들도 다반사다.
대학 1학년인 딸아이가 방학 동안 집에 와서 하는 일을 보면 이해가 될 듯하다. 녀석은 자정이 넘도록 친구들과 문자를 주고받다가 머리맡에 둔 전화기에 연결된 이어폰을 귀에 꽂고 음악을 들으면서 잠자리에 드는 게 생활화되어 있다. 농촌의 겨울인지라 아침 식사가 늦음에도 녀석은 가족과 함께 밥 먹는 것을 귀찮게 여기는 것 같았다. 가족이라면 머리를 맞대고 밥을 함께 먹는 것을 당연한 일로 여기는 나로서는 꽤 당황스런 일이었다.
스마트폰이 생활화된 아이들에게는 함께 살아가는 가족도 식구가 아닌 것 같다. 삶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밥 먹는 일조차도 함께해야 할 일로 여기지 못하는 이들에게 연대나 공동체, 더 근본적으로는 타인과의 ‘관계’와 같은 낱말들은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


스마트폰이 일반화되면서 사람들은 참고 기다리거나 궁금해하는 것을 잘 견디지 못하는 것 같다. 궁금한 것들은 무엇이든 자판기처럼 즉석에서 답을 얻을 수 있다. 누군가에게 전한 소식에 응답을 기다리는 일이나 낯선 곳을 찾는 것도 그렇고 모르는 지식을 알고자 할 때도 마찬가지다.
불과 한 세대 전에 그랬듯 친구에게 편지를 띄우고 답장을 기다리는 동안 그의 삶을 궁금해하며 그를 그리워하는 것은 마냥 헛된 일일까. 목적지를 찾지 못해 주민에게 길을 묻고 그의 친절한 안내에 고마워하는 일은 없어져야 할 불편일까.
고성능 카메라를 겸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사람들로 하여금 현재에 집중하지 못하도록 한다. 맛있게 차려진 음식을 보면 그 맛을 음미하기보다는 사진 찍기에 바쁘고, 아름다운 경관 앞에서나 문서화된 지식 앞에서도 그렇다. 누군가에게 전하기 위해, 나중에 다시 꺼내보기 위해 눈앞의 것들에 몰입한 뒤 놓아주는 대신 자신만의 창고에 쌓아두느라 바쁘다.


나는 최소한 중학교까지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이 아이들의 생활은 물론 학습에서도 쓰여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사람의 정신과 육체는 별개로 나눌 수 있는 게 아닐 것이다. 아이들은 몸과 마음이 조화롭게 자라야 한다. 글씨는 손으로 써야 하고 몸을 부딪치며 뛰놀아야 하고 도구를 손에 쥐고 일을 해야 한다. 그것이 길게 보면 아이의 지적 성장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학교의 교육과정은 절반 이상이 예체능을 포함해서 몸을 쓸 수 있는 활동으로 채워져야 마땅하다.
 나는 어려서 중학교를 다닐 때까지 연필을 참 많이 깎았다. 연필 깎는 일은 단순해 보이지만 칼과 연필을 쥔 양손이 유기적인 협조를 이루어야 멋지게 해낼 수 있다. 샤프 연필이 나오면서 연필을 깎아야 하는 수고는 사라지게 됐지만 오랫동안 연필을 깎았던 손놀림은 어린 시절에 균형과 조화에 대한 감각을 기르는 데 꽤 도움이 되었으리라 믿는다.
< 김계수 언론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