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화의 20세기와 21세기의 가장 큰 차이는 한마디로 문명 수입국에서 공급국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이다. 무역 규모가 세계 10위를 넘나들고 국민소득 3만달러를 눈앞에 두고 있다는 경제지표가 이를 말해준다. 무수한 한국 제품이 전세계로 퍼져나가고 있고 케이(K)팝을 비롯한 대중문화가 한류를 이루며 자랑스럽게도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해주는 나라로 그 위상이 바뀌었다.
20세기를 살아오면서 우리가 문화적으로 크게 마음 써온 것은 한국 문화의 정체성이었다. 한국인은 누구이고 한국적인 것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무수히 많은 논의가 있었다. 그런 고뇌와 논의의 결과 우리는 한국 문화의 특질을 세심히 볼 수 있게 되었고 민족적 자존심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 그것은 중심부 문화에서 주변부로 밀려나 있는 모든 문명수입국들이 겪는 문화적 고뇌로 대단히 방어적이라는 성격을 띠고 있었다. 자칫하면 폐쇄적인 보호막으로 둘러지고 심지어는 열등의식의 삐뚤어진 행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위험에 빠지지 않고 끝내는 세계 속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데 오늘의 자랑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런 사실을 체감하지 못하고 여전히 지난날의 관성에 빠져 있는 면이 없지 않다. 그것은 우리가 갖고 있는 역사의식과 문화에 대한 시각을 아직도 민족적인 것의 굴레에 가두고 글로벌한 시각으로 전환하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
한 예로 우리는 한국의 역사라고 하면 으레 ‘한반도에서 일어난 사건사고사’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동아시아 역사의 흐름 속에서 우리 역사를 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병자호란도 청나라가 쳐들어와 인조가 항복하였다는 사실 못지않게 왜 청나라가 명나라와 싸우다 말고 조선을 침공했는지, 임금을 무릎 꿇렸으면서도 지배하지 않고 인질만 데리고 철수하는 데 그쳤는지도 면밀히 생각해봐야 한다. 그런 시각에서 보면 오히려 조선왕조의 존재감이 살아난다.


역사책에서 고려왕조는 무수히 많은 침략을 받은 왕조로 기록되어 있다. 거란의 요나라, 만주족의 금나라, 몽골족의 원나라, 그리고 홍건적의 침입으로 점철되어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 역사 전체에서 보면 중국 대륙이 북송, 요, 남송, 금, 원, 명 등 여섯 왕조가 뒤집어지는 와중에도 고려왕조는 475년간 이어간 대단히 슬기롭고 건강한 나라였다. 원나라의 사위 나라가 된 것도 불명예만은 아니다. 그 막강한 몽골의 27년간 일곱 차례 침공을 막아내고 결국 협상을 통해 ‘칸’의 지배를 받지 않고 대원제국의 사위 나라로 대접받는 것으로 전쟁을 마감하였다.
인간이 만든 밥그릇 중 자기를 능가하는 것은 아직 발명되지 않았다. 중국 자기의 역사는 4세기 초보적 청자인 고월자로부터 시작되어 10세기에는 퍼펙트한 청자를 만들어냈다. 이는 중국 문화의 위대한 발명이었다. 고려는 이 중국의 청자를 벤치마킹하여 11세기가 되면 아름다운 고려청자를 만들어냈다. 이후 어느 나라도 청자를 만들지 못했다. 고려마저 청자를 만들지 못했다면 세계 청자의 역사는 중국의 문화로 국한되고 말았을 것이다. 고려는 더 나아가 12세기가 되면 상감기법을 개발하여 청자의 다양한 아름다움을 구현하였다.
그럼에도 소더비와 크리스티 옥션에서 송나라 청자는 고려청자보다 몇십배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질로 따져서 한 치 꿀릴 것이 없고 희소성을 따지자면 고려청자가 더 귀한데 왜 국제시장에서 그런 대접을 받아야 하는가.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런던의 브리티시 뮤지엄, 파리의 기메 뮤지엄에서 중국실, 일본실에 비해 한국실의 비중은 비참할 정도로 초라하다. 실로 억울하기 그지없다. 중국은 그렇다고 치고 왜 한국 문화가 일본의 반의반도 차지하지 못하는 것인가.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글로벌 마인드의 선구적 노력이 없었다.또 중요문화재를 제외한 일반문화재는 해외 반출이 자유로워 문화 외교관 역할을 해야 한다.
서구에는 서양인 중국문화 전문가가 많이 있다. 그러나 서양인이 볼 수 없는 중국 문화의 진수를 알기 쉽게 가르쳐준 것은 중국인 임어당(林語堂·린위탕)이었다. 그는 “한 다리로는 서양, 한 다리로는 중국을 딛고 한마음으로 우주를 향해 글을 썼다.”고 했다. 우리에게도 그런 능력과 기백을 갖고 있는 학자·문필가가 나와야 한다.

< 유홍준 - 전 문화재청장, 명지대 석좌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