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창] 트럼프가 대선에서 이기는 방법

                    

존 페퍼/ 미국 외교정책포커스 소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올해 대선 연기의 이유로 주장하는 우편투표가 지난 6월 지방선거 때 워싱턴주 렌턴에서 처리되고 있다. 렌턴/로이터 연합뉴스

        

전당대회가 끝나고 미국 대선이 두 달 앞으로 다가왔다. 여론조사들을 보면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현직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큰 차이로 이길 거로 보인다.

그러나 이건 정상적인 선거가 아니다. 가장 큰 의문부호는 트럼프 자신이다. 트럼프는 지는 걸 좋아하지 않는다. 그는 이기기 위해 거짓말을 하고 속임수를 쓸 것이라는 점을 여러 차례 보여줬다.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하고자 시도할 방법들은 아래와 같다.

옵션 1: 거짓말

올여름 트럼프는 2만번째 거짓말을 했다. 미국 대중과 언론을 끊임없는 거짓말에 익숙하게 만든 트럼프는 거짓말을 새로운 차원으로 가져가고 있다. 그는 민주당 후보가 바이든이 아니라 버니 샌더스인 것처럼 이번 선거를 미국인 대 사회주의자의 대결이라고 말한다. 트럼프는 사실과 다르게, 바이든이 경찰에 자금을 지원하지 않기를 원한다고 말해왔다. 대통령이 진실을 잘못 묘사할 수는 있지만, 느닷없이 지어내는 것은 다른 얘기다. 트럼프는 진실과 완전히 따로 논다. 그는 이기기 위해서라면 무슨 말이든 할 것이다.

옵션 2: 폭력 선동

트럼프는 지지자들에게 몸을 쓰도록 반복적으로 독려했다. 2016년 대선 때 그는 기자를 들어 던진 친트럼프 정치인을 내 타입이라며 칭찬했다. 그는 유세에서 지지자들에게 시위대를 두들겨 패라고 하면서 법적 비용을 자신이 대겠다고 했다. 대통령으로서 트럼프는 폭력 경찰과 신나치를 옹호했다. 그는 연방수사국(FBI)이 테러 위협으로 간주하는 큐어넌(QAnon) 음모론을 칭찬했다. 선거 60일을 앞두고 트럼프는 사실상 지지층에게 내전을 시작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그는 위스콘신주 커노샤에서 두 사람을 죽인 자경단원이자 트럼프 지지자인 카일 리튼하우스를 옹호했다. 언론인 존 캐시디가 <뉴요커>에 썼듯이, 트럼프는 지금 파시스트 지도자의 특징인 군중 폭력 선동의 문턱을 넘어섰다.

옵션 3: 선거 훔치기

트럼프는 법치에 관심이 없다. 그는 중요한 선거를 앞두고 법을 어기는 데에 죄책감이 없다. 공화당은 사람들이 유권자 등록하는 것을 막고 투표소를 폐쇄하는 등 광범위한 투표 억제 활동을 벌여왔다. 트럼프는 우편투표를 폄하함으로써 투표 절차의 합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많은 유권자들은 우편투표를 할 것이다. 그래서 트럼프는 우체국이 투표용지를 처리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려 하고 있다. 그는 우편 시스템이 수요에 맞추지 못하도록 추가 자금 지원을 막고 있다고 인정했다. 이런 투표 억제의 결과는, 트럼프가 대선 당일에는 이기지만 우편투표가 개표되는 하루 이틀 뒤에는 패배하는 붉은 신기루일 수 있다. 트럼프는 그때 선거 승리를 도둑맞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옵션 4: 백악관에서 버티기

다른 모든 것이 실패하면 트럼프는 그저 백악관을 비워주는 걸 거부할 수 있다. 그는 선거가 조작됐고 자신이 실제로 이겼으며 지지자들은 거리로 나와서 자신의 승리를 지켜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럼프는 거짓말, 도둑질, 폭력 선동 등 모든 옵션을 하나로 묶어서 민주주의를 독재로 바꿀 수 있다. 지난 몇달 동안 트럼프는 긴급상황에서 자기가 의지할 수 있는 군대가 무엇인지 정확히 봤다. 미군은 행정부의 시위대 진압에 동참하기를 거부했다. 주방위군은 워싱턴디시(DC)를 제외하고는 주지사들이 통제한다. 이것이 트럼프가 시위 진압을 위해 포틀랜드에 국토안보부, 연방보안관, 관세국경보호청 소속 연방 요원들을 보내는 이유다. 트럼프는 이들 부대에 더해 친트럼프 무장단체와 자경단에 자신의 정부 전복 시도를 지원하라고 호소할 것이다. 다행히도 미군의 지원 없이는 트럼프는 헌법을 중단하고 미국 민주주의를 전복시킬 수 있는 충분한 화력을 갖고 있지 않다. 그가 11월 투표로 퇴임하지 않는다면 그는 백악관에서 끌려나오게 될 것이다.

< 존 페퍼 미국 외교정책포커스 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