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물론 유럽이나 아시아에는 한국인 유학생과 연구원, 교수들이 아주 많다. 외국에서 연구하는 한인 연구자들은 한국의 과학발전에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있다. 국내 과학정책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으며 한국의 과학기술이 질적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나름의 원인분석과 대안을 가지고 있다. 그들과의 대화는 한발 떨어져서 대한민국의 현실을 바라보는 경험을 제공해주곤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들의 사랑은 짝사랑이다. 한국에선 그들이 좋은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하거나,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서 세계 무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지원하려고 생각조차 않고 있다. 재외 연구자들을 어떻게 지원해야 할지 제도적인 절차도 미비하다.
우리 정부가 창피하게만 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냉소하는 연구자도 여럿 봤다. 어리석게도 이번 정부는 과학기술부와 정통부를 없앴다. 또 한국 대학들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며 거액의 연구비를 지원했지만, 그 돈의 대부분은 유명 대학의 외국인 교수들에게 몇달만이라도 한국에 머물러달라고 애걸해 체류비로 사용됐을 뿐이다. 더 절실한, 어린 유학생이나 젊은 연구원이 발돋움하는 데 필요한 지원은 별로 없다.
 
외국에서 연구하는 유학생, 한인 연구원들이나 교수들도 우리 사회의 일원이다. 그들이 세계의 과학무대에서 좋은 연구를 하면 그 자체로 우리나라의 과학역량이 성장한다. 그들은 기꺼이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세계무대로 진출하는 데 좋은 다리 역할을 해줄 것이며, 우리는 그들이 이 살벌한 세계무대에서 행복하게 과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의무가 있다.
국제학회에서 한국 연구자들이 더 높은 위상에서 연구 리더가 될 수 있도록 국제학회를 지원하는 일, 대규모 글로벌 연구 프로젝트에 국내외 한국 과학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 재외 한인 과학기술자 사회가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 그들에게 한국에 있는 적절한 공동연구자를 찾아주는 일, 재외 한인 과학자를 국내에 알리고 국내 학자들을 재외 한인 연구자들에게 소개하는 일 등이 무엇보다 절실히 필요하다. 
그나마 미국 동부 아이비리그에 속한 대학들은 비슷한 기회를 제공받기도 하지만, 유럽이나 아시아 연구자들은 정부의 지원정책으로부터 철저히 소외돼 있다. 중국이나 일본은 자국의 과학자들로 하여금 글로벌 프로젝트를 주도하게 해 세계적 위상을 갖도록 도와준다. 이런 형국을 지켜볼 때면, 옆집 잔칫상을 먼발치에서 바라만 보는 이웃처럼 우리의 처지가 한없이 처량하다.
 
이제 우리 정부도 글로벌 연구계획에 연구비를 지원해 우리 과학자들이 참여케 하고, 국제학회에서 한인 과학자들이 더 높은 위상으로 학술활동을 주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절실하다. 일례로 신경과학 분야만 해도 거대 신경망을 공동연구하는 ‘신경정보학 글로벌 프로젝트’가 한창인데, 정부의 무관심으로 우리 과학자들은 참여할 기회를 놓쳤다. 국제학회에서 젊은 유학생들과 식사 한끼 같이 먹는 ‘한국 과학자의 밤’ 행사를 위해 교수들끼리 몇달 전부터 스폰서를 구걸하는 일을 후배들에겐 물려주고 싶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기초과학 강국인 스위스에 ‘한국인 과학기술자협회’가 생긴다는 소식은 무척 반갑다. ‘스위스 한인 과학자 사회’는 앞으로 한국과 스위스의 과학기술 연구협력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우리 정부는 그들의 계획, 야심찬 아이디어를 묵묵히 지원만 하면 된다. 양국 공동 심포지엄을 핑계로 방문해 축사와 식사만 하고 돌아오는 일, 과도한 보고서 작성으로 귀찮게 하는 일만 안 하면 된다.

<정재승 - KAIST 교수 / 바이오 및 뇌공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