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민들이 지난달 27일 중국 베이징에 있는 2022 베이징겨울올림픽 배너 앞을 지나고 있다. 베이징/로이터 연합뉴스

 

2022 베이징겨울올림픽이 약 3달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올림픽은 2008년에 이어 베이징에서 열리는 두 번째 올림픽이다. 베이징은 이번 대회를 치르면 세계 최초로 여름·겨울올림픽을 모두 치른 도시가 된다. 하지만 기대감보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년 전보다 악화한 중국 내 인권과 자유 의식 때문이다.

 

중국 외신기자협회(FCCC)는 2일 성명을 내 “중국 내 외신 기자들의 올림픽 관련 취재가 1년 넘게 방해받고 있다. 각종 행사와 스포츠 경기장 방문도 거부당했다”며 “올림픽 보도에 있어 베이징올림픽조직위원회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투명성 결여를 우려한다”고 밝혔다. 중국 내 언론 통제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2008 베이징올림픽 때도 중국은 비슷한 문제를 겪었다. 하지만 당시 중국은 ‘저자세’를 유지하며 언론 자유의 보장을 약속했다. 2001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아이오시 총회에 참석한 중국 쪽 대표는 ‘올림픽 기간 중국 내 민주화운동과 강제노동수용소를 취재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중국에 오는 기자들은 어떤 것이든 취재할 자유가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올림픽이 중국의 인권 현실을 개선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중국의 국제적 지위가 달라졌고, 이제 그들은 미국과 패권을 다투는 국가가 됐다. 쉬궈치 홍콩대 역사학 교수는 <에이피(AP) 통신>에 “두 베이징올림픽의 가장 큰 차이점은 2008 베이징은 세계를 기쁘게 하려고 노력했지만, 2022 베이징은 나머지 세계가 그들을 어떻게 생각하든지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코로나19도 중국의 언론 통제를 돕는 모양새다. 실제 베이징올림픽조직위원회가 지난달 25일 발표한 ‘베이징 2022 플레이북’을 보면, 모든 올림픽 참가자는 경기장과 호텔 등 정해진 동선 외에는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없다. 중국 국민과의 접촉도 원칙적으로 차단된다. 각종 소수민족이나 인권 탄압 피해자 취재는 아예 불가능해진다.

 

아이오시는 이런 상황을 방관하고 있다. 올림픽 헌장 제48조를 보면, 아이오시는 다양한 언론매체의 보도활동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처를 해야 한다. 또 올림픽 취재와 관련한 모든 결정권도 아이오시에 있다. 하지만 언론을 통해 “베이징조직위와 대화하겠다”는 입장을 내는 것 정도 외에는 별다른 반응이 없다. 해결 의지 자체가 부족해 보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베이징/AP 연합뉴스

 

2008년 시진핑 당시 국가부주석은 여름올림픽 총괄책임자였다. 그는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렀다는 평가를 받았고, 국가주석 자리에 올랐다. 최고 권력자가 된 시진핑은 이제 겨울올림픽을 발판으로 내년 10월 열릴 중국공산당 당대회에서 세 번째 임기에 오를 준비를 하고 있다. 그 사이 올림픽으로 인해 향상될 것이라던 중국 내 인권 문제는 뒷걸음질 쳤고, 국경 없는 기자회가 발표하는 언론자유지수에선 167위(2008년)에서 177위(2021년)로 떨어졌다.

 

과연 누구를 위한 올림픽인가? 베이징올림픽이 아닌 ‘시진핑 올림픽’이라는 평가를 받고 싶지 않다면, 진정 아이오시가 정치가 아닌 올림픽 정신을 위한 조직이라면 취재의 자유부터 보장해야 한다. 이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