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때 인류 역사상 쏜꼽히는 대규모 분화…현재는 안정기

북풍 불 때 터지는 '최악 경우' 초고농도 미세먼지·수십조원 피해

 

 백두산 천지.

 

최근 온라인에 남태평양 통가 화산이 분화할 때 피어난 화산분출물 구름 위성사진을 각국 지도 위에 합성한 사진이 올라왔다.

 

이 사진을 보면 통가 화산 분출물 구름은 한반도 3분의 2를 뒤덮을 수 있다.

 

최근 통가 화산 분화로 한반도 내 활화산 백두산에도 관심이 쏠렸다.

 

31일 기상청에 따르면 900년대부터 현재까지 백두산은 31번 분화했다.

 

위성이 포착한 남태평양 해저화산 폭발 장면=15일 남태평양 섬나라 통가 인근 바다에서 해저 화산이 폭발하는 모습으로, 미국 국립해양대기관리국(NOAA)의 위성이 촬영한 사진이다. 이날 남태평양 해저 화산이 폭발하면서 통가 전역과 일본 남서부 해안, 미국 서부 해안 일대에 쓰나미 경보가 발령된 가운데 우주에서도 폭발 장면이 관측됐다.

 

◇ 인류 역사상 손꼽히는 화산…과거 화산폭발지수 '7'

 

백두산이 가장 크게 분화했을 때는 고려 때인 946~947년이다.

 

당시 분화는 규모가 워낙 커서 '천년 분화'(Millennium Eruption)로 불리며 학자마다 계산이 다르지만 화산분출물량이 약 100~170㎦이고 화산재가 동해를 건너 일본 쿠릴열도까지 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화산폭발지수(VEI)를 따지면 7에 해당하는 분화로 분석된다.

 

화산폭발지수는 0부터 8까지로 나뉘며 한 등급 사이 폭발 규모는 10배 차이다.

 

기원후 화산폭발지수가 8인 분화는 없었고 7은 946~947년 백두산 분화를 비롯해 1812년 탐보라 화산 분화와 1257년 사말라스 화산 분화 등 세 차례였다.

 

최근 중국과 러시아 학자가 속한 국제연구팀이 지난달 국제학술지 '화산학'(Bulletin of Volcanology)에 946~947년 백두산 분화 분출물량을 40.19~97.90㎦로 낮춰 추산하고 화산폭발지수도 7이 아닌 6으로 추정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을 두고 중국 등의 이해관계가 반영됐다는 지적이 학계에서 나온다.

 

실제 국내 백두산 화산 권위자로 기상청 화산특화연구센터장인 윤성효 부산대 교수는 최근 이탈리아 지구물리·화산학 연구소와 공동연구에서 946~947년 백두산 분화 화산폭발지수가 7이라는 결론을 도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화산폭발지수가 7이든 6이든 946~947년 백두산 분화가 인류 역사상 손꼽히는 큰 규모인 점은 변함없다.

 

 백두산 화산분화 현황. [기상청 홈페이지 갈무리]

 

◇ 2002~2005년 모든 학자가 '분화 가능' 평가…현재는 안정기

 

백두산은 마지막 분화가 1925년으로 100년도 안 된 활화산이라는 점에서 '시한폭탄'을 바라보듯 바라볼 수밖에 없다. 분화 시 최악의 경우 수십조원 규모 피해를 안길 수 있다는 점은 걱정을 키운다.

 

백두산이 분화할 가능성은 얼마큼일까.

 

가장 최근 위기는 2002년부터 2005년 말까지였다.

 

중국 관측 결과 당시 화산성 지진이 달마다 72회 발생해 안정기(월 7회)의 10배에 달했다. 지진 규모도 1 정도였던 것이 3~4로 높아졌다. 모든 화산학자가 백두산 분화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평가하던 시기였다는 것이 윤성효 교수 설명이다.

 

윤 교수는 "2006년부터 화산성 지진이 줄었다"라면서 "현재는 백두산 지하 마그마방에서 마그마가 움직이는 데 따른 통상적 수준의 지진만 발생한다"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북한의 핵실험이 백두산을 자극해 분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한다. 하지만 핵실험장 위치(함경북도 풍계리) 등을 고려했을 때 백두산을 자극하려면 핵실험으로 규모 7 이상 지진이 발생해야 하나 그런 적 없었다. 2017년 6차 핵실험 때 발생한 지진은 규모 5.6이었다.

 

현재 전문가들은 당장 혹은 가까운 미래에 백두산이 분화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본다.

 

◇ 최악의 경우 11조원대 피해…'초고농도 미세먼지' 몰려와

 

다만 남북 공동연구 추진 등 대비는 충분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백두산이 분화했을 때 엄청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서다.

 

우리나라에 특히 우려되는 피해는 화산재다.

 

기상청은 2011년 '선제적 화산대응 종합대책'에서 백두산이 분화해 화산재가 고도 25㎞까지 치솟으면 편서풍을 타고 일본을 넘어 태평양까지 날아갈 것으로 봤다.

 

또 한반도로 북풍계열 바람이 불어올 때 백두산이 분화하면 화산재가 우리나라로 넘어올 것으로 예상했다.

 

윤성효 교수는 2015년 '화산재해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 예측 기술 개발' 보고서에서 백두산이 화산폭발지수 5~7 수준으로 분화하고 산 쪽에 북동풍이 유입돼 화산재가 남서쪽으로 이동하는 등 '최악의 경우'에 직·간접피해 규모가 11조1천895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농림수산업이 가장 큰 피해를 받고 항공운송에도 지장이 생겨 수출에 차질이 빚어지고 각종 제조공단도 조업 중단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됐다.

 

'초고농도 미세먼지'도 우려된다.

 

재작년 대한원격탐사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2012년 5월 16일' 백두산이 분화했다고 가정한 시뮬레이션에서 분화 31시간 후 초미세먼지(PM2.5)가 서울에 도달하고 38시간 후 농도가 2만4천547㎍/㎡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악의 경우 백두산이 분화했을 때 초미세먼지 '매우 나쁨' 기준선(76㎍/㎡)의 320배가 넘는 먼지가 몰려온다는 의미다. 백두산 분화로 발생한 미세먼지가 우리나라에서 물러나는 건 분화 50시간 후로 나타났다.

 

정기웅 한국외대 국제지역연구센터 교수는 작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북한환경리뷰' 기고문에서 "(백두산 분화 시) 최악의 상황을 상정하기 위해서라도 예측 데이터를 확보해야 하는데 현재로선 방법이 없다"라면서 "백두산 분화 관련 남북협력이 전혀 없다"라고 경고했다.

 

윤성효 교수는 "남북 공동연구가 성사되면 어떤 연구를 할지는 연구자들 사이 이미 준비가 돼 있다"라면서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서) 백두산 분화 가능성을 분석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간절한 희망"이라고 말했다.

 

백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