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어제 최고위원회를 열어 8월20일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열기로 확정했다. 사실상 현행 경선 규칙대로 대선 후보를 뽑겠다는 의미다.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제도 도입을 요구해온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정몽준·이재오 의원 등 ‘비박 3인방’은 크게 반발하며 경선 불참까지 선언할 태세다. 새누리당 전당대회는 그나마 존재했던 미약한 대립구도마저 완전히 무너지면서 사실상 ‘박근혜 추대 대회’로 흘러가는 분위기다.
새누리당이 당내 일부 세력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현행 규칙 고수 쪽으로 가는 것은 박 의원의 뜻이 워낙 완강하기 때문으로 전해진다. 박 의원은 주변 중진들이 몇 차례 타협안을 냈지만 퇴짜를 놓았다고 한다. 물론 경선 규칙은 어느 쪽이 정답이라고 말하긴 어렵다. 시간이 너무 촉박하고 완전국민경선제가 역선택 등의 위험이 있는데다 정당정치의 기본에 어긋난다는 박 의원 쪽 지적도 일리는 있다. 하지만 문제는 어떤 경선 룰을 선택하느냐보다 오히려 이 사안을 풀어가는 박 의원의 태도에 있다.
 
박 의원이 한번 원칙을 정하면 누가 뭐래도 꿈쩍도 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정평이 나 있다. 좋게 말하면 일관성과 원칙 고수지만, 심하면 오만과 독선이 된다. 이번 경선 규칙을 정하는 데서도 박 의원의 비타협적 기질이 유감없이 드러났다. 다른 대선 주자들과 만나서 이 문제를 허심탄회하게 논의하지도 않았고 이들을 설득하려는 어떤 노력도 하지 않았다. “선수가 룰을 바꿔서는 안 된다”는 말 한마디로 끝이었다. 내가 옳고 당신들은 틀렸으니 더는 대화할 필요도 없다는 태도다.
박 의원 쪽은 “비박 3인방이 빠져도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과 안상수 전 인천시장 등이 참여하면 오히려 더 미래지향적인 경선 모습이 될 수 있다”는 말까지 하고 있다. 들러리를 세워 ‘무늬만 경선’ 꼴을 갖추면 그만이라는 이야기다. 과연 이런 김빠진 경선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국민이 그런 정치행사를 어떤 눈으로 바라볼지는 관심 밖이다.
 
나라를 이끄는 지도자의 중요한 덕목 가운데 하나는 자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을 끌어안고 다독이고 설득하는 능력이다. 특히 갈등과 분열의 골이 심각한 우리 상황에서는 이런 덕목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같은 당내 사람들과도 소통하지 못하는 박 의원의 태도가 앞으로 야당 또는 자신과 의견이 다른 국민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나타날지 많은 사람이 우려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이번 새누리당 경선 규칙 문제가 제기하는 심각성도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