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과 깸 오가거나 그 중간 헤매는 유사불면·가수면
불협음에 수면 질 저하‥빛·소리 차단 몰아자야 

“거실에서 TV 보며 잠이 들면 가족들이 깨우며 “들어가서 자라”고 하죠. 그런데 왜 꼭 TV 보며 잤던 사람은 안 잤다고 할까요?“
그런 가족이 있는 집들이 꽤있다. 분명 코를 드르렁거리며 자다가도 슬쩍 TV를 끌라치면 눈을 번쩍 뜬다. 그의 눈꺼풀에는 센서가 달린 것일까?
전문의들은 “TV 시청이 아니더라도 그런 사람이 많다. 특히 수업 시간에 많다”고 말한다. 전문의사들의 설명을 들어보면 우리가 잘 때 꿈을 꾸지 않는 모든 수면을 비렘수면이라고 하는데 TV를 보거나 수업 시간에 잠깐 졸 때는 ‘꿈 없는 잠’ 중에서도 1단계에 해당한다. 자신은 잤다는 것도 깨닫지 못할 정도로 가장 얕은 잠이다. 대체로 잤는데 안 잤다고 우기는 사람들은 이렇게 잤기 때문이다.
 
<잘 자야 잘 산다>를 쓴 숨수면클리닉 이종우 원장은 “우리 아버님도 그러신다. 특히 나이 들면 수면의 깊이가 얕아지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TV 보던 옆사람이 잔다면 깸과 잠을 오가거나 그 중간 어디선가 헤매고 있다고 봐야 한다. 잘 때처럼 근육의 힘이 풀리며 상기도 근육에도 힘이 빠져 코를 쉽게 골기도 한다. 놔둘까, 깨울까? 이종우 원장은 20분 이상 잔다면 저녁 잠을 빼앗기 때문에 깨우는 게 낫다는 쪽이다. “잠은 졸지 말고 몰아서 제대로 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당부이다. 
그럴 리는 없겠지만 ‘유사 불면’이라는 증상도 있다. ‘수면착각 증후군’과 비슷하다. 분명 잤는데도 본인은 안 잤다고 믿는 증상이다. 많은 불면증 환자가 사실은 5시간 이상 잤는데도 하나도 못 잤다고 말하기도 한다. 의료진에 따라 판단은 다르지만, 이건 병이 아니라 증상이다. 전문의들은 “내 몸은 내가 안다고 믿지만 그렇지 않다. 통증도 사람마다 다른 것처럼 자기가 얼마나 잤는지 느끼는 것도 사람마다 다르다”고 말한다. 이 원장은 “환자가 잤다는 걸 알려주는 게 최선의 치료”라고 말한다. 또 “보통 5시간 이상 자는 게 좋지만 3시간을 잤더라도 견딜 만하면 괜찮다. 모자라는 잠 시간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정말 안 잤다는 증거가 있다. 그 시간에 방송한 TV 프로그램 내용을 줄줄이 읊기도 한다. 졸다 깨다 하며 TV를 보고 꿈을 꾼 것일까?
 
전문의들은 “얕은 잠 단계에서는 대체로 외부 자극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 하더라도 화면 내용이나 소리의 내용까지 이야기하는 경우는 분명히 기억을 재구성한 경우”라고 말한다. 우리가 낮에 어떤 사물을 보고 그걸 다시 꿈으로 꾸기까지는 일주일이 걸린다고 한다. 오늘 보고 오늘 꿈을 꿀 수는 없다는 것이다. 어쨌거나 그는 잔 게 맞다. 문제는 가수면과 진짜 잠을 오락가락하며 수면의 질이 몹시 떨어져 있다는 점이다. 
의학적으로는 빛과 소리가 완전히 차단된 채 자는 잠을 질 좋은 잠이라고 한다. 얕은 잠과 깊은 잠을 적당히 섞어가며 7~8시간 정도 자는 것이 좋은 잠이다. 
TV를 켜놓고 자면 수면의 교향곡에 불협화음이 끼어든다. 이제 TV를 끄고 주무시라. 로미오는 줄리엣에게 이렇게 인사한단다. “당신의 두 눈엔 잠이, 가슴엔 평화가 깃들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