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없이 내리는 이슬비에 마음까지 축축한 듯했다. 물어물어 찾아간 그곳은 전주에 와서 <혼불>의 작가를 만나지 않을 수 없다며 들른 문학관이었다. 날씨를 핑계 삼아 아늑한 곳에 들어가 따끈한 커피나 마셨으면 하는 마음을 달래주려는 듯 밝게 웃는 커다란 사진이 우리를 맞이했다. 최명희는 1990년대에 한 고등학교에 근무할 때 알게 된 작가였다.
당시 나는 도서실 관리 업무를 맡고 있어 수업이 없는 시간에는 도서실에 상주하며 자연스럽게 신간 서적을 읽을 수 있었다. 도서실에서는 학생들뿐 아니라 마음이 맞는 교사들이 책을 돌려가며 읽은 후에 이따금씩 감상을 나누고 토론을 하기도 했다. 기억도 아득한 일이지만 그때 만난 책이 <혼불>이었다. 요즈음과는 달리 그때만해도 대하소설이 꽤 읽히던 때라 열 권이라는 부피가 그리 부담스러운 줄 모르고 읽던 시절이었다.
실은 최명희 문학관에 들어서면서 큰 기대는 없었다. 여느 문학관처럼 비슷한 형태로 작가 소개와 작품, 원고지 등을 전시해놓았겠지 싶었기 때문이다. <혼불>을 연구한 논문들이 유리 진열장 아래 한 줄로 놓여있고 정면에 간단한 약력이 적혀있었다. 그 보다는 전시실 중앙에 작가가 누군가에게 보낸 엽서에 더 관심이 가서 그 앞을 서성이는데 바로 옆 진열장에서 뭔가 강렬하게 시선을 잡아당기는 게 있었다. 옛 선비들이 서신용으로 주고받던 둘둘 말린 한지를 길게 펼쳐 놓은 듯한 종이의 염력(念力)에 아마 나도 모르게 끌렸나 보았다.
조금 바랜 듯한 하얀 종이에 왼편에서 시작해 세로로 써 내려간 글, 그건 작가가 친구에게 육필로 쓴 편지였다. A4 용지만한 크기의 종이를 2미터 이상 늘어놓은 길이인데 여러 장을 이어 붙인 게 아니라 온전한 한 장이었다. 대체 어디에서 그렇게 긴 종이를 구했는지 몰라도 모나지 않은 글씨들이 정스럽게 조근조근 무슨 말인가를 하고 있는 것 같았다. 작가에 대한 선입견 때문인지 예민한 필체를 예상했는데 의외로 부드럽고 편안한 글씨체였다. 어떤 마음으로 썼기에 그렇게 긴 글을 한결 같은 필체로 이어갈 수 있었을까. 단숨에 썼을까, 며칠을 두고 썼을까. 이런저런 생각에 나는 그 앞에서 발이 붙은 것처럼 서 있었다. 원고지 위에서 사각거리던 만년필 소리가 들려오고 종이에 배어든 잉크 냄새가 나는 듯한 환각이 일었다. 편지를 쓰고 있는 작가 바로 곁에 앉아있는 느낌이었다고 할까. 그 긴 종이에 끝도 없이 조용조용 풀어놓았을 작가의 마음이 만져지는 것 같아 나는 감히 발을 뗄 수가 없었을 것이다.
문득 어디선가 찬 바람이 부는 것 같았다. 내 다음 다음 세대쯤 되는 작가의 문학관은 어떤 광경일까, 펜을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로 글을 쓰는 차세대 작가의 타이핑한 편지가 전시되어 있다면 관람객의 마음에 어떤 파장이 일까 상상해보았다. 친필이 아닌 인쇄된 편지를 보고도 내가 느끼는 것처럼 작가와 같은 공간에서 호흡하며 감정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듯한 착각으로 가슴이 뛸 수 있을까 싶었다.
요즈음은 전화도 음성보다는 문자를 선호하는 세대이다. 삶의 질을 높여준다는 기계문명에 기대어 문화 성향이 음성에서 문자로 바뀌어간다는 것은 주관보다는 객관에, 감성보다는 이성에, 이해보다는 책임 쪽으로 무게가 더해간다는 의미가 될 수도 있다. 육필도 육성도 사라져가는 문명 사회에서, 희미해져 버린 아날로그적 흔적을 그리워하며 한쪽 귀퉁이가 무너진 듯한 불균형을 느끼는 것이 비록 나 한 사람뿐일까. 기계문명의 편함을 누리는 대신에 어쩌면 우리는 그 이상의 소중한 무엇인가를 잃어버리고 있는 지도 모른다.
손으로 쓴 편지에서는 세월이 지나도 숨결이 느껴진다. 영혼의 숨결이 스며든 살구빛 체온을 글자마다 품고 있기 때문이리라. 그녀의 체온이 묻어있는 편지를 받은 행운의 주인공이 누구였을까. 작가가 쓴 문학적인 글이라서 감동을 받은 게 아니기에 내용이 어땠는지는 생각나지 않는다. 다만 편지에 배어있던 살 냄새를, 그 따스한 숨결을 오래 기억하고 싶을 따름이다.
< 수필가 - 캐나다 한인문협 회원, 한국 문인협회 회원 >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감시와 보복인사 속에 실종된 MBC 언론자유 (0) | 2012.08.27 |
---|---|
[칼럼] ‘독재자의 딸’ 무대에 오르다 (0) | 2012.08.27 |
[한마당] 소중한 언론혁명과 시민참여 (0) | 2012.08.27 |
[기고] 올림픽 이후 ‘정치’의 제1과제 (0) | 2012.08.20 |
[사설] ‘독도 강공몰이’만이 능사 아니다 (0) | 2012.08.20 |
[사설] 대북정책 전환의 마지막 기회 놓치지 말라 (0) | 2012.08.20 |
[한마당] 대외정책과 대통령의 자질 (0) | 201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