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인간이, 신이 창조한 자연의 오묘함을 규명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가 과학이라면 최근의 자연과학의 발달은 그 원래의 목적을 넘어 신의 영역인 창조의 과정에까지 간여하게 된 것 같다. 일반적으로 과학의 발달속도는 기하급수적이어서 현재의 과학 지식들의 90% 가 지난 10년간 발견 또는 개발되어진 것이라고 한다. 컴퓨터의 발전과 응용은 의료부문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이제는 모든 병원에서 일반화 되어버린 CT scan, MRI 는 물론, 많은 기계들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함으로써 인간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생명을 연장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의 국방성의 과학자들은 입으면 초능력을 발휘하며 백 kg 이 넘는 짐을 한 손으로 들고 거친 오르막 길을 재빠르게 달릴 수 있는 장비와 캄캄한 어둠 속에서도 볼 수 있는 적외선 특수안경 심지어 공상과학소설 속의 투명외투 등의 기술을 개발 하였고 이미 실용화하고 있다고 한다.

그 동안 우리가 알던 육백만 불의 사나이나 원더우먼 등의 초능력인간의 이야기가 오늘날 현실이 되어 최근에는 사람들이 필요한 신체의 각 부분을 컴퓨터화한 인공 장기들로 대체하고 있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팔 없는 이가 이식수술 대신 인공 팔을 옷 입듯이 입으면 컴퓨터 칩이 뇌파를 받아 그가 뜻하는 대로 그 팔을 움직이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고, 사고로 다리가 절단된 여인이 마치 부츠를 사 신듯 몇 벌의 인공 다리 ( prosthetic limbs)를 사서 매일 마음에 드는 것으로 갈아 신고 아무 불편없이 보통사람 보다 더 완벽하게 걷고 뛰는가 하면 이것 덕분에 키가 커졌음을 부러워하는 이들이 일부러 다리를 절단하고 인공다리를 달고자 심각하게 고려 중이라는 황당한 소식들도 들려온다.

또한 프랑스에서는 뇌에 컴퓨터를 이식하고 전기자극을 가하여 파킨슨병이나 강박신경증 등의 난치병들을 치료하는 방법이 실용화 되고있으며 이곳 캐나다에서도 뇌에 전자기(電磁氣) 자극을 주어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치료 하는 TMS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경두개 자기자극술) 등이 이미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공상과학소설에서만 보았던 cyborg 등은 더 이상 공상 속의 이야기가 아니며 앞으로는 뇌를 포함한 인간의 신체를 기계로 치환할 때, 어디까지를 얼마나 기계로 바꾸었을 때 인간이라고 할 수 있는가 하는 등, 인간과 기계에 대한 정의 조차 모호해질지 모른다. 더 오래, 더 건강히 잘 살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으니 최근에는 노화방지 및 수명연장에 대한, 그야말로 진시황이 찾던 불로장생의 기술들도 연구되고 있다.

심지어 미국에서는 인공자궁이 실험단계에 있으며 앞으로 태어날 아기들을 원하는 스펙에 맞추어 아기의 눈, 머리, 피부 색 등 신체조건은 물론 지능, 성격, 재능 까지 선택하여 디자인하고 인공자궁에서 배양하여 전달하게 되는 아기공장의 산업화가 조만간 이루어지리라는 보도이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과학의 발달은 신의 영역인 생명탄생에 인간이 관여하여도 되는가에 대한 물음, 도덕적, 윤리적, 종교적으로 격렬한 논쟁을 야기하고 있다. 놀랍게도 한 설문조사에서 미국 여성들의 반정도가 여성도 난자만 제공하면, 임신과 출산의 고통에서 해방되어 남성처럼 사회활동과 여가를 즐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아기공장의 설립에 찬성했다고 한다.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고 주창하는 이들은 과학기술이 우생학적인 면에서 장애아의 출산을 막고 우수한 인간을 계속 선택하여 인류발전에 공헌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생명이란 우연한 배합에 의하여 태어나며 언젠가는 소멸한다는 죽음이라는 한계를 전제로 한다고 할 때 과연 이런 것이 없는 삶이 최선의 삶일까를 생각해보게 한다. 지극히 자연적인 현상인 죽음을 거부할 때, 질병을 치료하고 환자를 고통에서 해방시킨다는 면에서는 환영받아 마땅한 의과학의 발전이, 태어날 때부터 계획되고 선택되어 삶을 완전히 지배한다면, 그 프로그램 대로 살아가는 삶이란 얼마나 재미없을까? 우리의 삶은 살아가면서 우연히, 뜻하지않게 부딪히게 되는 수많은 사람들, 사건 사고들, 어려움에 도전하고 장애를 극복하는, 그러면서 더 기쁘고 슬프고 풍요롭고 행복하여지는 것은 아닌지?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한 천국에서의 삶이라면 지루함 때문에 그것을 포기하겠다는 어떤 이의 말이 생각난다. 최근의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여 가는 과학 기사들을 접하면서, 조용히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자신이 자연의 작은 한 부분임을 인식하여 생로병사의 삶을 있는 그대로 담담히 받아들이며 살다가 떠나간, 신의 섭리에 순응했던 옛 선인들의 지혜가 더 절실히 마음에 와 닿는 이유는 내가 새로운 것들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 낡은 세대이기 때문인가?

< 김영제 - 시인, 시.6.토론토 동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