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당신들의 문학은 안녕한가요?

● 칼럼 2013. 12. 24. 19:33 Posted by SisaHan
월간 문예지 <현대문학>이 ‘박정희의 유신’과 ‘87년 6월 항쟁’을 언급했다는 이유로 원로작가 이제하의 소설 연재를 거부했다고 한다. 지난 9월에는 현직 대통령의 해묵은 수필을 들먹이며 몽테뉴와 베이컨 운운하는 황당한 아첨을 해 문학인들의 공분(公憤)을 사더니, 급기야 문학에서 ‘정치’를 추방하기로 작정한 모양이다. 
그런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견작가 정찬이 정치적인 색채가 드러난다는 이유로 장편소설 게재를 거부당했고, 원로소설가 서정인 역시 박정희 전 대통령을 비판적으로 언급했다는 이유로 연재를 중단당했다는 소식들이 꼬리를 물고 있다. 
평생을 문학에 바쳐온 중견·원로 작가들이 황당한 이유와 부당한 권력 앞에서 수모를 당하며 감내해야 했을 절망감을 생각하면 안타까움에 앞서 분노가 치민다. 그동안 힘없는 젊은 작가들에게는 또 얼마나 많은 횡포를 부렸을까.
 
소설가 정찬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양숙진 주간은 “<현대문학>은 순수문학을 지향하는 잡지이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가시화된 작품을 다루지 않았다”고 답변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자가당착적인 논리일 뿐이다. 현직 대통령의 수필을 꺼내들고 소위 ‘박비어천가’를 부르는 것은 ‘순수’이고, 과거의 독재정권을 비판하거나 그것과 맞서 싸운 역사적 과정을 배경으로 한 소설은 모두 ‘정치’라는 것일까? 더구나 이제하의 소설에서 ‘유신’은 단순한 배경일 뿐이라고 하지 않는가? 서정인이 현실참여적인 작가로 분류되는가? 왜 한국의 ‘순수문학’은 항상 문학이 어떠한 정치적 경향으로부터도 자유로워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실제로는 권력의 이데올로그를 자처하는 것일까? 이러한 ‘순수’가 시국적인 것과 이념적인 것을 쓰지 못하게 한 일제 총독부의 ‘검열’이나 ‘창작지침’과 무엇이 다른가? 
문학의 ‘순수’는 문학이 이데올로기의 전달 수단이나 현실 정치의 도구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지 문학이 정치와 현실에 대해 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아니다. 문학의 순수는 ‘정치’가 아니라 ‘권력’과의 거리두기에서만 가능하다.
게재 거부의 이유를 묻는 이제하의 질문에 대한 편집장의 답변도 문제다. 사측에서 미래지향적인 소설, 밝고 명랑한 소설을 원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현대문학>이 한국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이 정확히 반영되어 있다.
 
잠시 관심을 갖고 주변을 돌아보라. 그러면 지금 우리 사회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고통으로 신음하고 있는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온통 죽음과 고통만이 난무하는 시대, <현대문학>은 문학의 보편성이 이런 현실에서 눈을 돌림으로써 성취되는 것이라고 믿는 듯하다. 하지만 그것은 문학이 아니라 어두운 시대를 가릴 화려한 포장지일 뿐이다. 
어둠의 시대에 밝고 명랑한 작품을 원한다는 것, 그것은 일제 말 총독부가 조선인들에게 강요했던 ‘명랑성’만큼이나 폭력적이다. 어두운 시대에는 어두운 문학이, 죽음의 시대에는 죽음의 문학이 커다란 흐름을 형성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이치이다. 이 어둠과 죽음을 외면할 때, 문학은 지배논리를 강화하는 고급한 상품이 된다.
<현대문학>이 이제하·정찬·서정인의 소설에 ‘정치’라는 딱지를 붙여 게재를 거부하고 연재를 중단시킨 것은 단순한 편집권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문학인들에게 자유 없는 문학과 영혼 없는 글쓰기를 요구한 권력의 작가 길들이기였다. 
<현대문학>은 문학인들에게 결코 해서는 안 되는 것, 곧 작가들의 문학적 자존심과 문학의 존엄을 짓밟았다.
 
써야 할 것과 쓰면 안 되는 것을 제시하는 것은 ‘편집’이 아니라 ‘권력’이다. 또한 정치권력에 대한 아부는 설령 그것이 문학적으로 잘 포장되었다 할지라도 문학이 아니다. 
이제 이 부당한 권력에 대해 작가들이 응답할 차례이다. 문학인들에게 감히 묻는다. 당신들의 문학은 안녕하신가요?
< 고봉준 문학평론가 -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