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뉴욕에서 날아온 쑥

● 칼럼 2016. 7. 13. 08:22 Posted by SisaHan

외출에서 돌아오니 큼지막한 쇼핑백이 눈에 띄었다. 아이들의 소지품 정도로 짐작하다가 혹시나 하는 마음에 열어보니 싱싱한 부추가 그득하게 들어 있었다. 부재중 친구 L 부부가 다녀 간 것이다. 언제고 지나는 길에 들리겠다는 전언은 있었지만 막상 빈 걸음으로 돌려세우고 나니 서운한 마음 그지없었다.
L 부부의 정성 속에 자라난 부추들을 조심스레 끄집어낸다. 부추김치, 부추 전, 부추 샐러드 등 건강이 뚝뚝 묻어나는 유기농 밥상을 상상하며 부추 반찬에 한껏 골몰 해 있을 즈음 조그만 비닐봉지가 딸려 나왔다.
무엇일까, 부드러운 감촉으론 생물이 아닌 듯 하여 콧잔등을 들이 미니 친근한 냄새가 후각을 간질인다. 나의 급한 마음 알기라도 하듯 살짝 여민 봉지를 풀어보니 데친 쑥 한 덩이가 얼굴을 쏙 내민다. 늘 이맘때면 더 그리운 고향 냄새를 풍기면서.
내 궁금증이 통했던지 L에게서 전화가 왔다. 뉴욕 아들네 갔다가 꺾어 온 쑥이라며 옛 생각하며 쑥버무리를 해 보란다.


세계에서 가장 현대적인 도시에서 날아 온 쑥이라 생경함마저 들었지만 쑥은 나에게 그냥 단순한 식재료가 아닌 두고 온 고향과 내 유년기 언저리를 맴돌고 있는 추억의 산물이다.
꽁꽁 뭉쳐진 쑥 덩이를 풀어헤치니 상념속의 그것과 거리가 좀 있는 모습이다. 냄새는 분명한데 생김새는 사촌 내지 육촌 정도에다 크기는 또 얼마나 월등한지, 넓은 미국 땅 덩어리를 그대로 닮은 듯 했다. 모국 토종 쑥이 이 정도 크기라면 말려서 약용으로나 쓰일 텐데 하는 맘으로 한 잎을 뜯어 씹어 보았다. 다행히 싱겁다고 느낄 정도의 여린 맛이 모든 음식을 가능하게 했다. 나는 친구가 권유해 준 쑥버무리 보다 더 간절한 쑥 국과 쑥 개떡을 염두에 두고 일부는 냉동고에 그리고 나머지는 숭숭 썰어 국 끓일 준비를 했다.
식탁에 앉은 아이가 쑥 국을 보며 의아해 한다. 연유를 들려주었더니 ‘혹시 센트럴 파크에서 꺾으신 게 아닐까요? 하며 씩 웃는다. 학창 시절, 하계 강좌를 위해 뉴욕에 머물 무렵, 센트럴 파크에서 많이 본 식물이라며 그때의 에피소드를 들려주는 얼굴이 상기되어 간다. 우리 시대의 전유물로만 여긴 쑥이 후세에도 쑥쑥 뻗어가고 있으니, 그래서 쑥인가 보다.


어린 시절 쑥 캐기는 우리 자매들에게 해방구나 마찬가지였다. 따뜻한 봄이 되면 할머니는 곧잘 바구니와 칼을 챙겨 선바람을 잡으시고 우린 할머니 치맛자락을 잡고 아버지의 눈치를 살폈다. 할머니의 엄호 아래 아버지의 허락이 떨어지면 자매들은 앞 다투며 앞산으로 달렸다. 아버지의 엄한 훈육 탓에 집안에선 실컷 웃고 떠들 수 없었던 그 시절 쑥 캐기는 얼마나 달콤한 구실이었던가. 아이에게 이런 얘기를 했더니 까마득히 잊어버린 한 기억을 끄집어 낸다.
형제가 초등학교 저학년 정도 되었을 때, 엄마인 내가 떡 해준다며 쑥을 캐 오게 했단다. 형제를 포함한 또래 여섯 명이 산으로 몰려가서 쑥은 뒷전이고 칼싸움, 총싸움 하며 얼마나 신나게 놀았는지 모른단다. 성인이 된 지금도 그때를 떠 올리면 행복하다는데 정작 나는 아무런 기억이 없으니…


아들들에게 쑥 캐러 보낸 젊은 엄마의 속내는 호연지기를 염두에 두었다기 보다 자신이 경험한 해방구를 아이들에게 선사하고 싶었던 건 아니었을까. 떡은 해주더냐고 물었더니 사 주어서 먹은 기억이 어렴풋하다고 한다.
쑥 바구니가 오죽 신통찮았으면 사서 먹였겠냐 고 뒤늦게 한마디 했더니 아이는 ‘그러게요.’ 하면서 머리를 긁적인다.
추억 저편으로 이끌어준 친구에게 고마운 마음 전하고 싶다.

< 임순숙 - 수필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에세이스트’로 등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