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학계, 문체부 유병채 국민소통실장 임명 기류에 반발

 

 
 
유병채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장이 지난해 문체위 국정감사에서 위증 지적을 받자 사과하고 있다. JTV 유튜브 갈무리

 

국악 학계에서도 용산 대통령실 비서관을 지낸 유병채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장을 국립국악원장에 임명하려는 문체부의 움직임을 ‘불순한 알박기’로 규정하며 반대하고 나섰다.

 

한국음악과 국악 교육 관련 5개 학회 회장들은 19일 발표한 성명에서 “문체부가 행정직 공무원을 국립국악원 원장에 임명하려는 발상은 정국 혼란기에 편승한 ‘불순한 알 박기’로 오해되기에 충분하다”고 비판했다.

 

‘한국음악·한국음악 교육 학회장 일동’ 명의로 발표한 이날 성명엔 이상규 (사)한국국악학회 이사장과 안성우 한국국악교육학회 회장, 조경선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회장, 김혜정 판소리학회 회장, 이용식 한국민요학회 회장 등 국악 관련 학회 대표 5명이 이름을 올렸다. 지난 7일 전현직 국립국악원장과 국악연구실장 13명의 성명과 지난 18일 국립국악원 전현직 예술감독 27명의 성명에 이어 관료 출신 국악원장 임명 기류에 반대하는 국악인들이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5개 국악 관련 학회 대표들은 성명에서 “졸속, 퇴행적인 국립국악원장 선임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이를 재고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며 “전통예술에 문외한인 행정직 공무원을 국립국악원 원장에 임명할 경우 수십년 동안 전임 원장들이 이뤄놓은 국립국악원의 올바른 문화기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이 일시에 와해하여 전통문화 전반의 퇴보를 가져올 것이 명약관화하다”고 밝혔다. 이어 “국립국악원장은 문화예술 정책뿐만 아니라, 국악(음악·무용·연희)의 공연·교육·연구·국제교류 분야 등에 깊이 있는 전문적 지식이 필요한 직위”라며 “국립국악원장은 전통예술 전반에 깊이 있는 전문성을 갖춘 인사가 임명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윤석열 정부 들어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을 지낸 유병채 국민소통실장은 체육국장, 문화예술정책실장을 거쳐 국악 분야 전문가라고 하긴 어렵다. 특히, 김건희 여사의 케이티브이(KTV) 국악 공연 ‘황제 관람 논란’과 관련해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별도 청중은 없었다”고 거짓 해명했다가 위증이란 지적을 받자 사과하는 등 논란에 올랐던 인물이다. 당시 박정하 국민의힘 의원도 민주당 소속인 전재수 국회 문체위원장에게 “좀 더 엄하게 꾸짖어야 한다”며 유 실장의 위증 시도를 질타한 바 있다.

 

국립국악원장은 민간 전문가만 지원할 수 있는 경력개방형 직위인데 문체부는 지난해 12월 대통령령을 개정해 공무원도 지원할 수 있는 개방형 직제로 변경했다. 당시부터 ‘용산 출신 관료를 국악원장에 앉히려는 직제 개편’이란 말들이 나왔다.  < 한겨레 임석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