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정부정책 핵심에 디지털 정부 두고 범정부 개혁 추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처음으로 실시한 디지털정부 평가에서 한국이 종합 1위에 올랐다.

1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14OECD가 발표한 '2019 디지털 정부 지수'(Digital Government Index:2019) 평가에서 종합점수 0.742(1점 만점)로 평가 대상 33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OECD 디지털정부 지수'는 회원국들의 디지털전환 수준과 디지털정부 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올해 처음 발표됐다.

평가대상은 33개국(회원국 29개국, 비회원국 4개국)이고, 20182019년까지 2년에 걸쳐 측정했다. 미국, 호주, 스위스, 헝가리, 멕시코, 슬로바키아, 터키, 폴란드 등은 평가에서 빠졌다.

이번 평가에서는 우리나라에 이어 영국이 0.736으로 2위를 차지했고 이어 콜롬비아(0.729), 덴마크(0.652), 일본(0.645), 캐나다(0.629), 스페인(0.621), 이스라엘(0.60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평가대상국의 평균 종합점수는 0.501이었다.

OECD는 보고서에서 "한국 등 상위권 국가들은 정부 정책의 핵심에 디지털 정부를 두고 여러 정부에 걸쳐 범정부적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이번 평가는 이런 사실을 반영한 결과"라고 밝혔다.

행안부는 "2019OECD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1, 2020UN 온라인 참여지수 1위 등에 이은 쾌거로 전 세계 디지털정부 전환을 선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OECD 디지털정부평가 종합점수 순위

이번 평가는 디지털 우선(Digital by design) 플랫폼으로서의 정부(Government as a platform) 개방성(Open by default) 데이터 주도 공공부문(Data-driven public sector) 사용자 주도성(User-driven) 선제성(Proactiveness) 6개 항목에 걸쳐 이뤄졌다.

우리나라는 이 가운데 '디지털 우선''개방성' 부문에서 1위를 했다.

디지털 우선은 정부가 디지털전환을 정책 전반의 필수 요소로 보고 명확한 리더십 아래 효율적인 협업과 체계적 집행을 하는지를 보는 것이다. 개방성은 정부가 가진 데이터와 시스템, 정책 결정 과정 등이 얼마나 대중에 공개되는지를 본다.

우리나라는 플랫폼 정부 항목에서는 2, 데이터주도 공공부문 항목에서는 3, 사용자 주도성에서는 4위를 했다.

행안부는 "부처 간 장벽을 허물고 통합 연계 시스템 개발을 위해 노력한 점이 높게 평가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선제성에서 우리나라는 12위에 그쳤다. 이 항목은 국민에게 필요한 바를 예측하고 번거로운 절차나 복잡한 정보 요구 없이 신속하게 대응하는 정부의 능력을 평가한 것이다.

행안부는 이와 관련해서는 한국형 뉴딜 대표과제인 지능형정부 사업을 통해 국민에게 맞춤형·선제적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진영 행안부 장관은 보도자료에서 "공공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온 한국의 디지털정부 혁신 노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디지털정부를 더 발전 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