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가상화폐 앱 개발해 침입…국무부·국방부 등에도 '스피어 피싱' 시도

트럼프 때인 작년 12월 공소제기…바이든 정부 공개, 북미관계 영향 주목

美 "키보드 사용 세계 은행강도"…'돈세탁 조력' 캐나다계 미국인 혐의 인정

 

미 법무부에 기소된 "북한 정찰총국 해커 3명" : 17일 AP통신과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는 전 세계의 은행과 기업에서 13억 달러(약 1조 4천억원) 이상의 현금 및 가상화폐를 빼돌리고 요구한 혐의로 북한 정찰총국 소속 3명의 해커를 기소했다. 작년 12월에 제출된 공소장에 따르면 기소된 해커는 (사진 왼쪽부터) 박진혁, 전창혁, 김일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으며 북한군 정보기관인 정찰총국 소속이다. 정찰총국은 '라자루스 그룹', 'APT38' 등 다양한 명칭으로 알려진 해킹부대를 운용하고 있다. 2021.2.18 [미 법무부 제공]

 

미국 법무부는 17일 북한 해커 3명을 기소했다고 밝혔다.

AP통신과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미 법무부는 전 세계의 은행과 기업에서 13억 달러(약 1조 4천억원) 이상의 현금 및 가상화폐를 빼돌리고 요구한 혐의로 북한 정찰총국 소속 3명의 해커를 기소했다.

작년 12월에 제출된 공소장에 따르면 기소된 해커는 박진혁, 전창혁, 김일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으며 북한군 정보기관인 정찰총국 소속이다. 정찰총국은 '라자루스 그룹', 'APT38' 등 다양한 명칭으로 알려진 해킹부대를 운용하고 있다.

검찰은 이들이 2017년 5월 파괴적인 랜섬웨어 바이러스인 워너크라이를 만들어 은행과 가상화폐 거래소를 해킹하는 등 관련 음모가 광범위하게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들은 2018년 3월부터 적어도 작년 9월까지 피해자 컴퓨터에 침입할 수 있는 수단인 여러 개의 악성 가상화폐 앱을 개발해 해커들에게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2017년 슬로베니아 기업에서 7천500만 달러, 2018년에는 인도네시아 기업으로부터 2천500만 달러, 뉴욕의 한 은행으로부터 1천180만 달러를 훔치는 등 가상화폐 거래소를 겨냥했고, '크립토뉴로 트레이더'라는 앱을 침투경로로 사용했다.

미 국무부와 국방부뿐 아니라 미 방산업체들과 에너지, 항공우주 기업들을 대상으로 악성코드를 심은 이메일을 보내 정보를 훔쳐가는 '스피어 피싱' 행각도 시도했다고 법무부는 밝혔다.

로스앤젤레스 검찰과 미 연방수사국(FBI)도 뉴욕의 한 은행에서 해커들이 훔쳐 2곳의 가상화폐 거래소에 보관 중이던 190만 달러의 가상화폐를 압수하기 위해 영장을 발부받았다. 이 화폐는 은행에 반환될 예정이라고 당국은 밝혔다.

법무부가 작년 12월 기소된 사건에 대한 공소장을 이날 공개하면서 북미관계에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때 기소된 사건이라 해도 그 공개 시점이 조 바이든 신행정부가 대북정책을 검토하는 와중에 나왔기 때문이다.

이번 기소는 2014년 발생한 소니픽처스에 사이버 공격에 연루된 박진혁을 미 정부가 2018년 기소한 사건을 토대로 이뤄졌다. 당시 박진혁에 대한 기소는 미국이 사이버 범죄와 관련해 북한 공작원을 상대로 처음 기소한 사례였다.

소니픽처스 해킹이 발생했던 당시 북한은 소니픽처스가 북한 지도자 암살을 소재로 한 코미디 영화 '인터뷰'를 제작·배급하는 것에 강력히 반발한 바 있다.

버락 오바마 당시 미 대통령은 해킹 사태 이듬해인 2015년 북한 정찰총국을 대상으로 고강도 대북 제재를 담은 행정명령을 발동하기도 했다.

박진혁은 소니픽처스 외에도 2016년 8천100만 달러를 빼내 간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해킹, 2017년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 2016∼2017년 미 방산업체인 록히드마틴에 대한 해킹을 시도한 혐의도 받은 바 있다.

그는 북한의 대표적 해킹조직으로 알려진 '라자루스' 그룹의 멤버이자 북한이 내세운 위장회사 '조선 엑스포 합영회사' 소속으로 알려졌다.

WP는 이번 사례는 북한이 유엔과 미국의 제재를 받고 있는 그들의 주요 수출국에서의 금융 사이버 절도에 의존하는 정도가 심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아울러 미 법무부는 돈세탁을 통해 북한 해커들을 도운 것으로 알려진 캐나다계 미국인이 관련 혐의를 인정했다고 밝혔다.

존 데머스 법무부 국가안보담당 차관보는 "총이 아닌 키보드를 사용해 현금 다발 대신 가상화폐 지갑을 훔치는 북한 공작원들은 세계의 은행 강도"라고 비난했다.

캘리포니아 중부지검 트레이시 윌키슨 검사장 대행은 "북한 해커들의 범죄 행위는 광범위하고 오랫동안 지속됐다"며 "이는 정권을 지탱할 돈을 얻기 위해 어떤 일도 서슴지 않는 국가적인 범죄 행위"라고 말했다.

미국기업연구소 분석가인 니콜러스 에버하트는 13억 달러는 2019년 북한의 민수용 수입상품 총액의 거의 절반이라면서 "북한 경제에 있어 엄청난 것"이라고 했다.

 

외화 훔치고 백신정보 빼가고…북한 해킹조직 7천명 육박 추정

"2019∼2020년 사이버범죄수익 4천억 추정…핵·미사일 개발자금 조달"

보안 전문가 "북한 해킹 그룹은 조직보다 국가이익에 주목하는 게 특징"

 

북한이 미국 정부와 금융기관뿐 아니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는 제약회사까지 침투하는 등 전방위 해킹을 벌여 국제사회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미국의 모략극'이라며 해킹 사실을 부인하며 반발하고 있어 북미관계 악화의 새로운 변수가 될 가능성도 크다.

미국 법무부가 17일 공개한 공소장을 보면 지난해 12월 기소된 박진혁·전창혁·김일 등 북한군 정보기관 정찰총국 소속 해커 3명은 미국 정부와 방위산업체, 금융기관 등에 대한 해킹 공격을 벌인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금융기관과 기업을 겨냥한 공격을 통해 13억 달러(약 1조4천억원)가 넘는 돈을 빼가려는가 하면, 정부와 방산업체 등에서는 정보를 훔치려고 시도한 것으로 봤다.

해킹 수법도 컴퓨터 속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만들고 이를 '인질' 삼아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금품 요구 악성 프로그램)와 시스템 관리자나 정보 책임자에게 악성코드를 심은 이메일을 보내 정보를 빼내 가는 스피어 피싱(표적 온라인 사기)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했다.

국가정보원은 지난 16일 북한이 해킹으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원천기술을 훔치려 했다고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했다.

북한은 지난해에도 아스트라제네카와 셀트리온 등 제약사 시스템을 해킹 시도했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이들 사례는 북한 군 정찰총국과 연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라자루스(Lazarus)'와 '김수키(Kimsuky)' 등 해킹 조직의 과거 행태와 일치한다.

라자루스는 2014년 북한 희화화 영화를 제작했던 미국 소니픽처스와 2016년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을 해킹하고, 2017년 '워너크라이'라는 이름의 랜섬웨어 유포했으며, 2019년 인도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공격했다는 의심을 받는 등 대표적인 북한 연계 해킹 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재무부는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김수키도 2014년 한국수력원자력을 해킹하고, 2019년 통일부·경찰청과 암호화폐 거래소를 상대로 잇달아 피싱 공격을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지난해에는 국내 보안기업이 통일교육원 전 직원을 사칭한 사이버 공격과 코로나19 정보로 위장한 악성 메일을 이용해 국제교류단체 등을 해킹하려 한 정황을 발견하고 배후로 김수키를 지목하기도 했다.

국방부는 최근 발간한 '2020 국방백서'에서 이처럼 북한이 운영하는 사이버 부대의 규모가 6천800여 명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은 최근 연례보고서에서 북한이 2019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이와 같은 해킹으로 얻은 범죄 수익이 3억1천640만 달러(약 4천32억원) 이상이라며, 북한이 이 돈을 핵과 미사일 개발에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보안 전문가는 이와 같은 북한의 해킹이 일반적인 사이버 공격과 구별되는 특성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미국 보안업체 파이어아이의 수석 애널리스트 루크 맥나마라는 지난달 팟캐스트에서 북한의 사이버공격에 대해 "해커 양성부터 공격 그룹 지원까지 모두 정부 주도하에 체계적으로 이뤄진다"며 "조직의 경제적 이익보다 국가의 이익에 주목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제사회의 비난에 북한은 지난해 두 차례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금 세척 및 테러자금지원 방지를 위한 국가조정위원회 대변인' 명의 담화를 내고 사이버 공격 연루설을 '미국의 모략극'이라고 전면 부인했다.

도리어 미국이 국가안보국(NSA)의 프리즘(PRISM)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를 무차별 감시·도청·교란하고 있다면서 "미국이 사이버 위협에 대해 운운하는 것 자체가 파렴치의 극치"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