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 일본에 쓰나미 경보 발령

파고 도달한 제주·남해 피해는 없어

 

남태평양 통가 인근 해역에서 15일 오후 화산이 분출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촬영

 

남태평양 통가 인근에서 해저 화산이 분출해 일본과 미국에 쓰나미 경보가 발령됐다. 우리나라 제주에도 높은 파고가 밀려왔으나 피해는 없었다.

 

기상청은 16일 “우리나라 제주에서 남동쪽으로 8400㎞ 떨어진 남태평양의 섬나라 통가 인근 해역에서 ‘흥가 통가-흥가 하파이’ 화산이 14일 오전 2시42분(한국시각)께 분화를 시작했다. 분화가 계속되던 중 15일 오후 1시10분께 분화로 인한 해일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통가 화산 분출 위치와 지진해일 모식도. 기상청 제공

 

화산 위치는 남위 20.54도, 서경 175.38도로 뉴질랜드 인근 섬나라인 퉁가 해역이다. 기상청은 화산 높이는 114m, 분연주 높이는 1만9200m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일본 기상청은 15일 오후 11시에 해일 예보를 발령했으며, 이후 16일 0시28분에 해일 경보와 주의보를 발표했다. 실제로 일본 동쪽 해안 곳곳에서 화산 분화 약 11시간 만에 해일이 관측됐다. 아마미시 고미나토에서는 15일 오후 11시55분께 1.2m 높이의 쓰나미가, 이와테현 구지항에서는 16일 오전 2시26분 1.1m의 쓰나미가 관측됐다.

 

일본 기상청은 15일 오후 통가에서 화산이 분출해 쓰나미 경보·주의보를 발표했으며, 실제로 최고 1.2m의 파고 관측됐다. 기상청 제공

 

미국 국립기상청(NWS)도 서부 해안에 높이 61㎝(2피트) 정도 쓰나미가 예상된다고 경고했다.

 

우리나라에서도 화산 분화 13시간20분 뒤인 16일 오전 2시30분부터 새벽 5시께까지 제주 서귀포는 약 15㎝, 모슬포 약 10㎝, 남해안 수㎝의 파고가 일었다. 기상청은 “파고 20㎝ 이내 정도 평소에도 기상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정도이다. 우리나라에는 화산 분화에 따른 지진해일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근영 기자

 

통가 화산 폭발, 과학자들 “이번 세기 중 대형 화산 폭발” 경고

통가 해저 화산 폭발에 미 · 일 쓰나미 경고

IPCC 6차 보고서 “금세기 대형 화산 폭발” 경고

한 세기에 한 번 꼴 대형 화산 폭발로 기후에 영향

1991년 피나투보산 폭발로 한랭기 왔으나

온난화 추세는 이어져…“백두산도 폭발 가능”

 

인도네시아 자바섬 중부 족자카르타의 므라피 화산이 지난해 12월29일(현지시간) 분화해 화산재와 연기를 토해내고 있다. 높이 2천930m의 므라피 화산은 인도네시아의 120여 개 활화산 가운데 화산활동이 가장 활발하다. 2010년 10월에는 이 화산이 폭발해 주민 350여 명이 숨지기도 했다. 연합뉴스

 

남태평양 통가 인근 해역은 제주도에서 직선거리로 8400㎞ 떨어져 있다. 이 해역에서는 한국시각 14일 새벽 2시께 수중 화산이 첫 분화를 시작해 15일 낮 1시께 해일을 발생시켰다. 기상청은 16일 제주 지역과 남해안은 통가 지역 화산 폭발의 여파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알렸다. 최대 15~20㎝ 정도의 해수면 변동은 있지만, 평소 수준의 변동이라는 것이다. 함인경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 지진전문분석관은 “‘쓰나미 대피’ 경보를 발령한 일본과 달리 남해안이나 제주는 거리가 더 멀고 수심이 더 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통가판이라고 불리는 케르마데크판은 남서태평양에 있다. 통가 우측에 있는 해구를 따라 태평양판이 통가판 밑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화산 활동이 잦은 곳이다. 16일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는 “통가 해구도 일본 동쪽에 있는 해구처럼 수중에서 화산활동이 자주 있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특별하게 주목할 화산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이번 화산 폭발은 수중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분진의 영향은 적었다.

 

지진 잦은 통가판에서의 수중 화산 폭발

 

화산활동은 지구 내부 에너지의 흐름에 따른 자연스러운 상태가 반영돼 나타난다. 이때문에 예상을 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과거 화산 활동의 통계를 통해 금세기 대규모 화산 폭발 가능성을 경고한 과학자들이 있다.

 

지난해 8월 공개된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6차 평가보고서 제1실무그룹 보고서에서는 “과거 기후와 관측 증거에 기초해 21세기 중 최소 1번은 거대 폭발적 화산 분출이 발생할 가능성(66~100%)이 높다”고 지적했다. 당시 보고서는 “이러한 분출은 전지구 지표면 온도 및 강수량을 1~3년간 감소시키고 전지구 몬순(계절성 바람) 순환, 극한 강수와 많은 기후영향인자를 바꿀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보고서 총괄주저자로 참여한 부산대학교 기후과학연구소 이준이 교수는 16일 “통가 수중 화산 정도가 아닌 1991~1993년 분화한 필리핀 북쪽 지역 피나투보산 규모의 대형 화산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최근 다양한 화산활동 통계와 고기후 자료를 볼 때 이번 세기에도 그 정도 규모의 화산이 한 번 정도는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991~1993년 필리핀 피나투보산 화산은 폭발 당시 화산재와 이산화황 등이 높이 10~50㎞의 성층권까지 높게 분출될 정도로 폭발이 강했다. 당시 분출된 분진이 대기를 뒤덮어 태양에너지 흡수가 이뤄지지 않아 전세계적으로 평균기온이 0.4도가 낮아질 정도였다.

 

이 외에도 각각 수천명에서 수만명의 피해자를 낸 대형 화산 폭발을 짚어보면, 1883년 인도네시아의 크라카타우산, 1902년 과테말라 산타마리아산, 1963년 인도네시아 아궁산, 1982년 멕시코 엘치촌산 등이 있다.

 

IPCC 6차 보고서 저자로 참여한 민승기 포항공대 환경공학부 교수도 “과거 화산 폭발 시점 등의 통계를 볼 때 한 세기에 한 번 꼴로 전지구 기후에 영향을 줄 정도의 대규모 화산 폭발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며 “2~3년 정도 온도가 내려갔다가 금세 회복하기 때문에 온난화 추세가 바뀌지는 않는다는 것이 보고서의 주요 메시지”라고 설명했다.

 

      통고 수중 화산 폭발로 인한 해일 피해 예상도. 기상청 자료 갈무리

 

과학계에서는 백두산도 가까운 시일 안에 폭발 가능성이 있는 화산으로 보고 있다. 민 교수는 이날 “백두산 폭발 가능성에 대해서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데 연구가 많이 되어있지 않다. 946년 대규모 폭발이 있었다는 기록을 고려할 때 1천년에 한 번 터질 가능성이 있다고 볼 때 폭발할 수도 있다는 예상을 할 뿐”이라며 “당시 겨울에 폭발한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강항 북서풍의 영향을 받았다. 이때문에 분진이 성층권까지 높이 올라가지 않고 동쪽에 있는 일본 홋카이도로 건너갔다. 그러나 만약 새로운 폭발이 여름에 발생할 경우 대류작용에 따라 더 높이 올라가 가까운 지역뿐 아니라 전지구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고 이 경우 지구 기후 전반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우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