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 증상과 예방법

‘골든타임’ 6시간 넘기면 치료 어려워
고혈압·당뇨 등 혈관질환자가 위험군
금연·운동에 생선·채소 위주 식단을

협심증은 심장 근육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무엇인가 짓누르는 듯한 가슴 통증을 주로 호소하는 질환이다. 종종 심장이 보통 때와 달리 쿵쾅거리거나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통증 같은 증상이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지만, 더 큰 문제는 심근경색이나 뇌졸중같이 목숨을 앗아갈 수 있는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관련 전문의들은 협심증 환자들은 동맥경화를 악화시키는 요소는 무엇이든 피하는 것이 최선이며, 이런 치료가 협심증 증상을 다스리는 것은 물론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을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동맥경화를 막아라
협심증의 예방과 관리법은 심근경색과 크게 다르지 않다. 바로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동맥경화가 나타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다. 협심증이 50대 이상에서 급증하는 이유도 바로 이 동맥경화 때문이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20~30대부터 동맥경화가 시작된다는 것인데, 이 때문에 동맥경화를 막는 습관은 젊어서부터 지켜야 한다.
동맥경화는 영양분과 산소를 많이 함유한 혈액을 뇌나 심장 등 여러 장기로 전해주는 혈관인 동맥의 안쪽 부분이 혈관 안쪽으로 자라나 혈관을 막는 것을 말한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혈관 건강을 해치는 만성질환을 오래 앓을 때 나타나기 쉬우며, 비만인 경우에도 동맥경화의 위험성이 커진다.
운동 부족이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도 동맥경화의 중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다. 흡연과 가족력 역시 무시 못할 위험인자다. 가까운 가족 중에 심근경색이나 협심증을 앓은 사람이 있다면 특히 주의가 필요하며, 혈관질환의 징후가 보이면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식사는 하루 섭취 권고량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무조건 지방질이 포함된 육류를 피할 필요는 없지만 지방이 열량이 높은 만큼 많이 먹지 않도록 한다. 생선이 포함된 식단이 바람직하며, 채소와 과일을 적당량 섭취하는 것은 좋다. 규칙적인 운동 역시 꼭 필요하다. 협심증 등을 예방하려면 달리기, 등산 등 다소 격한 운동도 괜찮지만, 이미 협심증이 와 있다면 걷기나 자전거 타기 등과 같은 유산소 운동이 좋다. 협심증을 앓고 있으면서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약을 먹는다면 출혈 위험이 있으므로 운동을 할 때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심근경색 의심되면 즉시 병원으로
협심증과 심근경색이 생기는 원리는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이다. 협심증의 경우에는 운동 등을 하다가 안정을 취하면 심장 근육에서 요구하는 혈액량이 다시 평상시로 줄어들면서 5분 안에도 통증이 사라지며, 대부분 30분을 넘기지 않는다. 하지만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막혔기 때문에 안정을 취해도 가슴 통증은 사라지지 않는다. 이를 방치하면 심장 근육이 죽어 돌연사하거나 다시 회복해도 죽은 근육 부위의 심장은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에 심부전에 빠질 수 있다. 이 때문에 평소 협심증을 앓거나 그렇지 않은 사람이라도 극심한 가슴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되고, 호흡곤란 등이 동반된다면 곧바로 관상동맥중재술 등을 할 수 있는 병원을 찾아야 한다.
급성 심근경색의 치료에 있어 ‘골든타임’으로 부르는 시간은 6시간이다. 심장 근육에 6시간가량 혈액 공급이 되지 않으면 다시 혈액 공급이 되더라도 죽은 심장 근육을 되살릴 수는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보다 더 빠른 시간에 치료를 하는 것이 더 좋다. 심근경색이 나타나 병원을 찾으면 혈전을 녹이는 혈전용해제로 막힌 것을 뚫을 수 있고, 관상동맥중재술을 통해 막힌 혈관을 뚫은 뒤 스텐트를 넣어 혈관이 다시 막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통 혈전용해제 치료의 경우 증상이 발생한 지 2시간 안에 하면 치료 성적이 좋은 편이나 그 이후로는 치료 성적이 크게 떨어진다.


<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


한국일 목사 강사 “깊은 영성으로 세계품는 성도”

캐나다 동신교회(담임 박태겸 목사)가 창립 19주년 기념으로 개최한 ‘선교부흥 사경회’가 한국 장신대교수 한국일 목사를 강사로 지난 9월30일부터 10월2일 주일까지 열려 성도들이 은혜 가운데 선교사명을 새롭게 다졌다.
동신교회는 이번 선교사경회를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를 지향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가는 목회’를 추구하는 비전으로 마련했다.


‘선교적 교회와 일상의 영성’이라는 주제로 모두 6차례 집회를 가진 한국일 목사는 30일 저녁 첫 집회에서 ‘선교적 교회-세계를 품는 교회’(엡 1:23)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전한 것을 시작으로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선택과 사명’(신 7:6~7, 사 43:8~12, 행 1:8), ‘하나님의 선교-앞서가시는 하나님’(신 31:1~8, 행 10장), ‘깊은 영성으로 세상을 아름답게’(요 3:16, 민 14:1~8), ‘세계를 품는 그리스도인-일상의 그리스도인’(시편 139: 1~6, 엡 4:11~12, 롬 12: 1~2), 그리고 ‘좋은 씨를 뿌리는 사람들’(마 13: 24~30) 이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선포했다.
한 목사는 바람직한 선교적 교회의 모델을 제시하며 성도들에게는 하나님이 명하신 선교의 꿈과 열정을 품고 세상의 복음화를 위해 헌신해야 함을 깨우쳐 큰 은혜와 함께 도전을 주었다.


< 문의: 905-338-0191 >


북한 함북지역 최악의 수해로 주민들이 큰 고통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희망21, “인도적 지원을” 민간단체 처음 성금 모금… 10일까지

북한 함경북도 지역에서 최악의 수해로 5백여명이 죽거나 실종되고 12만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60여만명이 상수도와 보건위생 시설 파손으로 심각한 질병위험에 처한 것으로 밝혀져 유엔 등 국제구호기관들이 긴급 지원에 나섰으나, 한국정부와 민간단체들은 작금의 핵실험 등 냉각된 관계로 지원을 일절 금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캐나다 한인 민간단체로는 처음으로 ‘캐나다 진보네트워크 희망21’이 북한 수재민을 위한 단기적 성금모금에 들어갔다.


‘희망21’은 10월3일 “고통받는 북녘의 동포들을 위한 인도주의적 도움의 손길은 이어져야 한다고 믿는다” 면서 민간차원 성금모금에 나서기로 한 배경을 전하고 성금모금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했다. 희망21은 “북한 핵과 미사일 실험으로 남북관계가 얼어붙고 남한 정부가 공식 지원을 거부한 상태지만, 그런 정치상황과는 별개로 자연재해로 고통받는 동포들은 민간역량이 닿는데 까지 힘을 모아 돕는 것이 도리”라고 덧붙였다.


희망21은 도움을 주기 원할 경우 10월10일까지 성금을 희망21의 Paypal 계좌(hope21.ca@gmail.com) 로 보내주면 된다고 밝혔다. 성금은 수해 이재민들을 돕기위한 쌀을 사는데 사용되며, 구매한 쌀은 재미 통일운동가인 신은미 씨를 통해 함경북도의 수해 이재민들에게 직접 전달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아울러 모금된 성금 액수와 이 성금으로 구매한 쌀이 북한동포들에게 전달되는 과정은 모두 투명하게 공개될 것이라고 희망21은 밝혔다. ▲모금 Paypal 계좌: hope21.ca@gmail.com (Send to family & friends 옵션 선택) ▲모금 기한: 2016년 10월 10일(월) ▲문의: hope21.ca@gmail.com, 647-939-5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