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 독자 개발 코로나19 백신 대규모 접종 시작

● WORLD 2021. 5. 14. 03:56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5종의 후보물질 중 하나인 ‘압달라’, 이틀만에 7만명 접종
‘임상 4상’ 성격으로 아바나 시민의 40% 접종 계획
6월부터는 또다른 백신 후보도 접종 들어갈 예정

 

쿠바가 독자 개발해 일반인 대상 대규모 접종에 들어간 백신 후보물질, ‘압달라’. 아바나/AFP 연합뉴스

 

쿠바가 독자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 ‘압달라’를 10일(현지시각)부터 일반인 대상으로 대규모 접종하기 시작해 이틀만에 7만명에 대한 1차 접종을 끝냈다고 <쿠바데바테> 등 현지 매체들이 12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12일부터 수도 아바나에서 임상 4상 시험 성격의 ‘중재 연구’가 시작될 예정이며 이 백신을 맞을 아바나 시민은 1차로 40만명이라고 전했다. 이어 38만3천명에 대한 추가 접종도 예정되어 있다. 접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아바나 전체 인구 210만명의 40%에 가까운 사람이 백신을 맞게 된다.

 

이 백신 후보 물질은 ‘쿠바 생명공학·제약산업 기업 집단’(바이오쿠바파르마)이 자체 연구센터에서 개발했으며 3상 임상시험을 거쳐 안전성과 효능이 확인됐다고 또다른 매체 <쿠바시>가 전했다.

 

쿠바가 자체 개발하고 있는 또다른 백신 후보물질인 ‘소베라나 02’도 6월 중순부터 8월까지 아바나 등지의 주민들에게 접종될 예정이다. 쿠바 보건부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백신 후보물질 접종이 인간 대상 연구의 윤리 기준을 모두 준수했다고 최근 밝혔다.

 

쿠바는 1959년 공산 혁명 이후 미국의 경제 제재를 받아왔으며, 이에 따른 의약품 확보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연구·개발 역량을 키우는 데 집중해왔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가 터지자, 여러 관련 기업들이 연합한 형태의 기업 집단을 중심으로 백신 자체 개발에 나섰다. 쿠바가 지금까지 독자 개발한 백신 후보 물질은 총 5종이다.

 

쿠바가 개발 중인 백신의 효능과 안전성이 확인될 경우, 제3세계 국가들의 백신 확보 어려움이 많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변 국가 중에는 멕시코,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등이 쿠바 백신에 관심을 보인 바 있다. 신기섭 기자

국방부, 러시아 배후 가능성 의심…바이든 정부 들어 조사 본격

 

미 국방부 펜타곤 전경

 

해외에서 근무한 군사·안보 분야 미국 외교관 가운데 130여명이 원인을 알 수 없는 뇌 질환에 시달린 것으로 나타났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2일 보도했다.

 

NYT는 20명의 전현직 관료를 인용, 쿠바와 중국에서 보고된 60건을 포함해 최근 5년간 유럽과 아시아 등 해외에서 근무한 정보기관 종사자 및 외교관, 군인 등 최소한 130명이 정체 불명의 뇌 질환을 앓았다고 전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한 대대적 조사에 나서며 사례가 늘어났다고 NYT는 지적했다.

특히 지난 연말 이후 최소 3명의 CIA 요원이 두통 등 심각한 이상 질환을 호소했고, 이들은 월터 리드 군 병원을 비롯한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유럽과 아시아의 경우 몇몇 군인들이 갑작스러운 두통과 어지럼증, 메스꺼움 등을 경험했고, 일부는 장기적인 뇌 손상을 입었다. 일부 피해자의 경우 자살 위험이 있다는 경고까지 나왔다.

 

정확한 원인 규명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국방부 내부적으로는 러시아군 정보기관인 총정찰국(GRU)가 배후에 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전문가들은 극초단파 무기가 이 같은 뇌 손상을 초래했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어맨다 쇼크 국가정보국(DNI) 대변인은 이와 관련, "현재까지 어떤 결정적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고, 결론을 추측하는 것은 성급하고 무책임한 일"이라고 말했다.

 

러시아는 이번 사태와 어떤 연관성도 부인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는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면서도 불안감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균형잡기에 고심하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 국가안보회의(NSC)가 본격적인 자료 조사에 착수했고, CIA 역시 별도의 팀을 꾸려 정보를 수집 중이다.

 

이 같은 괴질은 2016년 쿠바의 미국 대사관에서 근무한 CIA 직원이 두통과 어지럼증을 호소하며 처음 발견, 쿠바의 수도 아바나의 이름을 따 '아바나 증후군'으로 불렸다. 중국 대사관에서 근무중인 직원과 일부 가족 역시 같은 증상을 겪었다.

학살 계속 군부 상대 무장투쟁 위해 미얀마 전역서 반군 캠프 찾아

 

2013년 미스 그랜드인터내셔널 대회 참가 당시와 총을 든 타 텟 텟. [AFP/미스 그랜드인터내셔널=연합뉴스, SNS 캡처]

 

미스 미얀마 출신 30대 여성이 쿠데타 군부에 맞서 싸울 무장투쟁을 위해 소수민족 무장조직을 찾았다고 AFP 통신이 12일 보도했다.

타 텟 텟(32)은 지난 2013년 태국에서 열린 미스 그랜드인터내셔널 대회에 미얀마 대표로 참여한 바 있다.

 

통신은 그가 이후 체조 강사로 활동했다고 전했다. 현지에서는 유명 모델로도 활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텟 텟은 쿠데타 100일을 맞아 지난 11일 자신의 SNS에 검은 티셔츠 차림으로 총을 들고 있는 사진들을 올렸다.

 

그러면서 "반격해야 할 때가 왔다"면서 "무기나 펜 또는 키보드를 잡건 아니면 민주주의 운동에 돈을 기부하건, 모든 이들은 이 혁명이 승리할 수 있도록 자기 몫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한 반격할 것이다. 나는 모든 것을 포기할 준비가 돼있다. 목숨도 내놓을 수 있다"고 의지를 내비쳤다고 통신은 전했다.

 

타 쳇 텟은 또 다른 SNS에서는 '혁명은 저절로 익어서 떨어지는 사과가 아니다. 떨어뜨려야 한다'라는 아르헨티나 출신 혁명가 체 게바라의 발언을 인용한 뒤, "우리는 승리해야 한다"라고 적었다.

 

카렌민족연합(KNU) 캠프에서 군사훈련을 받는 이들.[로이터=연합뉴스]

 

군부의 유혈 진압이 멈추지 않으면서 미얀마 전역에서는 답은 무장 투쟁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많은 시민이 소수민족 무장 조직이 통제하고 있는 국경 지역으로 가서 군사 훈련을 받고 있다.

 

소수민족 반군은 이들을 대상으로 2주에서 길게는 약 한 달간 사격술과 전쟁터에서의 긴급치료법 등을 가르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이후 고향 등으로 돌아가 민주진영 국민통합정부(NUG)가 이달 초 창설을 발표한 시민방위군(People's Defense Force)으로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

 

114명 죽던 날 미스 미얀마 "국제사회가 도와주세요" 눈물 연설 [인스타그램 @hann_may]

 

앞서 지난 3월27일 태국에서 열린 올해 미스 그랜드인터내서널 대회에 미얀마 대표로 출전한 한 레이는 무대에서 군부의 민간인 학살 영상을 튼 뒤 국제사회의 즉각적인 지원을 눈물로 호소해 눈길을 끈 바 있다.

그 날은 '미얀마군의 날'로 군부가 미얀마 전역에서 114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WHO의 독립 패널 보고서…"지난해 2월은 잃어버린 달"

최단기간 전문가 파견권 · 선진국 백신 기부 등 권고…"실행 의문" 

 

WHO, 코로나19 국제적 비상사태 늑장 선포

 

세계보건기구(WHO)와 각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이 너무 느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준비 및 대응을 위한 독립적 패널'(IPPR)은 12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 '코로나19: 마지막 팬데믹으로 하자'(COVID-19: Make it the Last Pandemic)에서 이같이 밝혔다.

 

IPPR은 "2019년 12월 기원을 알 수 없는 폐렴의 집단 감염이 보고된 때부터 WHO가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할 때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비판했다.

WHO는 중국의 코로나19 발생 보고에 2020년 1월 22∼23일 처음 긴급위원회를 소집했지만, PHEIC 선포는 두 번째 긴급위 회의가 열린 같은 달 30일에야 이뤄졌다.

코로나19 첫 발생 보고부터 PHEIC 선포까지 무려 한 달여 걸린 것이다.

 

IPPR은 WHO와 각국의 코로나19 대응에 관한 독립적인 조사를 위한 위원회로, 지난해 5월 WHO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세계보건총회(WHA)에서 194개 회원국의 결의로 꾸려졌다.

13명으로 구성된 IPPR의 공동 위원장은 헬렌 클라크 전 뉴질랜드 총리와 엘런 존슨 설리프 전 라이베리아 대통령이 맡고 있다. 중국 최고의 호흡기 질병 권위자 중난산(鐘南山) 중국공정원 원사도 IPPR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IPPR은 보고서에서 중국을 넘어 아시아와 미주, 유럽 등지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년 2월을 "잃어버린 달"이라고 명명했다.

코로나19가 국제적으로 공중 보건은 물론, 사회·경제적으로 더 큰 재앙을 일으키기 전에 각국이 보다 적극적인 대응을 할 수 있었지만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각국이 대응하기 시작한 것은 WHO가 코로나19를 팬데믹으로 표현한 지난해 3월이라고 설명했다.

초기 대응과 관련해 "중국에서 분명히 지연이 있었지만, 모든 곳에서도 지연이 있었다"고 꼬집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중국, 코로나19 뒤늦게 집중 검사 돌입

 

그러면서 IPPR은 현재의 시스템이 코로나19를 억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며 여러 권고안을 내놓았다.

먼저 IPPR은 WHO에 팬데믹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승인 없이도 즉시 공표할 수 있으며, 가능한 한 최단기간 내 전문가를 파견해 조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WHO와 세계무역기구(WTO)가 코로나19 백신의 주요 생산국과 제조사에 백신에 대한 자발적인 허가와 기술 이전을 합의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부유한 국가들은 코로나19 백신 공동 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에 백신을 기부하고, 주요 7개국(G7)은 WHO의 '코로나19 대응 장비에 대한 접근성 가속화 체제'(ACT-A)에 필요한 190억 달러의 60%를 제공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아울러 현재 임기 5년에 재선 가능한 WHO 사무총장의 재임 기간을 7년 단임으로 바꿔야 한다고 권했다고 AP 통신은 전했다.

 

그러나 이 같은 권고 사항에 일부 전문가들은 IPPR이 WHO와 다른 당사자들의 책임을 묻는 데 실패했다면서 "책임을 포기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고 AP는 보도했다.

런던 퀸 메리 대학의 소피 하먼 국제정치학 교수는 "어떤 나라가 그들의 승인 없이 WHO가 발병 여부를 조사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허락하겠는가?"라면서 IPPR의 권고가 회원국들에 전적으로 환영받지 못할 것이며 따라서 실행될 수 없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영국 의사인 테이비드 톰린슨은 WHO가 코로나19의 많은 전염이 공기를 통해 이뤄진다는 점을 뒤늦게 인정하는 등 과학적 리더십의 "가장 근본적인 측면에서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WHO 중국에 조사단 파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