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처럼 남북관계와 관련한 희소식이 날아들었다. 우리 정부가 지난 3일 수해지원 의사를 밝힌 데 대해 북쪽이 일주일 만에 조건부 수용 뜻을 밝히고 나왔다. 남북 사이의 극심한 정치적 대립 속에서도 남쪽이 인도적 문제로 손을 내밀고 북쪽이 뿌리치지 않는 모습을 보인 것은 홍수 피해자에 대한 실질적 도움뿐 아니라 상호화해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일이다.
북쪽은 그제 남쪽의 수해지원 제의를 받아들이겠다면서 지원 품목과 수량을 알려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바로 직전, 추석을 맞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협의를 하자는 남쪽의 제안을 5·24 조처의 철회와 금강산관광 재개를 요구하며 사실상 거부한 것과는 사뭇 다른 자세다. 북쪽이 이산가족 상봉보다 수해지원에 더 적극적인 반응을 보인 것은 사람이 많이 오가는 인적 교류보다 물자만 받는 수해지원이 정치적 부담이 작다는 점을 고려했을 것이다. 물론 7, 8월의 연이은 폭우와 태풍으로 수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봐 외부의 지원이 어느 때보다 절박한 상황이기도 하다. 북은 지난 8, 9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적십자 회의에서도 홍수 피해를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지원을 요청했다고 한다.
 
북이 남의 제안을 기본적으로 수용하면서 지원 품목과 수량을 알려달라고 토를 단 것은 의미심장하다. 일부에서는 남쪽이 제시하는 품목과 수량을 보고 판단하겠다는 ‘오만한 태도’라고 비난하지만, 지난해 일을 생각하면 그렇게 볼 일만은 아니다. 지난해 여름 북에 수해가 났을 때도 역시 우리 정부는 50억원 상당의 물품을 지원하겠다고 제의했고, 북은 식량과 시멘트 등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그런 품목은 군용으로 전용될 우려가 있다며 초코파이와 영유아용 과자 등을 보내겠다고 고집하고 북이 이를 거부한 일이 있다. 마치 물이 필요하다는 사람에게 커피를 주겠다고 우긴 꼴이다.
정부는 이번엔 지난해 초코파이 파동을 교훈 삼아 북쪽이 필요로 하는 물품을 통크게 지원하기 바란다. 다른 나라에도 ‘한 손 아닌 두 손으로 하는’ 원조를 하라고 하면서 동포에 대한 인도지원에 인색할 이유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