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난장판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영상이 나돌고 있다. ‘어느 나라나 똑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이다. (www.youtube.com/embed/4CYqw4s6XF8?rel=0) 니콜라 사르코지 전 프랑스 대통령이 한 여성의 젖가슴을 은근슬쩍 만지는 사진으로 시작하는 이 영상에는 돈, 술, 여자, 지퍼, 까만 세단, 그리고 지루해 못 살겠다는 표정으로 졸고 있다가 삽시간에 몸싸움을 벌이는 날렵한 국회의원들이 등장한다. 러시아에서 만들어진, 정치 막장 드라마를 보여주는 이 영상은 정치란 ‘맷집 센’ 이들의 게임이라는 것, 온갖 무시와 모욕을 거뜬히 견디는 특이한 권력적 인간들이 하는 것이지 아무나 섣불리 나설 게임이 아님을 잘 보여준다.
대통령 선거가 다가온다. 일본의 친구는 한국이 부럽다고 했다. 그나마 선택을 고민할 후보들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가? 선거가 석 달도 채 남지 않았는데 바쁘게 움직이는 국민들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 대통령 만들기를 하는 ‘정치꾼’들과 이참에 돈을 벌어보려는 장사꾼들만 극성을 부리고 있다. 조지 클루니가 주연한 <킹메이커>라는 영화가 보여주듯이 대통령 후보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주인공과 비슷하다. 연기를 잘하고 감독과 연출자를 잘 만나면 된다. 실세는 돈, 조직, 두뇌를 가진 ‘보이지 않는 손’이다.
물론 이 가운데서도 분주하게 움직이는 국민들이 있다. 대통령 후보들과 자신들이 바라는 바를 협상하고 후보가 당선된 뒤 약속한 것을 받아내려는 사람들이다. 그런데 이들의 행보가 종종 진정한 대안을 향하기보다 전리품을 나눠먹으려는 집단이익주의로 흘러 다수 국민의 등을 돌리게 한다. 그래서 선거는 외면당하고 정치 난봉꾼들만 신명을 내는 스펙터클한 쇼로 전락해버린다.
선거는 힘겨루기의 장이 아니다. 인류사회의 정치는 중지를 모으고 합의에 도달하는 기술이자 예술이었다. 정치가 특이체질 인간들의 힘겨룸의 장이 된 것은 정치가 교착상태에 빠져버린 최근의 일이다. ‘보이지 않는 손’에 몸을 맡긴 채 모두가 투자자와 소비자, 투기자가 되어야 했던 상황, 국민국가 단위가 독자적으로 할 일이 줄어든 문명전환의 혼란기에 일어나는 불행한 일인 것이다.
지금 인류는 성장이 한계에 도달하고, 거대한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 서 있다. 우리가 지금 할 일은 세계 수준에서, 국가 차원에서, 그리고 생활 차원에서 일고 있는 무수한 위기를 함께 타개하는 일이다. 이는 현재의 갈등과 반목, 대립의 상황을 직시하고 중지를 모아 그 ‘너머’로 갈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잡다한 기득권 조직이 지지부진하게 끌어가는 현 체제를 바꾸어내고, 정치를 그 본래의 자리, 곧 합의에 이르는 기술이자 예술로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다.
다양성을 보여주는 이번 대통령 선거 후보들이 이를 해낼 수 있을까? 나는 어느 후보도 이 일을 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 문제를 풀 사람은 실은 현재의 정치판에서 멀찍이 떨어져 팔짱끼고 있는 국민들 자신이다. 경제 성장을 이루어낸 노년과 장년 세대가 자신들의 공이 인정되지 않음에 분노와 상실감을 드러내는 것, 정당한 일이다. 또한 이전 세대가 채택한 불균형 발전의 결과로 엄청난 국가부채와 자연 고갈, 그리고 환경오염의 위험부담을 떠안게 된 ‘빈털터리 청년 세대’가 분노하지 않고 은둔하는 것, 역시 이해 가능한 일이다. 이번 선거가 이런 복잡한 감정을 가진 다양한 국민들이 소통하고 역지사지하는 장이 될 수는 없을까? 성인이 된 자녀들이 온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바라는 부모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면, 대대로 이어지는 전통과 삶의 지속가능성이라는 큰 틀 안에서 자신의 삶을 소중하게 바라보는 청년들이 나선다면 분명 지각변동은 일어날 것이다.
우리 자신 역시 언제든 ‘권력지향적 괴물’이 될 위험이 다분한 존재라는 사실을 인식하는 성숙한 시민들이 상생의 시대를 열어가자는 약속을 하는 것, 이것이 우리가 이번 선거에서 해내야 할 일이다. 하늘이 드높아가는 가을, 나라의 주인으로 소통과 상생의 싱싱한 축제판을 열어가 보자.
< 조한혜정 -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
대통령 선거가 다가온다. 일본의 친구는 한국이 부럽다고 했다. 그나마 선택을 고민할 후보들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가? 선거가 석 달도 채 남지 않았는데 바쁘게 움직이는 국민들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 대통령 만들기를 하는 ‘정치꾼’들과 이참에 돈을 벌어보려는 장사꾼들만 극성을 부리고 있다. 조지 클루니가 주연한 <킹메이커>라는 영화가 보여주듯이 대통령 후보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주인공과 비슷하다. 연기를 잘하고 감독과 연출자를 잘 만나면 된다. 실세는 돈, 조직, 두뇌를 가진 ‘보이지 않는 손’이다.
물론 이 가운데서도 분주하게 움직이는 국민들이 있다. 대통령 후보들과 자신들이 바라는 바를 협상하고 후보가 당선된 뒤 약속한 것을 받아내려는 사람들이다. 그런데 이들의 행보가 종종 진정한 대안을 향하기보다 전리품을 나눠먹으려는 집단이익주의로 흘러 다수 국민의 등을 돌리게 한다. 그래서 선거는 외면당하고 정치 난봉꾼들만 신명을 내는 스펙터클한 쇼로 전락해버린다.
선거는 힘겨루기의 장이 아니다. 인류사회의 정치는 중지를 모으고 합의에 도달하는 기술이자 예술이었다. 정치가 특이체질 인간들의 힘겨룸의 장이 된 것은 정치가 교착상태에 빠져버린 최근의 일이다. ‘보이지 않는 손’에 몸을 맡긴 채 모두가 투자자와 소비자, 투기자가 되어야 했던 상황, 국민국가 단위가 독자적으로 할 일이 줄어든 문명전환의 혼란기에 일어나는 불행한 일인 것이다.
지금 인류는 성장이 한계에 도달하고, 거대한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 서 있다. 우리가 지금 할 일은 세계 수준에서, 국가 차원에서, 그리고 생활 차원에서 일고 있는 무수한 위기를 함께 타개하는 일이다. 이는 현재의 갈등과 반목, 대립의 상황을 직시하고 중지를 모아 그 ‘너머’로 갈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잡다한 기득권 조직이 지지부진하게 끌어가는 현 체제를 바꾸어내고, 정치를 그 본래의 자리, 곧 합의에 이르는 기술이자 예술로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다.
다양성을 보여주는 이번 대통령 선거 후보들이 이를 해낼 수 있을까? 나는 어느 후보도 이 일을 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 문제를 풀 사람은 실은 현재의 정치판에서 멀찍이 떨어져 팔짱끼고 있는 국민들 자신이다. 경제 성장을 이루어낸 노년과 장년 세대가 자신들의 공이 인정되지 않음에 분노와 상실감을 드러내는 것, 정당한 일이다. 또한 이전 세대가 채택한 불균형 발전의 결과로 엄청난 국가부채와 자연 고갈, 그리고 환경오염의 위험부담을 떠안게 된 ‘빈털터리 청년 세대’가 분노하지 않고 은둔하는 것, 역시 이해 가능한 일이다. 이번 선거가 이런 복잡한 감정을 가진 다양한 국민들이 소통하고 역지사지하는 장이 될 수는 없을까? 성인이 된 자녀들이 온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바라는 부모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면, 대대로 이어지는 전통과 삶의 지속가능성이라는 큰 틀 안에서 자신의 삶을 소중하게 바라보는 청년들이 나선다면 분명 지각변동은 일어날 것이다.
우리 자신 역시 언제든 ‘권력지향적 괴물’이 될 위험이 다분한 존재라는 사실을 인식하는 성숙한 시민들이 상생의 시대를 열어가자는 약속을 하는 것, 이것이 우리가 이번 선거에서 해내야 할 일이다. 하늘이 드높아가는 가을, 나라의 주인으로 소통과 상생의 싱싱한 축제판을 열어가 보자.
< 조한혜정 -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한글날 공휴일 지정과 한글 르네상스 (0) | 2012.10.16 |
---|---|
[사설] 특검, 정치검사 직무유기 철저 파헤쳐야 (0) | 2012.10.16 |
[1500자 칼럼] 보람 있는 삶을 위하여 (0) | 2012.10.02 |
[사설] ‘새 정치’를 향한 세 후보의 경쟁을 기대한다 (0) | 2012.10.02 |
[사설] 새겨들어야 할 전 대법원장의 유신 강의 (0) | 2012.10.02 |
[한마당] 정치의 교사와 반면교사 (0) | 2012.10.02 |
[1500자 칼럼] 가을비 내리던 날 (0) | 201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