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상봉 방식 2033년까지 이어간다면 
이산가족 가운데 절반 이상은 가족 못 만나
사망 전에 단 한번이라도 가족 만나게 하려면 매년 7천여명으로 상봉 규모 늘려야


20년 뒤인 2033년엔 현재 생존한 남한의 이산가족 모두가 세상을 뜰 것으로 예상됐다. 남북이 2004년 이후의 상봉 추세를 2033년까지 이어간다면, 현재 생존한 이산가족의 가운데 절반 이상이 북한의 가족을 만나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현재의 이산가족들이 생전에 단 한번이라도 북한의 가족들을 만나려면 상봉 규모를 1년에 7000명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6월 발표한 ‘이산가족 상봉 재개, 더는 시간이 없다’ 보고서를 보면, 2004년 이후의 매년 이산가족 사망률 2.9%와 사망자 숫자 3800여명 고려할 때 올해 5월까지 생존한 이산가족 7만3461명은 2033년 이전에 모두 사망할 것으로 예상됐다. 평균 기대 여명으로 분석해도 6·25 종전 이전에 태어난 60대의 기대여명이 20.0년, 70대가 12.4년, 80대가 6.6년이어서 역시 2033년에는 60대 이상이 모두 사망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6·25 종전 이후에 태어난 50대의 경우는 기대 여명이 28.6년이어서 2041년까지 생존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2004년 이후 이산가족들의 연 평균 상봉률은 매년 1.2%씩 늘어나는 데 그쳐 이 추세가 2033년까지 지속되더라도 누적 상봉률은 44.8%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됐다. 결국 이산가족 상봉률이 매년 1.2% 증가를 유지한다면 전체 이산가족의 55.2%는 생전에 북한의 가족을 단 한번도 만날 수 없다는 이야기다.
 
사정이 이런데도, 이산가족 상봉률이나 숫자는 이명박 정부 이후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정부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은 매년 1800명 규모였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시절엔 2차례 1770명에 불과했고, 2008년과 2011년 이후엔 단 한 차례도 정부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지지 못했다. 정부 차원의 남북관계가 막힘에 따라 민간 차원의 상봉도 2000~2007년 169~677명에서 2012년 6명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따라서 현재 생존해 있는 이산가족들이 앞으로 생전에 단 한번이라도 북한의 가족을 만나려면 매년 상봉 규모를 최소한 7068명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 특히 그 가운데 70살 이상의 고령자들은 앞으로 10년 동안 매년 6225명 이상, 50~60대는 매년 590명 이상 만나야 생전에 북한의 가족들을 한번이라도 볼 수 있다.
<김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