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0여만명의 재외동포는 우리나라의 큰 자산이다. 근현대 민족사는 이들이 있기에 가능했고, 앞으로 통일 과정에서도 이들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하지만 재외동포는 우리가 책임져야 할 부채이기도 하다. <한겨레>가 연재한 ‘카레이스키, 눈물짓는 코리안드림’ 기획은 고려인(카레이스키)의 어려운 삶의 모습과 우리의 책임이 뭔지를 잘 보여준다.
고려인은 옛소련 지역에 사는 우리 동포를 말한다. 50만명이 넘는 이들의 역사는 재외동포들 가운데서도 특별하다. 150년 전인 1863년 러시아 극동지역의 연해주에서 첫 마을을 만든 이들은 20세기 초반 항일운동의 한 축이었다. 의병활동을 한 고려인이 11만명에 이르며, 안중근 의사가 의거 준비를 한 곳도 연해주의 고려인 신문사였다. 그러나 1937년 스탈린의 강제이주 명령에 따라 20만명가량이 수천㎞ 떨어진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강제 이주해야 했고 이 과정에서 2만여명이 숨졌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된 뒤에는 이들 가운데 10만명 이상이 다시 러시아·우크라이나와 우리나라 등으로 이주했다. 세계사에서도 유례를 찾기가 쉽지 않은 디아스포라(이산)다.
우리나라에 정착한 3만여 고려인들의 삶은 고달프다. 대다수가 저임금·3D 직종에서 근무하고, 대부분 우리말에 익숙하지 못해 많은 불편을 겪는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재외동포 가운데 후발자인데다 비슷한 직종에서 흔히 마주치는 조선족보다 규모가 적어 사회적인 발언권도 낮은 편이다. 그러나 돌아갈 곳조차 마땅찮은 이들은 코리안드림을 이루기 위해 꿋꿋하게 살아간다. 경기도 안산에는 3000여명이 모여 사는 마을이 있을 정도다. 대학에 진학하는 젊은이도 늘어나 최근 열린 서울대 후기 졸업식에서는 고려인 3세 홍야나씨가 졸업생 대표로 연설을 했다.
우리나라에 정착한 3만여 고려인들의 삶은 고달프다. 대다수가 저임금·3D 직종에서 근무하고, 대부분 우리말에 익숙하지 못해 많은 불편을 겪는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재외동포 가운데 후발자인데다 비슷한 직종에서 흔히 마주치는 조선족보다 규모가 적어 사회적인 발언권도 낮은 편이다. 그러나 돌아갈 곳조차 마땅찮은 이들은 코리안드림을 이루기 위해 꿋꿋하게 살아간다. 경기도 안산에는 3000여명이 모여 사는 마을이 있을 정도다. 대학에 진학하는 젊은이도 늘어나 최근 열린 서울대 후기 졸업식에서는 고려인 3세 홍야나씨가 졸업생 대표로 연설을 했다.
고려인들에 대한 인식도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안산 다음으로 고려인이 많이 사는 광주에서는 이들의 안정적 자립을 돕기 위한 조례가 추진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정부 대책은 미흡하다. 잘사는 동포를 우대하는 정책 탓에, 3년마다 갱신만 하면 사실상 영주할 수 있는 재외동포(H4) 비자를 고려인들이 얻기는 쉽지 않다. 이주 역사가 길다 보니 동포로서 정체성을 인정받는 데서도 불리하다. 우리말 교육 프로그램조차 결혼이주여성에 초점을 맞춰 주로 낮 시간에 편성돼 있어 고려인들에게는 기회가 제한된다. 재외동포들을 모두 보듬는 것은 모국인 우리나라의 책무다. 사실상 ‘나라 없는 민족’으로 살아온 고려인들의 설움은 이제 사라져야 할 때가 됐다.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0) | 2013.09.30 |
---|---|
[1500자 칼럼]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0) | 2013.09.23 |
[사설] ‘채동욱 찍어내기’ 불법공작 진상 밝혀야 (0) | 2013.09.23 |
[칼럼] ‘부통령’ 김기춘 (0) | 2013.09.23 |
[한마당] 무리수의 끝이 걱정이다 (0) | 2013.09.23 |
[1500자 칼럼] 오래된 수첩 (0) | 2013.09.16 |
[사설] 6자회담 재개,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0) | 201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