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미 카

● 칼럼 2013. 10. 19. 16:46 Posted by SisaHan
새 학기가 시작됐다. 온타리오 정부가 시작한, 유치원에 갈 나이의 아이들을 정규 초등학교 과정으로 흡수시키는 정책 때문에 4살짜리 아기 학생들이 가는 학교마다 눈에 띈다. 새로 학교에 온 유치원(kindergarten) 학생들에게 학교의 곳곳을 보여주는 날이다. 20여명의 어린 아이들이 선생님과 같이 학교 사무실을 보러 왔다. 일하던 어른들도 모두 나와서 아이들을 맞는다. 병아리 같은 어린 학생들은 제일 예쁜 옷을 입고, 새 운동화를 신고 옹기종기 모였다. 그들의 고개는 어른들을 향해 모두 위로 젖혀져 있고, 맑은 눈동자들은 긴장과 호기심으로 더욱 반짝거린다. 그 모습은 귀하다 못해 경이롭기까지 하다. 그들의 얼굴은 한없는 가능성과 어른들의 마음을 꿰뚫을 듯한 순수함으로 가득하다. 아침에 학교 앞에서 엄마 손을 놓치못해 어려워하던 모습은 간데없고 모두 교장선생님께 인사도 드리고, 사무실은 무엇을 하는 곳인지 열심히 듣고있다.
 
헌데, 다른 친구들이 서로 의지하고 붙어 서 있는데, 어린 여학생 하나가 그룹에서 밀치고 나와 혼자 달아나기도 하고, 마루 바닥에 주저앉기도 한다. 그 학생은 전혀 옆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심도 없고, 선생님이 얼굴을 마주하고 타일러도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이해하는 기색이 보이지 않는다. 담임선생님은 아이들을 인솔하는 사이 사이에 “미카, 친구들 옆에 서 있어야지, 혼자 가면 않되지”, “미카, 같이 ‘안녕하세요?’ 라고 해야지”, “미카는 선생님 옆에 와서 손을 잡으세요” 하며 아이를 타이른다. 미카는 옆에 친구들보다 눈에 띄게 작고, 커다란 갈색 눈과 조그만 얼굴이 마치 인형과 같아 보였다. 자신이 집을 떠나 학교에 있다는 인식이 없는 듯 하고픈대로 행동한다. 겉으로 보이는 행동을 보면 마치 그 어린 학생은 말을 안듣고 말썽만 부리는 것 같다. 하지만 선생님들은 어린 미카를 말썽꾼 학생이라 생각하기 전에 그 학생을 그렇게 행동하게 만드는 원인들이 있을 수 있음을 기억한다. 미카는 귀에 잦은 염증으로 늘 말 소리가 정확히 들리지 않을 수도 있고, 요사이 늘어가고 있는 미세한 자폐 증세를 가진 아이거나,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언어장애를 가진 학생일 수도 있다. 이유는 그 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어느 것도 그 어린 학생의 의도일 수는 없다.
 
며칠 전 운전 중에 라디오에서 흥미있는 인터뷰를 하는 것을 들었다. 우리가 타고난 심성이 다 선한 것도 아니고, 사람마다 다르게 태어난 능력 때문에 삶이 공평할 수도 없고, 또 자기 중심적인 인간의 본성은 서로 화목하게 지나기도 어렵게 만들어진 것이 우리 피조물들의 모습이라고 이야기했다. 이어서 그 사회학자는 다행히 우리에게는 ‘교육’이라는 것이 있어, 한 공동체로 우리들의 본성을 바꾸어 갈 수 있는 큰 연장이 되고 있다고 했다. 온타리오 주 교육부가 발간한 문서들을 보거나, 교육청 건물들에 들어서면, ‘학생들 각자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으로 개발해 주는 것’ 이란 말이 곳곳에 보인다. 교육의 목표 속에 들어있는 ‘능력을 최대한으로 개발’ 한다는 말은 학생들 모두에게 더 많은 지식과 기술을 가르쳐, 다 풍족히 살게하겠다는 약속은 아닐 것이다. 많은 능력을 갖고 태어난 학생들과, 여러가지 어려움을 타고난 학생들이 같이 한 교실에서 자라나는 학교라는 곳은 이미 작은 세상이다. 학생들이 지금부터 긴 생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능력들을 매일 매일 연습할 수 있는, 삶을 살아가는 공동적인 훈련을 하는 곳이다. 그 훈련의 핵심은 부족한 학생은 다 같이 돕고, 우수한 학생은 씩씩하게 많은 일을 책임지는 일이다.
 
사무실 견학을 끝내고 병아리들이 한 줄로 서서 교실로 돌아간다. 오늘 등교 첫 날, 반에서 가장 많이 불리운 이름이 ‘미카’일 것이다. 선생님은 거듭 한 학생의 이름을 부르게 되면서, 이름을 부르는 자신의 목소리를 의식하는것 같다. 돌아가는 길에는 미카의 주의를 끌려면, 옆에 있는 아이들 두, 세 명의 이름을 같이 부른다. 미카는 친구들이 선생님 쪽으로 얼굴을 돌려 대답하는 모습을 보면서 자기도 같이 얼굴을 돌리기도 한다. 공동체 훈련의 지도자는 아이들의 작은 감정도 철저히 감싸려하는 선생님임을 예쁘게 보여주면서 앞서거니 뒤서거니 돌아가는 뒷모습들이 대견하다.

< 김인숙 - ‘에세이 21’로 등단 >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심코 가톨릭교육청 언어치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