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다른 컴퓨터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자동차에 내장된 첨단장치들도 해킹을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선량한 해커’(white hacker)나 학자들이 실험을 통해 이를 입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8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미국 국방부 후원 국제해커행사 ‘데프콘’(DefCon)에서 찰리 밀러와 크리스 밸러섹은 2010년 도요타 프리우스와 포스드의 이스케이프를 노트북PC로 해킹하는 실험을 보여줬다. 2011년에는 워싱턴대학과 캘리포니아 주립대 샌디에이고 캠퍼스(UC샌디에이고)도 무선해킹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운전대와 브레이크는 물론 계기판, 가속페달과 엔진, 전조등, 경적까지도 원격 제어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유럽의 사법당국들과 자동차 제조업체들도 이에 주목하고 있다. 미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자동차 해킹을 연구하기 위해 자동차 사이버 보안 연구프로그램을 마련했다.
'● 토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게임 ‘대탈출’ (0) | 2014.03.04 |
---|---|
‘모터쇼’ 같은 가전쇼 (0) | 2014.01.19 |
‘3D프린팅’ ‘사물인터넷’ 주목하라 (0) | 2013.12.03 |
생활용 무인기 시대 (0) | 2013.09.30 |
지구, 온난화 맞나? 식는 게 맞나? (0) | 2013.09.23 |
새들은 도로의 ‘제한속도’를 안다 (0) | 2013.09.09 |
분단과 냉전체제가 ‘식민청산’ 막아 (0) | 201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