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우울·초초…
가을, 그리고 겨울
밀려드는 상실감
찬바람 부는 가을이 되면 “가을 탄다”며 심드렁해지는 이들이 있다. 우울한 감정이 밀려오면서 불안, 초조해지는 것이다. 집중력이 떨어지고 피로감도 쉽게 느껴진다. 전문의들은 “이런 증세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가을(혹은 겨울) 우울증’이라 불리는 계절성 우울증은 통상 가을에서 시작돼 겨울까지 지속한다. 대부분 일시적 감정으로 생각하지만 계절성은 중증 정신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우울증은 쉽게 재발하는 질병으로, 방치하면 발병 주기가 점점 짧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전문의들은 “주요 우울증의 11%가 계절성 패턴을 보인다”며 “적절한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원인… 호르몬과 환경 변화
일조량이 감소하면 호르몬 변화가 일어난다. 숙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의 분비가 증가하는 반면 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진 세로토닌의 분비는 감소한다. 이 같은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에 개인적인 재난이나 스트레스가 높은 환경에 놓이면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커진다.
우울증에 취약한 성격과 연령대도 있다. 완벽주의적 성향을 지닌 사람은 근심 걱정이 많은 탓에 계절과 환경 변화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호르몬 변화를 크게 겪고 있는 40∼50대 갱년기 여성도 계절성 우울증 취약군으로 분류된다.
계절성 우울증은 고유의 증상을 보인다. 쉽게 피로해지고 잠자는 시간이 늘어난다. 단 음식을 찾게 되면서 체중도 늘어난다. 만사에 흥미가 떨어지고 예민해진다. 우울증으로 인해 수면 장애에 걸리는 사람도 있지만 계절성 우울증은 과다 수면의 특징을 보인다.
◆계절성 우울증 자가 진단
계절성 우울증이 의심된다면 자가 진단법으로 확인해보자. 지난 2주간의 신체·정신 상태를 떠올려본다.
기분이 가라앉고 우울하거나 희망이 없다고 느꼈다. 평소 하던 일에 흥미가 없어지거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했다. 잠들기 어렵고 자주 깼다, 혹은 너무 많이 잤다. 평소보다 식욕이 줄었다, 혹은 늘었다. 타인이 눈치 챌 정도로 평소보다 말과 행동이 느려졌다. 혹은 안절부절 못해서 가만히 앉아 있을 수 없었다. 피곤하고 기운이 없었다. 내가 잘못 했거나 실패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혹은 나로 인해 가족이 실망했다고 생각했다. 신문을 읽거나 TV를 보는 것과 같은 일상적인 일에도 집중할 수 없었다. 차라리 죽는 것이 낫겠다고 생각했다, 또는 자해할 생각을 했다.
각 항목을 지속기간에 따라 2∼6일(1점), 7∼12일(2점), 거의 매일(3점) 점수를 매기고, 1∼4점이면 ‘우울증 아님’, 5∼9점 ‘가벼운 우울증’, 10∼19점 ‘중간 정도 우울증’, 20∼27점 ‘심한 우울증’으로 보면 된다. 전문의들은 “점수 합계가 10점 이상이면 일단 우울증을 의심하고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치료법은… 햇빛과 약물
우울증 해소에 효과적인 자연 약물은 햇빛이다. 가을철 햇빛은 우울증을 극복하고 기분을 다스리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따라 치료에도 광선이 동원된다. 가정집 평균 조명의 25배 밝은 빛(10000Lux)을 이용하면 인체의 파괴된 생체 리듬이 회복된다. 보통 3∼7일 받으면 효과가 나타나고 3∼4주 꾸준히 지속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빛이 나오는 라이트 박스에서 60∼80cm 떨어진 곳에 앉아 하루 30분씩 쐬면 된다.
불면, 두통, 눈의 피로감 등 광선 치료에 부작용을 보이거나 증세가 심각할 경우는 정신과 치료와 약물 치료를 병행한다. 살아온 과정을 되짚으며 통증이 된 경험을 분석하고 항우울제를 투여한다. 정신과 전문의들은 “우울증은 단일 증상이 아니라 증후군이기 때문에 다각도로 접근한 치료가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우울증 치료보다 중요한 건 예방 활동이다. 야외에서 밝은 햇빛을 쐬고 산책·조깅 등을 통해 산소 섭취량을 늘리는 것이 좋다.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감정을 털어놓고 심리적 안정을 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전문의들은 “설탕과 밀가루, 카페인, 술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증상을 악화시킨다”며 “섭취를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건강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조하지 않게… 수분 넉넉히 (0) | 2013.12.03 |
---|---|
바삭한 식감‥ 혈관엔 독된다 (0) | 2013.11.25 |
임플란트, 자연 치아보다 잇몸병에 훨씬 더 취약 (0) | 2013.11.10 |
산모 생활환경, 아토피 등 발병에 영향 (0) | 2013.10.07 |
초기 기억력 장애‥ 말기엔 경련까지 (0) | 2013.09.30 |
허벅지 가늘수록 당뇨병에 취약 (0) | 2013.09.23 |
잠이 손상된 뇌 수리를 촉진 (0) | 201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