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국화꽃 따는 아침

● 칼럼 2013. 11. 17. 21:09 Posted by SisaHan
요즘 들어 불면의 밤이 잦아졌다. 나는 반갑지 않은 이 손님이 찾아드는 시간이면 불가능한 줄 알면서도 멀리 지리산 피아골 산(産) 백초차를 감히 꿈꾸어 본다. 백여 가지 넘는 산야초가 어울려서 빚어 낸 차는 쓴맛, 달큰한 맛, 새큼한 맛이 차례로 감돌아 정신을 맑게 한다는데, 어차피 깨어있는 밤이니 더 맑아져도 상관이 없겠다. 다만 그 차를 마시는 동안은 백여 가지 이름 모를 산야초의 살랑거림으로 불면의 밤이 짧아지리라는 상상도 은근히 해 본다. 
 
지난 여름 끝머리에 지인이 보내 준 책 꾸러미에서 산야초에 대한 책을 먼저 뽑았다. 오랫동안 기다렸던 문학 서적은 뒷전으로 하고 지리산 산야초 이야기에 한동안 정신을 빼앗겼었다. 자연과 합일을 이룬 한 지리산 붙박이가 들려주는 차(茶) 이야기는 까다로운 다도 운운하며 멀리했던 다기를 가까이 하게 했고, 손수 산야초 차를 만들어 보고 싶은 유혹이 들게도 했다. 

가을엔 감국, 구절초, 국화, 구기자차 류가 으뜸이라기에 뜰 안에서 왕성하게 자리 잡은 국화 무더기에 눈길을 자주 보냈다. 초가을부터 봉긋봉긋 올라오는 꽃봉오리를 보며 마음은 이미 국화차에 잠겨버렸다. 놈들이 개화를 하면 넉넉히 말려서 가을 노래 부르며 혹독한 겨울을 이겨내리라는 흑심을 품고서다. 
어느 쾌청한 날 아침, 이슬 머금은 꽃이 향기가 짙다는 지침을 상기하며 국화꽃이 벙글거리는 화단에 들었다. 하지만 해맑게 피어오른 꽃송이들 곁에 서니 손이 선뜻 나가지 않았다. 무심한 마음일 땐 그토록 곱던 꽃이 따려는 순간엔 수 백, 수 천, 적의에 찬 눈빛으로 조여 오는 듯했다. 말 못하는 식물에도 인간이 감당 못할 기가 있음을 그때야 알았다. 잔뜩 기에 눌린 나는, 손품은 좀 들어도 덜어낸 티가 덜 나는 자잘한 토종이 그래도 낫다고 자위하며 몇 줌 따서 도망치듯 나왔다.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수없는 인고의 세월을 견디어 낸 사실을 잊은 채 내 욕심만 채우려고 했으니, 참으로 미안했다. 
 
계절 탓인지 부질없는 생각이 부쩍 많아졌다. 무심결에 이는 바람에 이유를 묻고, 그냥 스쳐가는 인연에도 의미를 찾게 된다. 육안으로 보이는 것만이 전부인양 가볍게 흘려보낸 것들을 되새김질 하며 창밖을 보다가 기울어가는 황국에서 눈이 멎었다. 초롱초롱한 꽃망울로 꾸짖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된 서리 몇 번 다녀가고 나니 허물어지는 낌새가 역력했다. 나는 가볍게 걸쳤던 몽상가의 옷을 벗어던지고 비닐봉지 하나 챙겨서 뒤란으로 나섰다.
느슨해진 화단에서 가을 향을 딴다. 황국, 백국이 엇비슷하게 누워서 얼른 데려가 달라고 재촉 하는 듯하다. 푸근한 마음으로 한 무더기 끌어안고 얼굴을 들이민다. 농익은 향기가 온몸으로 스며든다. 수수하면서도 친숙한 향, 그럼에도 끝 모를 깊이로 이끄는 국향이다. 
 
어느 원주민 부족은 십일월을 일컬어‘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이라 부른다고 한다. 조급함을 버리고 기다리다보면 언젠가 때가 오리라는, 자연의 순환 이치를 통찰한 사람들의 범접하기 어려운 경지다. 

풋풋함 대신 평온함이 배가되어 수확의 기쁨을 누리는 아침이다.

< 임순숙 - 수필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에세이스트’로 등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