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자산 안전할까?

금융기관을 통한 은퇴자산관리는 단순한 포트폴리오 이론이나 전통적 투자수익률에 입각한 경우가 많다.그러나 은퇴자산관리는 일반적 투자자산관리와는 다른 접근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은퇴전문가들의 견해다. 여기서는 그 문제점과 바람직한 은퇴계획 방법을 알아본다.
 
전통적 은퇴자산관리방법으로 4%인출법칙이 있다. 은퇴자산을 4%씩 인출할 경우 물가상승률을 감안해도 30년은 사용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그러나 이것은 역사적으로 주식과 채권이 각각 10%, 5%수준의 수익률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채권수익률이 현재와 같이 2%수준으로 하락한 상황에서 향후 10년내 수익률을 회복하지 못할 경우 은퇴자산의 30%정도가 조기에 소진될 것으로 보는 전문가도 있다. 또 현재 대표적인 은퇴자산관리는 나이에 따라 위험자산비중을 줄여나가는 방법으로 100-나이에 따라 주식과 채권비중을 조정하는 디폴트투자법칙이 있다. 예를 들어 55세라면 주식과 채권비중을 각각 45%, 55%, 65세라면 35%주식, 65%채권 식으로 나이에 따라 주식비중을 줄이고 채권을 늘려 투자포트폴리오를 조정한다. 그러나 안전하다고 하는 채권도 지난해 장기채권이 5%이상 하락한 바와 같이 안전하게 은퇴소득을 확보해 주지 못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은행 등에서 뮤추얼펀드투자에서 정기적인 소득인출(SWP)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매년 투자잔고를 기준으로 연 6%~8%소득이나 일정 금액(10만달러 투자 시 월 667달러)을 매달 지급하는 것이나 월지급액은 매년 변하고, 투자시장이 좋지 않을 경우 받는 금액도 크게 줄어들 수있다.
 
이상 살펴 본 은퇴자산관리방법들은 장기적으로 투자자산이 크게 감소하거나 생전에 소멸될 가능성도 있다. 예를 들면, 40세, 평균여명 90세, 주식과 채권으로 이루어진 연 8%의 평균수익률, 65세 이후 매년 은퇴소득을 연 5%(물가상승률 반영)인출한다고 하자. 3만 달러를 투자해 연평균 8%수익률로 늘어나면 65세에 20만 6천 달러로 자산을 증식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같은 수익률조건하 은퇴 후 5%은퇴소득을 인출할 경우 투자자산은 14년 후 79세에 바닥나고 만다. 물론 이 경우 초기 투자수익률이 좋다면 자산이 고갈되지 않거나 고갈이 좀더 길어질 수도 있다. 
투자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은 미국의 머튼 교수는 은퇴설계는 마치 외과의사가 어려운 수술을 하는 것과 같이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은퇴설계 전문가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은퇴할 때 이루고자 하는 것은 부를 쌓는 것이 아니라 은퇴 전 생활 수준 유지로, 은퇴 준비에 앞서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한다. 은퇴 준비과정은 무조건 높은 수익률로 많은 자산을 축적하는 것이다. 하지만 은퇴를 두려워하는 것은 고정 수입이 사라지면서 은퇴 이전보다 생활수준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은퇴계획 시 필요한 정보는 현재 소득과 은퇴 예상 시기, 원하는 목표소득이며, 목표소득을 얻기 위한 저축금액, 목표달성 가능성 등이다. 머튼 교수는 은퇴 후 소득은 단계별로 나눠 준비해야 한다면서 첫째, 확정된 수입을 통한 준비, 즉 연금저축이나 공적 연금을 통해서 얻는 소득. 두 번째는 보수적 목표 하에서 얻는 소득으로 은퇴자에게 유동성을 제공하거나 유산목적의 소득, 세 번째는 희망소득으로 은퇴 후 사용을 위한 것이다. 
은퇴계획 상담을 해보면 일반적 투자자산관리전략의 불확실한 확률에 노후를 배팅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은퇴자산관리는 주로 수익성에 기초한 일반자산관리와는 다르며, 어떤 상황에서도 보다 안전하게 수입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활용해야 한다.

< 김경태 - 은퇴투자 상담사, Maxfin 증권·보험 >
투자상담 및 문의: 416-512-9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