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의 땅 코리아’ 란 말을 자주 듣게 되는 요즘입니다. 오늘도 건장한 백인 청년이 읽다가 밀어둔 책 제목을 읽어내기에 한글을 익힌 연유를 물었더니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한국에서 찾기 위함이라며 환한 웃음을 보이더군요. 대형사고가 줄줄이 터지던 몇 년 전에 비하면 참으로 듣기 좋은 말이었지만 왠지 마음은 편치 않았습니다. 아침마다 검색하는 한국 뉴스엔 청년 실업률은 회복기세가 안보이며 회생 불능의 개인 파산은 걷잡을 수 없이 늘어가고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자살률 1위의 불명예는 수년간 깨어지지 않고 있다는 등 어두운 소식 일색이거든요. 거기다 지인들이나 친지들이 보내오는 소식도 별 다르지 않는데 장밋빛 꿈을 안은 사람들이 코리아를 외치니 은근히 걱정스럽습니다.
 
요즘 또 하나의 추세는 세계 각국에 거주하는 해외동포들의 역이민 행렬이라지요. 같은 이민자로서, 큰 꿈을 품고 나왔다가 다시 돌아 갈 수밖에 없는 그들의 입장을 십분 이해하면서도 한편으론 마음이 무겁습니다. 해외에 사는 우리는 음으로 양으로 조국의 한 축이 아닌가요. 그런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세계 각처에서 줄줄이 빠져나가면 축은 흔들릴 테고 나라 안은 인구 과밀로 더 어려워지겠지요. 혹시 너무 거국적이라 생각 하시나요? 
사실은 ‘우리처럼 작은 나라가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선 이민 권장 뿐이라.’ 던 어느 전 대통령의 말씀을 가끔 상기하면 엄청난 애국자가 된 듯 기운이 나거든요. 역이민의 기로에 선 그대에게 묵직한 임무 하나 지워드리면 혹시 발걸음 돌리시지 않을까 하는 기대로 장황하게 늘어놓았습니다만 역부족 인가요? 
그럼 저의 가족 이민사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일명 ‘김밥과 뚝심’이란 중대 사건 하나를 소개 해 드릴까 합니다. 이 사건은 초짜 이민자 앞에 놓여 진 수많은 난제들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기에 감히 강추하는 맘으로 그려봅니다.
 
이십여 년 전 이민 초기의 일입니다. 초등학교 3, 5학년인 두 아들을 학교에 보내고 나면 저희 부부는 늘 좌불안석이었습니다. 막 사춘기에 들어서는 예민한 시기에, 본토 발음 운운하며 알파벳도 가르치지 않았으니 벙어리 신세나 다름없는 아이들 걱정 때문이었지요. 다행히 운동을 골고루 가르친 덕택에 그나마 기죽지 않고 버텨낼 수 있었는데 문제는 점심 도시락이었어요. 아이들이 그토록 좋아하던 샌드위치도 일주일 꼬박 먹기는 무리였던지 번번이 그대로 가져오기 일쑤였지요. 하여 하루는 김밥을 싸서 보냈습니다. 재료 중에 단무지는 당연히 빼고 김 냄새도 랩으로 단단히 차단하였지요. 나름대로 만반의 준비를 해서 보냈는데 그만 사단이 난겁니다. 급우들이 이상한 냄새난다며 아이의 배낭을 교실 뒤 구석에다 처박아 놓았다더군요. 말 못하는 아이들이 하루 종일 받았을 마음의 상처를 생각하면 가슴이 미어졌지만 다음날은 두통씩 싸서 보냈습니다. 전날 치룬 곤욕 땜에 한사코 머리를 흔드는 아이들은 선생님 갖다드리란 말에 겨우 승낙을 했구요. 하루가 한 달 같은 심정으로 기다리는 어미에게 아이들이 물어온 희소식은 이랬습니다.
 
땡큐를 연발하며 김밥을 받아든 선생님은 먼저 학생들에게 도시락을 보여주며 극찬한 다음 가위로 반씩 잘라 골고루 나누어 주었더니 모두 맛있다며 매일 가지고 오랬다는군요. 한 번 속상하고 말았으면 만회하기 힘들었을 텐데 뚝심으로 밀어 붙여 역전승을 거둔 셈입니다. 물론 이 뚝심은 고비마다 튀어나와 정착에 좋은 밑거름이 되었답니다. 괜찮다구요? 
 
 ‘집을 살 때 집값이 만 냥이면 이웃은 구만 냥’ 이란 고사가 있습니다. 제발 우리의 소중한 이웃을 잃는 일이 없었으면 하고 간절히 소망합니다.

< 임순숙 - 수필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에세이스트’로 등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