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시·도교육감 선거 결과에 대한 일부 보수세력의 반발이 상식의 범위를 넘어서고 있다. 우려의 수준을 넘어서 트집으로밖에 보이지 않는 공격을 가하고 있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선거 결과가 나오자마자 교육감 직선제를 없애고 임명제를 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동아 등 보수언론은 교육현장에 무슨 큰일이라도 날 것처럼 호들갑을 떨고 있다. 교총 회장은 전교조가 ‘계백 결사대’처럼 결속해 진보 교육감을 당선시킨 것처럼 의미를 깎아내리고 있다. 선거 결과에 대한 불복이며 국민의 선택을 부정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

학교에서 혼란이 일어날 것처럼 말하지만 혼란이 일어나기를 기대하고 부채질하는 것처럼 들린다. 경기의 규칙이 공정했으면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는 게 선거의 기본이다. 진보 교육감의 당선은 ‘보수 후보의 난립에 따른 반사이익’이라는 정치역학적 계산을 뛰어넘는 결과다. 그런 셈법만으로는 2010년 선거에서 6명이었던 진보 교육감 당선자가 이번에 13명으로 불어난 것을 설명할 수 없다. 학부모들이 세월호 참사를 지켜보면서 이제는 무한경쟁의 쳇바퀴 안에서 아이들을 질식시키지 않겠다고 결단을 내린 것으로 봐야 한다. 무한경쟁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탐욕을 충족시키려는 이기적 인간을 키워냈고, 그런 사회에서는 원칙과 기본을 지키는 최소한의 공동체적 가치도 자리를 잡을 수 없다는 걸 부모들이 깨닫게 된 것이다. 그동안 우리 교육을 주도했던 세력은 실패를 반성하고 새로운 가치와 방향을 모색하라는 민심의 명령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새로운 흐름에 동참하지는 않더라도 지켜보는 인내는 있어야 한다.
 
새 교육감들도 자신을 찍지 않은 유권자들이 절반을 넘는 현실을 유념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제도나 정책도 학생과 학부모, 교사가 어느 정도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 공약의 우선순위를 세밀하게 정해서 차근차근 진행해 나가야 한다. 실사구시의 정신으로 무장하고 현장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며 반 발짝만 앞서가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이념논쟁으로 비화하지 않도록 어설픈 빌미를 주지 말아야 한다. 특히 교육개혁의 1번이라고 할 만한 입시고통 해소는 교육감이 아니라 교육부가 권한을 갖고 있다. 대학입시 체제를 바꾸려면 정부를 설득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교육현장의 광범위하고도 절대적인 지지를 받아야 한다. 서생의 문제의식과 상인의 현실감각이 요구되는 임기 4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