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역사를 볼 때, 그런 일이 있다. 역사의 흐름을 바꾼 발명이라고 할까? 얼핏 생각나는 대로 불, 철기 ,화약, 전기, 자동차, 티비, 컴퓨터 같은.., 오늘 날에 있어 SNS와 휴대폰이 우리 생활을 가장 크게 바꾸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 처음에는 그냥 신기한 물건이 새로 나왔나 생각했지만, 어느 덧 우리의 일상생활에 떼어 놓을 수 없는 물건이 되고, 나아가서는 우리 생활 자체를 바꾸어 놓는 것이다. SNS는 Social Nework Service로 Facebook, Twitter를 말한다. 한국에서는 카툭이란 것도 유행한다지만 ,난 잘 모른다. 사실 이것이 휴대폰과 만남으로 놀라운 가속도가 붙어 발전하고 있다. 그러니까 휴대폰이 인테넷 연결을 항상 할 수 있게 만듬으로, 언제 어디서도 SNS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게다가 음악을 듣는 것을 넘어서, 사진기와 비디오의 기능을 함께 갖춤으로, 언제든지 사진과 비디오를 원하는 사람에게 또는 모르는 사람에게도 보낼 수 있게 되었다. 요즘 흔히 말하는 ‘소통과 공유’라고 할까? 그것이 진정한 소통이며 공유인지 그 점은 나는 모르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것이 우리의 개인생활 뿐 아니라 사회 전체에 정말 큰 변화를 가져왔고, 또 앞으로 가져 올 것이라 믿는다.
몇 해 전에 중동지역에서는 쟈스민 혁명이라고 있었다. 이집트에서 시작하여 리비아 그리고 아직 진행 중인 시리아 등에서 일어난 일종의 민중봉기를 말한다. 독재자를 몰아내고 민중을 위한 정부를 세운 일이었다. 그 혁명이 오래 된 비민주적인 사회를 얼마나 바꾸었는지 에는 의심이 든다. 왜냐하면 아직도 진행 중인 일이기 때문이다. 이집트만 해도 다시 군부쿠테타로 사실상의 군사정권으로 돌아갔기 때문이다. 절대 무너지지 않을 것 같은 독재정권이 무너진 이유 중의 하나는, 많은 사람들이 SNS와 휴대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것은 하나의 모이는 장소와 시간을 한 번에 여러 사람에게 빨리 알리는 연락매체가 되었고 나름대로의 생생한 현장 정보를 사진을 찍어 신속하게 많은 사람들에게 알림으로 정보 전달의 수단이 되었기 때문이다. 가령 부상당한 데모대의 모습을 찍어 사진을 올리면, 순식간에 퍼져 사람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다. 시리아의의 경우 화학무기에 의한 희생자의 모습을 올려 자국 내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알려져 사람들의 분노를 사게 만들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통제하는 것은 사실상 쉬운 일이 아니다.
이번 한국에서 일어난 세월호 사고를 보아도 그렇다. 해경책임자가 희생자 가족들 앞에서 지금 현장에서 수색작업이 진행 중이며, 잠수활동을 하고 있다고 브리핑을 하는데, 전화가 온다. 가족 중 배를 타고 현장에 나가있는 사람에게 전화가 왔는데, 아무런 활동도 하고 있지 않다는 내용이다. 빨리 구조작업을 하라고 다그치자 해경간부는 또 전화를 걸어 잠수부를 투입하라고 현장에 명령한다. 그뿐이 아니다. 침몰하는 배안에서 전화를 하고, 어떤 학생은 최후의 순간까지 휴대폰으로 촬영을 하여 그 내용을 부모에게 보낸다. 그런 통화내용이나 사진, 그리고 동영상이 SNS에서 떠오르면서, 급속도로 사람들 사이에 퍼진 것이다. 게다가 초기 공영방송의 오보와 실수로 인하여, 더 많은 말들이 인터넷상에 떠돌지 않았나 생각한다. 유언비어도 있었지만, 중요한 사실은 이제 통제하려는 입장에서는 더 이상 정보의 독점이 힘들다는 사실이다. 아는 것이 힘이란 말이 있듯,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은 힘이다.
한국은 오래 전부터 IT강국이라고 했다. 다만 분명한 것은 핸드폰의 보급률, 사용률, 그리고 SNS의 활동률은 최고가 아니가 생각한다. 캐나다는 내 또래의 나이든, 50대, 사람치고 SNS를 하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젊은 사람들 중에는 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같다. 사실 캐나다가 한국에 비해 많이 뒤쳐진 셈이다. 아니 세계적으로 비교하면 캐나다는 평균 이상이지만, 한국이 앞서간다는 게 정확한 표현같다. 최근에 한국에 갔다 온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지하철을 타면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휴대폰의 문자를 누르고 있다는 것이다. 그 파급효과가 만만치 않다기 보다 엄청나다는 것이다. 어찌 보면 SNS라는 것이 시시콜콜한 이야기로 시간을 죽이고 있는 것이며, 결코 이루어지지 않을 인간관계의 소통을 가상공간인 인텨넷에서 찾아야할 만큼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외롭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추세는 갈수록 늘어났지 결코 줄어들지 않을 것이다. 비단 한국 뿐 아니라 여기도 점점 그렇게 변할 것이다. 우리세대가 아니라 할지라도 다음 세대에는….
< 박성민 - 소설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동포문학상 시·소설 부문 수상 >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6.4 교육민심’과 싸우겠다는 교육장관 인선 (0) | 2014.06.23 |
---|---|
[한마당] ‘역사정의’의 침몰이 두렵다 (0) | 2014.06.23 |
[칼럼] ‘적폐 청산’, 시작부터 다시 하라 (0) | 2014.06.23 |
[한마당] 후진 못벗은 ‘고무줄 법치’ (0) | 2014.06.17 |
[사설] 이념이 아니라 현장, 백년대계를 보라 (0) | 2014.06.17 |
[사설] 또 ‘여당과 국정원 변호인’ 전락한 검찰 (0) | 2014.06.17 |
[칼럼] 경찰은 왜 그랬을까? (0) | 201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