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스포츠와 인간사

● 칼럼 2014. 7. 14. 18:02 Posted by SisaHan
드라이브 샷이 ‘빨래줄’처럼 시원스레 쭉 뻗어나갈 때의 기분이란 한마디로 ‘장쾌’다. 하지만 드라이브 샷 잘 쳤다고 세컨 샷 좋으란 법 없고, 투 온에 버디나 파 한다는 보장도 없다. 그런가 하면 드라이브 샷을 망쳤다고 파를 못한다는 법도 없다. 세컨 샷을 그린 주변에 보내 멋진 칩샷으로 홀 옆에 붙여서 파를 하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는 것이다. 골프가 그래서 오묘하고 재미있다고 한다.
 
골프가 바로 인생이라는 말도 같은 연유다. 잘 맞은 타구가 있는가하면, 왠지 엉망이 될 때가 있다. 공이 페어웨이에 잘 날아가기도 하지만, 때로는 오비도 나고, 러프나 해저드, 혹은 벙커에 빠져 곤욕을 치를 때가 있다. 전반에 죽을 쒔어도 후반에 만회하고도 남을 만큼 잘 되기도 한다. 그야말로 눈 비 맞으며 풍상과 곡절의 삶, 반전이 거듭되며 희비의 교차 속에 살아가는 인생살이와 닮은 꼴이 골프의 묘미라고 매니아 골퍼들은 입을 모은다.
골프는 혼자서 즐길 수 있는 개인 경기다. 흔히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라고 하듯, 집중과 평정의 마인드 콘트롤이 필요하며, 스스로 룰을 지키면서 공을 옮겨놓거나 눈속임 같은 비신사적 얌체행위를 멀리하고, 자신의 실력에 따라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도 골프 게임은 삶의 태도 혹은 심성(心性)의 발로에 비유되곤 한다.
 
축구는 단체경기다. 11명이 그라운드에서 호흡을 맞추며 적진을 뚫고 유기적으로 연결해 골을 만들어간다. 멀티 플레이어라는 말도 있긴 하지만, 대체로 선수마다 임무와 영역을 구분해 공격에 나선다. 골키퍼는 골문을 지키고 풀백은 최후방 저지선을 구축한다. 전방 공격은 타겟포워드 혹은 센터포워드 등 포워드진이 주로 맡아 상대 저지를 돌파한다. 이들 중에 스트라이커, 골게터들이 골문을 가른다. 이같은 직역(職域)의 구분 외에 적진을 제압하는 전략과 전술이 중요하다. 치열한 공방과 체력싸움, 두뇌대결이 승부를 가른다. 선수들은 빈틈없는 팀워크와 연합작전, 거기에 개인기와 투지를 발휘해 상대 진영을 뚫고 들어가 골을 넣어야 한다. 
요즘 눈길을 모으고 있는 브라질 월드컵의 빅 게임들을 보고 있노라면 축구가 바로 인간사회의 축소판이라는 생각이 들곤 한다. 22명이 치열하게 공방을 벌이는 운동장에는 인간사회에서 벌어지는 크고 작은 일들이 그대로 재현되는 것 같아서다.
 
‘권불십년(權不十年)’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그리고 ‘영원한 승자는 없다’고 했다. 일찍이 우승감이라던 브라질이 7골이나 먹는 치욕을 당할 줄 누가 알았겠나. 전 대회 우승팀인 스페인은 허망하게 예선 탈락하는 이변의 주인공이 됐다. 한국대표팀 처럼 기대와 달리 무력하게 꼴찌에 머무는 팀이 있는가 하면, 예상을 깨고 전통 강호들을 연파해 돌풍을 부른 ‘쨍 하고 해 뜬’ 팀도 있다. 패색이 짙던 팀이 연장 막바지 ‘9회말 투아웃’에 극적인 역전골로 승리를 거머쥐기도 했다. 경기내내 압도하던 팀이 방심했다 기습공격 골 한방에 무너지고, 수비에만 급급하더니 운좋은 역습이 먹혀 이긴 ‘부당한 승리’도 있었다. 유명 특급선수들이 이번에는 대체로 이름 값을 했지만, 한국의 박주영처럼 전혀 맥을 못춘 ‘종이 호랑이’도 있었다. 무명에서 일약 스타가 된 선수도 여럿이다. 승부가 격해지다 보니 일부 선수는 상대팀 선수를 가격해 골절상을 입히고, 위험한 태클로 퇴장 당했다. 심판 눈을 속인 교묘한 반칙, 페널티킥을 노린 헐리우드 액션이 난무한다.
 
‘쥐약’을 먹은 건지 실력이 없는건지, 엉터리 판정으로 욕을 먹은 심판이 있었고, 어떤 심판은 옐로-레드카드를 수시로 빼어 드는데, 반대로 너무 카드발동을 아껴서 답답증을 준 심판도 보였다. 적시에 기막힌 선수교체로 짜릿한 승리를 일군 명감독이 찬사를 받는 반면, 거듭된 패배로 도중에 사퇴하거나 귀국 즉시 짐을 싼 감독, 그만 둘 처지에서 정홍원 총리처럼 슬그머니 눌러앉는 홍명보 감독같은 사례도 등장했다. 장외에서는 암표가 극성을 부렸는데, 경찰이 파헤치고 보니 부패소문이 파다한 주최측 FIFA의 내부에 표를 빼돌린 용의자가 숨어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사람들이 열광하는 축구장의 겉과 속에는 세상의 천태만상이 고스란히 투영된 듯하다. 아름다운 우정과 정정당당한 경쟁 보다는 승리 지상주의와 정글의 법칙, 황금의 논리와 흥행 극대화가 돋보인다. 각박한 경쟁사회, 물량주의와 목표 지상주의의 세태가 그대로 녹아있음을 본다. 인간사에 있어 정의와 선과 진리와 평화라는 이상향은 늘 멀게만 느껴지는 것처럼….
스포츠 역시 삶의 표현이요, 인간사회의 축소판이다.
 
< 김종천 편집인 >